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845Y1 -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845Y1
KR200156845Y1 KR2019960000145U KR19960000145U KR200156845Y1 KR 200156845 Y1 KR200156845 Y1 KR 200156845Y1 KR 2019960000145 U KR2019960000145 U KR 2019960000145U KR 19960000145 U KR19960000145 U KR 19960000145U KR 200156845 Y1 KR200156845 Y1 KR 200156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nch
frame
support member
ba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897U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영일
Priority to KR201996000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845Y1/ko
Publication of KR970048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적게들며, 내구성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양측에 다리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이의 수평부 후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세워지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로 개재되는 좌석과 등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벤치에 있어서, 상기 좌석과 등받이를 프레임과 받침부재로 분리 형성하되, 상호 이종(異種)의 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과 등받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벤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에서 본 프레임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에서 본 프레임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A선에서 본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좌석판 3 : 등받이
16 : 프레임 18 : 받침부재
20 : 본체부 22, 24 : 굴곡부
26, 28 : 고정구 30, 34 : 상, 하면판
36, 38 : 통공 40, 42 : 통공
본 고안은 벤치에 상용되는 좌석이나 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적게 들며, 내구성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할수 있도록 한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공원이나 놀이 시설에는 많은 행락객들이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벤치는 대개 목재, 플라스틱, 시멘트 또는 철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목재 벤치의 경우에는 촉감은 좋으나, 원자재 가격이 계속 상승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또한 일정기간이 지나면 쉽게 노후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벤치의 경우에는 촉감이 나쁘고, 동절기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며, 파손시 다수의 첨예부의 발생으로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시멘트 벤치는 촉감이 나쁘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사용이 중지되어가고 있으며, 또한 철재 벤치의 경우에는 부식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팔걸이등의 세로받침 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 좌석 및 등받이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적게 들며, 내구성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에 다리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이의 수평부 후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세워지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측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로 개재되는 좌석과 등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벤치에 있어서, 상기 좌석과 등받이를 프레임과 받침부재로 분리 형성하되, 상호 이종(異種)의 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 등받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l 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부호 2는 벤치를 지칭한다. 상기 벤치(2)는 양측에 다리(4)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6)와, 이의 수평부(6) 후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세워지는 수직부(8)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10)의 수평부(6)와 수직부(8) 사이로 개재되는 좌석(12)과 등받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좌석(16)과 등받이(18)는 적어도 2명 이상이 앉을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벤치(2)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부호 2는 벤치를 지칭한다. 상기 벤치(2)는 양측에 다리(4)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6)와, 이의 수평부(6) 후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세워지는 수직부(8)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10)의 수평부(6)와 수직부(8) 사이로 개재되는 좌석(12)과 등받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좌석(16)과 등받이(18)는 적어도 2명 이상이 앉을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벤치(2)의 좌석(12)과 등받이(14)를 형성함에 있어서,본 고안은 프레임(16)과 받침부재(18)로 분리 형성하되, 상호 이종(異種)의 재질로 형성하였다.
즉, 상기에서 프레임(16)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내식성이 강한 개질로 형성하되, 제 2도에서와 같이, 사각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0)의 양측 장면부에 상단이 서로 내측으로 대향하는 굴곡부(22)(24)를 갖는 고정구(26)(28)를 일체로 입설하였다.
상기에서 굴곡부(22)(24)는 대략 90 내지 120℃로 형성하였으며, 이는 그 위로 결합되는 받침부재(18)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상면부(30)는 그의 중간부분을 양단부보다 낮게 형상하여 소폭부(32)로 형성하였으며, 이의 소폭부(32)와 하면부(34)에는 다수의 통공(36)(38)을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상면부(30)에 소폭부(32)를 형성한 것은 프레임(16)에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6)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18)는 촉감이 좋은 목재로서 이루어지며, 이의 양측 장변부에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상기 굴곡부(22)(2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단턱(40)(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프레임(16)과 받침부재(18)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져 하나의 좌석(12)과 등받이(14)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좌석(12)과 등받이(14)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촉감이 좋은 목재가 이용자와 접촉됨으로써, 촉감이 매우 좋아 이용자로 하여금 좋은 느낌을 갖게 한다.
그리고 구조적으로는 받침부재(18)와 프레임(l6) 사이로 수분 등이 유입되더라도 통공(36)(38)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프래임(16) 또는 받침부재(18)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16)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릴, 또는 합성수지로서 사출성형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일부인 받침부재(18)를 목재로 사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소원가가 적게 들며, 내구성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양측에 다리(4)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6)와, 이의 수평부(6)후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세워지는 수직부(8)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10)의수평부(6)와 수직부(8) 사이로 개재되는 좌석(12)과 등받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벤치(2)에 있어서, 상기 좌석(12)과 등받이(14)를 프레임(16)과 받침부재(18)로 분리 형성하되, 받침부재(18)가 목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과 등받이 구조.
  2. 제 1항에 있이서, 프레임(16)은 알루미늄 및 합성수지와 같이 내식성이 강한재질로 형성하되, 사각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0)의 양측 장면부에 상단이 서로 내측으로 대향하는 굴곡부(22)(24)를 갖는 고정구(26)(28)를 일체로 입설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과 등받이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굴곡부(22)(24)는 대략 90 내지 120℃ 로 형성하고, 상면부(30)는 그의 중간부분을 양단부보다 낮게 형성하여 소폭부(32)로 형성하며, 이의 소폭부(32)와 하면부(34)에는 다수의 통공(36)(3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과 등받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받침부재(18)는 목재로서 이루어지되, 상기 굴곡부(22)(2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단턱(40)(42)이 형성되어 프레임(16)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좌석과 등받이 구조.
KR2019960000145U 1996-01-09 1996-01-09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KR200156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145U KR200156845Y1 (ko) 1996-01-09 1996-01-09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145U KR200156845Y1 (ko) 1996-01-09 1996-01-09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897U KR970048897U (ko) 1997-08-12
KR200156845Y1 true KR200156845Y1 (ko) 1999-09-01

Family

ID=1944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145U KR200156845Y1 (ko) 1996-01-09 1996-01-09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897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7521A (en) Chair having a resiliently interconnected seat and back
CN101415352B (zh) 椅子靠背装置
US5599068A (en) Arcuately supported chair
US3709559A (en) Furniture for seating people
US3874726A (en) Moulded chairs
JPS6051889B2 (ja) 積み重ね可能なひじ掛け椅子
AU6565201A (en) A castored base for an office chair
KR200156845Y1 (ko)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 구조
CA2103283A1 (en) Rocker Block
KR102175267B1 (ko) 의자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0229584Y1 (ko) 벤치
KR200316000Y1 (ko) 의자
WO1998002065A1 (en) Seat for elderly and disabled
US5997096A (en) Chair with a seat-supporting unit capable of resisting left and right tilting of a seat supported thereon
US20160316916A1 (en) Banquet Chair with Outer Spring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CN218337993U (zh) 一种用于改善体育场馆视线的座椅
JPS6314696Y2 (ko)
KR200492979Y1 (ko) 관람석용 합성수지제 좌판
JP3672612B2 (ja) 遊具機能付きベンチユニット及び遊具機能付きベンチ
JPH06217845A (ja) リクライニングベンチ
CN212233772U (zh) 一种带可拆装木制椅脚的软吧椅
CN218484100U (zh) 一种靠背椅
KR200466175Y1 (ko) 유희 시설물 결합용 코일 스프링 연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