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71Y1 - 위조방지용 캔마개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캔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71Y1
KR200156771Y1 KR2019970001298U KR19970001298U KR200156771Y1 KR 200156771 Y1 KR200156771 Y1 KR 200156771Y1 KR 2019970001298 U KR2019970001298 U KR 2019970001298U KR 19970001298 U KR19970001298 U KR 19970001298U KR 200156771 Y1 KR200156771 Y1 KR 200156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upport piece
plug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151U (ko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염돈희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돈희, 주식회사대륙제관 filed Critical 염돈희
Priority to KR2019970001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캔마개에 관한 것으로, 캔에 결합되는 캔마개의 위조방지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사용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25)가 다수개의 절취편(26)에 의해 연결부(28)와 연결된 외부마개(30)를 주출입구(10)가 형성된 내부마개(12)에 나사식으로 결힙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12)의 상측으로 압입 결합되고 하단에 압입돌기(14)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16)이 형성된 지지편(20)과, 이 지지편(20)의 걸림편(16)에 맞물리도록 저면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걸림턱(24)이 형성된 외부마개(30)가 상기 지지편(20)의 상면에 돌출되게 결합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편에 형성된 걸림편이 외부마개에 형성된 걸림턱을 잡아주므로 외부마개가 지지편에 걸린 상태에서는 외부마개를 열 수 없어 위조방지가 증대되고, 외부마개가 지지편의 상측으로 돌출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마개를 열 때 손잡이를 잡기가 용이한 동시에 밀봉부가 없으므로 개봉이 단순해졌으며, 외부마개가 지지편의 상면에 결합되므로 주출입구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캔의 내용물을 안정감 있게 따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캔마개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캔마개에 관한 것으로, 주출입구가 형성된 내부마개의 상측으로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편을 내부마개에 끼우고 지지편의 상측으로 외부마개를 내부마개에 끼워 지지편의 상면에 돌출되게 결합한 후 캔의 굴곡부에 압임 결합하며, 주출입구를 길게 형성하여 캔의 내용물을 따를 때 안정감이 있고,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캔마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굴곡부(j)가 형성된 캔(1)의 끼움공(k)에 내측으로 주출입구(a)가 형성되고 상기 주출입구(a)의 외측으로 나사부(b)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걸림돌기(c)가 형성된 내부마개(d)가 캔(1)의 끼움공(k)으로 끼워져 내부마개(d)의 걸림돌기(c)가 캔(1)의 끼움공(k) 하단에 걸리도록하여 내부마개(d)가 캔(1)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마개(d)의 상측으로 내측에 나사부(e)가 형성된 외부마개(f)가 내부마개(d)의 나사부(b)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내부마개(d)의 상측으로 하단에 압입돌기(g)가 형성되고 상면에 밀봉부(h)가 형성된 지지편(i)이 캔(c)의 굴곡부(j)에 지지편(i)의 하단에 형성된 압입돌기(g)가 걸리도록 압입 결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캔마개를 열기 위해서는 지지편의 상면에 헝성된 밀봉부를 제거하고, 내부마개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마개를 열어 사용하였으나 외부마개가 내부 마개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내부마개의 내측에 결합된 외부마개를 손으로 잡고 여는 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캔마개를 개봉하여 사용시 개봉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내부마개에 형성된 주출입구는 외부마개가 내부마개의 내측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져 캔의 내용물을 따를 때 안정감있게 따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캔의 기움공에 내측으로 주출입구가 형성된 내부마개가 결합되고, 이 내부마개의 상측으로 하단에 압입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편이 캔의 굴곡부에 압입 결합되고, 이 지지편의 상측으로 내부마개에 나사결합되며 저면에 톱니모양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마개를 지지편의 걸림턱에 외부마개의 걸림턱이 맞물리도록 지지편의 상면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위조방지가 증대되며, 개봉시 손잡이를 잡기가 편한 동시에 개봉단계를 줄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과제는, 내부마개의 상측으로 압입 결합되고 하단에 압입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편과, 이 지지편의 걸림편에 맞물리도록 저면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걸림턱이 형성된 외부마개를 상기 지지편의 상면에 돌출되게 결합하여서 된 위조방지용 캔마개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제1도는 종래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5(a), (b), (c)는 본 고안의 외부마개를 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출입구 12 : 내부마개
14 : 압입돌기 16 : 걸림편
20 : 지지편 24 : 걸림턱
25 : 손잡이 26 : 절취편
28 : 연결부 30 : 외부마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25)가 다수개의 절취편(26)에 의해 연결부(28)와 연결된 외부마개(30)를 주출입구(10)가 형성된 내부마개(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한 것에 있어서, 하단에 캔(32)의 끼움공(36)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걸림돌기(2)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굴신부(4)와 일체로 연결된 결합부(6)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6)의 외주연에 나사부(8)가 형성된 내부마개(12)와, 이 내부마개(12)의 상측으로 끼워져 하단에 형성된 압입돌기(14)에 의해 캔(32)의 굴곡부(34)에 압입결합되고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걸림편(16)이 형성된 지지편(20)과, 상기 내부마개(12)의 결합부(6)에 끼워져 나사결합되게 내주연에 끼움부(22)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2)의 내주연에 나사부(23)가 형성되며 저면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걸림턱(24)이 형성된 외부마개(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캔(32)의 끼움공(36) 상측으로 내부마개(12)의 걸림돌기(2)가 캔(32)에 고정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마개(12)의 상측으로 지지편(20)이 끼워지며, 이 지지편(20)의 압입돌기(14)가 캔(32)의 굴곡부(34)에 걸려 고정되게 압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0)의 상측으로 외부마개(30)의 끼움부(22)에 형성된 나사부(23)가 내부마개(12)의 결합부(6)에 형성된 나사부(8)에 나사결합되어 내부마개(12)에 외부마개(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부마개(30)의 저면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걸림턱(24)은 지지편(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편(16)과 맞물리게 되고, 한쪽방향으로는 회동되나 다른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마개(30)의 걸림턱(24)이 지지편(20)의 걸림편(16)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외부마개(30)를 열 수 없다.
