KR200156897Y1 -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897Y1
KR200156897Y1 KR2019970006786U KR19970006786U KR200156897Y1 KR 200156897 Y1 KR200156897 Y1 KR 200156897Y1 KR 2019970006786 U KR2019970006786 U KR 2019970006786U KR 19970006786 U KR19970006786 U KR 19970006786U KR 200156897 Y1 KR200156897 Y1 KR 200156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forge
net
double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452U (ko
Inventor
배백일
Original Assignee
박성순
주식회사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순, 주식회사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박성순
Priority to KR2019970006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8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사각파이프(10)와, 2개의 연결봉(70), 양단으로는 구멍(41)(51)이 형성된 보강쇠(40)(50)와, 포지(81)의 속에는 사각파이프(10)의 절개홈(15)의 틈새보다 직경이 큰 탄성로프(83)를 삽입한 그물망(80)을 사용하여, 탄성로프(83)가 삽입된 포지(81)를 2개의 사각파이프(10) 중간에 끼운 다음 상하의 포지(82) 속에는 더블너트(73)를 빼낸 연결봉(70)을 끼우고 다시 더블너트(73)를 나사(72)에 나합시킨 후 연결봉의 양단을 구멍(13)(14) 속에 삽입되도록 하고 더블너트(73)를 조임에 따라 사각파이프끼리의 간격이 넓어져서 그물망(80)이 팽팽해질 수 있도록 하며, 보강쇠(40)(50)의 구멍(41)(51)속으로는 걸림봉(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사각파이프의 위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서 완성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제1도는 본 고안의 골조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그물망을 나타낸 사시도.
제3, 4도는 본 고안의 그물망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완성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구성품 하나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각파이프 11 : 돌출단
12 : 걸림핀 13, 14, 16 : 구멍
15 : 절개구멍 17 : 돌출쇠
20, 30 : 걸림봉 21, 31 : 요동턱
40, 50 : 보강쇠 41, 51 : 구멍
60 : 리벳 70 : 연결봉
71 : 턱 72 : 나사
73 : 더블너트 80 : 그물망
81, 82 : 포지 83 : 탄성로프
100 : 비계 101 : 지탱봉
102 : 철편
본 고안은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설공사나 대형의 구조물을 측조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이때 자재나 공구, 기타 공사에 사용되는 물건이 아래로 추락하여 행인이나 작업자를 다치지 못하도록 하고, 특히 작업자가 부주의하여 아래로 추락하였을 때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망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위 안전망은 그물망(80)의 피치가 작고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 찢어지지 않아야 하며 비계(100)에 견고히 설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공사현장에서는 정상적인 안전망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그물망을 정상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종 자재가 충분히 갖추어져야 하고 많은 시간을 들여서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단축으로 인한 시간부족에 시달리는 각종 공사현장에서는 안전망설치에 큰 비중을 두지않고 있다.
