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04Y1 -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04Y1
KR200156704Y1 KR2019970006483U KR19970006483U KR200156704Y1 KR 200156704 Y1 KR200156704 Y1 KR 200156704Y1 KR 2019970006483 U KR2019970006483 U KR 2019970006483U KR 19970006483 U KR19970006483 U KR 19970006483U KR 200156704 Y1 KR200156704 Y1 KR 200156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acket
mode switch
switch assembly
guid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176U (ko
Inventor
한영운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70006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각 도어를 선택 모드에 따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관통공에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그 일단에 피니언기어가 고정되고 그 타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돌출되는 가이드턱과, 상기 가이드턱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부와 상기 가이드턱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샤프트가 브라켓에 너무 끼거나 헐겁게 결합될 위험이 없어지고,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립후에 수리등을 위하여 분해하기가 용이하므로 사후관리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Switch for mode control}
본 고안은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각 도어를 선택 모드에 따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송풍 유니트, 히터 유니트에 마련된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를 각각 선택된 모드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모드 스위치 조립체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장치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이 크래쉬 패드(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0)의 중심부에는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관통공(11)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크래쉬 패드의 전면에 노출되는 손잡이(12)가 고정 설치된 샤프트(13)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13)의 타단부가 관통공(11) 밖으로 돌출되어 피니언기어(15)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0)의 타측에는 랙기어 가이드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랙기어 가이드부(15)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5)와 치결합되는 랙기어부재(1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랙기어부재(16)에 예컨데, 공기조화장치의 송풍 유니트 또는 히터 유니트의 전환도어 및 혼합도어에 그 일측이 결합된 케이블(18)이 고정된다. 각 모드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재(16)가 왕복 이송되면, 상기 랙기어부재(16)에 결합된 케이블(18)이 상기 랙기어부재(16)와 함께 왕복 이송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8)의 일측에 결합된 각 유니트의 전환도어 또는 혼합도어는 소정 모드에 맞게 개폐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브라켓(10)의 일측에 랙기어부재(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일단에 피니언기어(15)가 결합된 샤프트(13)를 상기 피니언기어(15)를 상기 랙기어부재(16)의 세팅 포인트에 맞추어 맞물리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브라켓(10)의 관통공(11)에 샤프트(13)의 타단을 삽입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중에 샤프트(13)가 축방향의 하중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켓(10)의 관통홀(11) 입구에 너트 스프링(19)을 설치하여, 이 너트스프링(19)이 샤프트(13)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샤프트(13)에 손잡이(12)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샤프트(1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너트 스프링(19)을 사용하기 때문에, 너트 스프링(19)의 체결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샤프트(13)의 회전이 어렵게 되거나, 너트 스프링(19)이 너무 느슨하게 체결된 경우에는 샤프트(13) 유격이 과도하게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 조립체가 일단 조립된 후에는, 다시 분해하기가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수리 및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후에 샤프트의 축방향의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개략적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브라켓의 가이드부에 대한 "A"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샤프트 조립체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샤프트 조립체를 "B"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
도 5a, 도 5b, 도 5c는 삽입위치, 세팅위치, 종료위치에서 샤프트의 가이드턱과 브라켓의 가이드부의 상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0...브라켓 21...관통공
22...손잡이 23...샤프트
25...피니언기어 26...랙기어부재
30...가이드턱 41...슬롯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일측에 랙기어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그 일단에 상기 랙기어부재와 치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고정되고, 그 타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돌출되는 가이드턱을 갖는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턱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부와 상기 가이드턱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브라켓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슬롯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관통공 형성부 주위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브라켓의 가이드부에 대한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실시에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샤프트 조립체를 "B"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a 및 도 3a가 결합된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일측에 랙기어부재(도 4의 26)가 슬라이딩되는 랙기어 가이드부(27)가 마련되고, 브라켓(20)의 중심부에 관통공(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에 샤프트(23)가 삽입되어 그 양단부가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샤프트(23) 양단부 중, 그 일단에 상기 랙기어부재(26)와 치결합되는 피니언기어(25)가 고정되고, 그 타단에 손잡이(22)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3)에는 피니언기어(25)의 하부에 디텐트 돌기(35)가 설치되고, 이 디텐트 돌기(35) 하부의 샤프트(23)의 외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턱(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23)의 외주면 상기 디텐트 돌기(35)와 가이드턱(30) 사이에는 접촉부재(34)가 상기 샤프트(23)와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23)와, 이 샤프트(23)에 고정된 피니언기어(25), 디텐트돌기(35) 및 접촉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턱(30)은 완전한 원을 형성하지 않고, 소정 각도만큼만 연장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180)은 약 180도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각도는 180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할 슬롯의 각도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20)에는 가이드부(40)가 마련되어서, 상기 샤프트(23)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40)에는, 상기 샤프트(23)의 가이드턱(30)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41)과, 상기 가이드턱(30)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0)의 슬롯(41)은, 상기 브라켓(20)의 관통공(21) 형성부 주위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41)은 약 90도 형성되고, 나머지 270 도는 개구되어 있다.
이 슬롯(41)의 형성각도 역시 가이드턱(30)과 마찬가지로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가이드턱(30)의 각도와 슬롯(41)의 각도의 합이 360도를 넘으면, 샤프트(23)의 가이드턱(30)이 슬롯(41)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까지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샤프트(23)의 가이드턱(30)과 가이드부(40)의 슬롯(41)이 결합되는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브라켓(20)의 일측에 랙기어부재(2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 조립체의 피니언기어(25)를 랙기어부재(26)의 치에 맞물리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브라켓(20)의 관통공(21)에 샤프트(23)의 타단을 삽입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삽입과정에서, 샤프트 조립체의 가이드턱(30)과 브라켓(20)의 슬롯(41)이 도 3a와 같은 위치관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샤프트(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턱(30)이 가이드부(40)의 슬롯(41)과 겹치지 않은 상태, 즉 가이드부의 개구부(42)에 가이드턱(30)이 포함되도록 샤프트를 조절한 상태에서, 브라켓(20)의 관통공(21)에 샤프트(23)를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턱(30)과 슬롯(41)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샤프트(23)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턱(30)이 상기 슬롯(4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모드 스위치의 세팅포인트를 잡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23)를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가이드턱(30)이 도 5b와 같은 위치관계가 되도록 슬롯에 끼워진다. 즉 가이드턱(30)이 슬롯(41)에 약 10도(α) 정도 끼워지는 위치를 최초의 세팅포인트로 잡는다. 그리고 가이드턱(30)이 도 5c와 같은 위치관계가 될 때 스위치의 종료위치가 된다. 즉 가이드턱(30)이 슬롯(41)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기 전 약 20도(β)의 위치가 종료위치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모드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는 범위, 즉 가이드턱(30)과 슬롯(41)이 겹쳐지는 범위가 240도 정도가 되고, 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랙기어부재(26)가 수평이동하여 도어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턱(30)과 슬롯(41)이 겹쳐지는 범위에서는, 가이드턱(30)이 슬롯(4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샤프트(23)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턱(30)의 두께와 슬롯(41)의 홈 높이를 조정하여 그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보통의 스위치 작동상태인 도 5b로부터 도 5c까지 위치관계에서, 랙기어부재(26)는 피니언기어(25)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치를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세팅상태인 도 5a로부터 도 5b 사이의 위치관계에서, 피니언기어(25)와 맞물리는 치를 가져야 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랙기어부재(26)의 잇수는 종래보다 더 많아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너트 스프링과 같은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샤프트가 브라켓에 너무 끼거나 헐겁게 결합될 위험이 없어지고,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셋째, 조립후에 수리등을 위하여 분해하기가 용이하므로 사후관리에 적합한 구조이다.