즉 외부마개(30)가 내부마개(12)에 나사결합 될 때는 걸림턱(24)이 회동되면서 내부마개(12)의 걸림편(16)에 걸리지만 걸림턱(24)의 경사면과 걸림편(16)의 탄성에 의해 걸림턱(24)이 걸림편(16)에 걸리지 않고, 반대방향으로는 걸림턱(24)에 경사면이 없으므로 걸림턱(24)이 걸럼편(16)에 걸려 맞물리므로 회동되지 않는다.
이렇게 캔(32)에 캔마개(40)가 결합되면 제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마개(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5)를 잡아 당겨 외부마개(30)의 연결부(28)에 연결되있던 다수개의 절취편(26)을 끊어 손잡이(25)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된다.
이때 손잡이(25)와 연결부(28)사이에 연결된 절취편(26)은 손잡이(25)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진다.
상기 손잡이(25)가 상측에 위치되면 제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5)를 잡고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손잡이(25)가 외부마개(3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마개(30)가 상측으로 상승되고, 외부마개(30)가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외부마개(30)의 하측에 형성된 끼움부(22)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내부마개(12)의 결합부(6)가 상승된다.
즉 외부마개(30)의 걸림턱(24)이 지지편(20)의 걸림편(16)에서 이탈되고, 내부마개(12)의 굴신부(4)는 상측으로 상승된다.
상기 내부마개(12)가 상측으로 상승되면 제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마개(30)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외부마개(30)의 끼움부(22)가 내부마개(12)의 결합부(6)에서 이탈된다.
이때 끼움부(22)의 나사부(23)가 결합부(6)의 나사부(8)에서 회동되면서 상측으로 상승되어 이탈된다.
한편 외부마개(30)가 내부마개(12)에서 이탈되면 캔(32)을 들어 내용물을 따를 수 있게 되며, 이때 내용물은 내부마개(12)의 주출입구(10)를 통하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지지편(20)에 형성된 걸림편(16)이 외부마개(30)에 형성된 걸림턱(24)을 한쪽방향으로만 회동되게 잡아주므로 외부마개(30)의 걸림턱(24)이 지지편(20)의 걸림편(16)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외부마개(30)를 열 수 없고, 손잡이(25)가 외부로 돌출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캔마개는, 지지편에 형성된 걸림편이 외부마개에 형성된 걸림턱을 잡아주므로 외부마개가 지지편에 걸린 상태에서는 외부마개를 열수 없어 위조방지가 증대되고, 외부마개가 지지편의 상측으로 돌출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마개를 열 때 손잡이를 잡기가 용이한 동시에 밀봉부가 없으므로 개봉이 단순해졌으며, 외부마개가 지지편의 상면에 결합되므로 주출입구를 길게 형성할수 있어 캔의 내용물을 안정감 있게 따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손잡이(25)가 다수개의 절취편(26)이 의해 연결부(28)와 연결된 외부마개(30)를 주출입구(10)가 형성된 내부마개(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12)의 상측으로 압입 결합되고 하단에 압입돌기(]4)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16)이 형성된 지지편(20)과, 이 지지편(20)의 걸림편(16)에 맞물리도록 저면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걸림턱(24)이 형성된 외부마개(30)를 상기 지지편(20)의 상면에 돌출되게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캔마개.
KR2019970001298U 1997-01-30 1997-01-30 위조방지용 캔마개 KR200156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298U KR200156771Y1 (ko) 1997-01-30 1997-01-30 위조방지용 캔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298U KR200156771Y1 (ko) 1997-01-30 1997-01-30 위조방지용 캔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1U KR19980057151U (ko) 1998-10-15
KR200156771Y1 true KR200156771Y1 (ko) 1999-09-01

Family

ID=1949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298U KR200156771Y1 (ko) 1997-01-30 1997-01-30 위조방지용 캔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1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7262A (en) Removable expanding fastener
EP1153842B1 (en)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KR200156771Y1 (ko) 위조방지용 캔마개
JP4754681B2 (ja) 蓋付き容器
JP2007091322A (ja) キャップ
KR200286570Y1 (ko) 위조 방지용 캔마개
JPH04118348U (ja) 中 栓
US6106025A (en) Oil nozzle lock device
KR200230915Y1 (ko) 위조 방지용 캔마개
KR940003219Y1 (ko) 위조 방지용 캔마개
KR200156772Y1 (ko) 위조방지용 캔마개의 보호캡
JPH088752Y2 (ja) 液体容器の中栓開閉装置
KR200144697Y1 (ko) 밥솥용 핸들 장착구조
KR940002629Y1 (ko) 오프너가 부설된 컵
KR940006899Y1 (ko) 오프너 겸용 보조뚜껑
KR200170005Y1 (ko) 캔의 주출입구용 플라스틱 캡
KR960008343Y1 (ko) 위조방지용 캔마개
KR20014286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캡 장착구조
KR200240444Y1 (ko) 다용도 오프너
KR870001097Y1 (ko) 캔의 주출입구
KR0131873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장치
KR200311273Y1 (ko) 정수기 캡의 결합구조
KR200261638Y1 (ko) 위조방지용 캔마개의 보호캡
KR200251096Y1 (ko) 다용도 오프너
KR200305491Y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