따라서 매우 허술하게 그물망을 비계 주변에 둘러쳐 놓거나 몇 개의 파이프를 수평으로 설치한 후 파이프위에 그물망을 대충 걸어두기가 쉽상이고 또한 그물망대신에 합판을 걸쳐 두기도 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중량물이 추락하게 되면 이를 방어하지 못하여 인명사고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을 수 없는 폐단을 안고 있는 바, 본 고안은 전체의 중량이 가볍고 분해조립이 용이하며 분해조립시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그물망(80)이 팽팽하게 확장되어 추락하는 물건에 대한 충격흡수력이 등이 탁월한 작용과 효과를 가지는 안전망을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일측의 돌출단(11) 아래에 걸림핀(12)이 용접되고 내측으로는 절개홈(15)이 형성되며 절개홈(15)의 좌우측에는 이와 연하도록 타원형의 구멍(16)이 헝성되고 그 좌우로는 다시 구멍(13)(14)이 관통되도록 하며 돌출단(11)의 반대쪽에는, 요동쇠(21)를 가지는 걸림봉(20)이 횡으로 용접된 돌출쇠(17)를 가지고 저면 2개소에도 요동쇠(31)를 가지는 걸림봉(30)이 용접된 2개의 사각파이프(10)와, 턱(71)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더블너트(73)가 체결된 나사(72)를 가지는 2개의 연결봉(70)과, 리벳(60)에 의해 중앙이 서로 고정되면서 각각의 양단으로는 구멍(41)(51)이 헝성된 보강쇠(40)(50)와, 4곳의 모서리를 모따기하고 사방 외연부로는 바깥으로 관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 포지(81)(82)를 봉제하며 좌우측 포지(81)의 속에는 사각파이프(10)의 절개홈(15)의 틈새보다 직경이 큰 탄성로프(83)를 삽입한 그물망(80)으로 구성되며, 탄성로프(83)가 삽입된 포지(81)를 상기한 구멍(16)과 절개홈(15)을 통해 2개의 시각파이프(10) 중간에 끼운 다음 상하의 포지(82) 속에는 더블너트(73)를 빼낸 연결봉(70)을 끼우고 다시 더블너트(73)를 나사(72)에 나합시킨 후 연결봉의 양단을 구멍(13)(14) 속에 삽입되도록 하고 더블너트(73)를 조임에 따라 사각파이프끼리의 간격이 넓어져서 그물망(80)이 팽팽해질 수 있도록 하며, 보강쇠(40)(50)의 구멍(41)(51) 속으로는 걸림봉(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사각파이프의 위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서 완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그물망(80)은 대향되는 사각파이프(10)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으로 탄성로프(S3)가 삽입되어 있는 포지(81)를 상기한 절개홈(15)과 타원형의 구멍(16)을 이용하여 끼운다.
이 상태는 탄성로프의 직경이 절개홈의 틈새보다 크기 때문에 사각파이프를 양쪽에서 당겨도 그물망은 사각파이프안에서 고정이 된다.
다음, 연결봉(70)의 더블너트(73)를 나사(72)로부터 빼내고 그물망의 상하에 위치하는 포지(82)속으로 삽입시킨 후 다시 더블너트(73)를 나사에 결합시키고 연결봉의 좌우측 단부를 구멍(13)(14) 속으로 삽입시키는데 이때 나사(72)의 끝은 구멍(13)을 관통하여 외부로 약간 노출이 된다.
이 상태에서 더블너트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여주면 사각파이프끼리의 간격은 점점 별어지게 되며 그물망이 적당히 팽팽해지면 그 위치에 더블너트를 고정시킨다.
다음, 상기한 보강쇠(40)(50)의 구멍(41)(51)속으로 걸림봉(30)이 삽입되도록 하면 전체는 견고히 조립되어 사각파이프가 비틀어지는 현상이 없어진다.