Claims (2)

  1. 일측에 랙기어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그 일단에 상기 랙기어부재와 치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고정되고, 그 타단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돌출되는 가이드턱을 갖는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턱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부와 상기 가이드턱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브라켓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슬롯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관통공 형성부 주위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19970006483U 1997-03-31 1997-03-31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0156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83U KR200156704Y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83U KR200156704Y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176U KR19980062176U (ko) 1998-11-16
KR200156704Y1 true KR200156704Y1 (ko) 2000-05-01

Family

ID=1949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483U KR200156704Y1 (ko) 1997-03-31 1997-03-31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176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114A (e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a motor vehicle headlamp
US20040108436A1 (en) Longitudinal seat adjustment device,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DE602005002992T2 (de) Kippmechanismus und Spiegelsystem
US6410871B1 (en) Retractable rotary knob for switch including latch mechanism
CA2125624C (en) Quarter window opening/closing apparatus
US20040264015A1 (en) Electrically operable pivoting actuator for door mirror of motor vehicle
US5167465A (en) Securing device for manipulated component
KR200156704Y1 (ko)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EP1559951B1 (de)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Fahrzeugleuchte
DE19527163B4 (de) Kraftfahrzeugscheinwerfer
US5265487A (en) Apparatus for indexing a rack and pinion mechanism
DE19541118A1 (de) Getriebe für Verstellantriebe in Kraftfahrzeugen
CA2276937A1 (en) Push-on adjustable cable strand end-fitting
EP0943524A1 (de) Lenksäul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1551667B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DE10046301C5 (de) Fahrzeug-Leuchtweitenregelungsvorrichtung
JP412208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の組み付け構造
US5027301A (en) Retractable head lamp devic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967536B1 (ko) 공기조화장치의 연결부재
JPS5928887Y2 (ja) 車両用機器の操作装置
KR200147749Y1 (ko)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010046610A (ko) 도어용 댐퍼장치
DE4426644C1 (de) Elektrische Einrichtung
KR100206041B1 (ko) 자동차의 기기제어용 안전노브
KR0173049B1 (ko) 차량용 인 핸들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