걸림봉(30)에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출입되논 요동턱(31)이 형성되어 있어 요동턱을 밀고 들어간 구멍(41)(51)의 외연부는 요동턱에 걸려 다시 빠지지 않고, 분해시에는 손톱이나 납작한 물건을 사용하여 요동턱을 걸림 봉안으로 밀어 넣으면서 보강쇠를 들어올려야 분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각파이프는 원형파이프로 대체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나 소형의 구성품들을 정확히 용접하기 위해서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요령에 의해 간단히 조립된 본 고안은 제7도와 같이 비계(10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비계에는형태의 구멍이 뚫린 철편(102)이 용접되어 있어 돌출단(11) 아래의 걸림핀(12)이 걸리도록 하고, 지탱봉(101)의 끝은 돌출쇠(17)의 걸림봉(20)에 걸리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짧은 시간내에 자체의 조립이 가능하면서 설치 또한 매우 용이하고 견고히 설치될 수 있으며 팽팽하고 단단히 구성된 그물망은 충격흡수력이 우수하여 안전망으로서의 가장 바람직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고 종래의 비합리적인 안전망 수단에 비해 특히 안전도가 탁월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하기에도 용이하고 편리하여 완벽한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크게 얻을 수 있는 효과도 크게 대두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구성품 전체가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또한 휴대 및 수송이 편리하여 어떤 장소이든지 극한되지 않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망으로서의 고유한 안전기능이 탁월하며 설치시의 외판도 미려하여 안전망분야의 새로운 차원을 제시하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의 돌출단(11) 아래에 걸림핀(12)이 용접되고 내측으로는 절개홈(15)이 형성되며 절개홈(15)의 좌우측에는 이와 연하도록 타원형의 구멍(16)이 형성되고 그 좌우로는 다시 구멍(13)(14)이 관통되도록 하며 돌출단(11)의 반대쪽에는, 요동쇠(21)를 가지는 걸림봉(20)이 횡으로 용접된 돌출쇠(17)를 가지고 저면 2게소에도 요동쇠(31)를 가지는 걸림봉(30)이 용접된 2개의 사각파이프(10)와, 턱(71)이 헝성된 반대쪽에는 더블너트(73)가 체결된 나사(72)를 가지는 2개익 연결봉(70)과, 리벳(50)에 의해 중앙이 서로 고정되면서 각각의 양단으로는 구멍(41)(51)이 형성된 보강쇠(40)(50)와, 4곳의 모서리를 모따기하고 사방 외연부로는 바깥으로 관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 포지(81)(82)를 봉제하며 좌우측 포지(S1)의 속에는 사각파이프(10)의 절개홈(15)의 틈새보다 직경이 큰 탄성로프(83)를 삽입한 그물망(80)으로 구성되며, 탄성로프(83)가 삽입된 포지(81)를 상기한 구멍(16)과 절개홈(15)을 통해 2개의 사각파이프(10) 중간에 끼운 다음 상하의 포지(82) 속에는 더블너트(73)를 빼낸 연결봉(70)을 끼우고 다시 더블너트(73)를 나사(72)에 나합시킨 후 연결봉의 양단을 구멍(13)(14) 속에 삽입되도록 하고 더블너트(73)를 조임에 따라 사각파이프끼리의 간격이 넓어져서 그물망(80)이 팽팽해질 수 있도록 하며, 보강쇠(40)(50)의 구멍(41)(51) 속으로는 걸림봉(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사각파이프의 위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서 완성되는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KR2019970006786U 1997-03-27 1997-03-27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KR200156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86U KR200156897Y1 (ko) 1997-03-27 1997-03-27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86U KR200156897Y1 (ko) 1997-03-27 1997-03-27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52U KR19980062452U (ko) 1998-11-16
KR200156897Y1 true KR200156897Y1 (ko) 1999-09-01

Family

ID=1949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786U KR200156897Y1 (ko) 1997-03-27 1997-03-27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8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52B1 (ko) * 2000-01-10 2003-04-26 (주)대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설공사용 보호망
KR100364501B1 (ko) * 2000-03-03 2002-12-16 여봉구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20063767A (ko) * 2001-01-30 2002-08-05 주식회사 성민산업 낙하물 방호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52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897Y1 (ko) 분해조립식 건설공사용 안전망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200409977Y1 (ko) 걸이식 교량 점검대
KR200408267Y1 (ko)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접이식 지지대
KR200201541Y1 (ko) 건설용 안전망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US5769181A (en) Ladder bracket and staging utilizing the same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0222845Y1 (ko) 건설공사용 다기능 안전망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1851505B1 (ko) 철골용 안전 난간대
JP4079061B2 (ja) 吊り足場
KR20000010071U (ko) 건축용 안전망
JP3162625U (ja) 屋根上作業用安全金具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200291504Y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KR100460230B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JP2019203316A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KR19980057459U (ko) 파이프 십자 결속용 고리 고정구
KR200367402Y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가설구조
KR102639802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체
KR200162505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JP2000104404A (ja) 鉄筋の施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鉄筋の仮組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