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262Y1 -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262Y1
KR200156262Y1 KR2019950054843U KR19950054843U KR200156262Y1 KR 200156262 Y1 KR200156262 Y1 KR 200156262Y1 KR 2019950054843 U KR2019950054843 U KR 2019950054843U KR 19950054843 U KR19950054843 U KR 19950054843U KR 200156262 Y1 KR200156262 Y1 KR 200156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air chamber
volume
auxiliary air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943U (ko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4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262Y1/ko
Publication of KR970042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흡기소임을 저감시켜주는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명기의 내부에 가변체적을 갖는 별도의 보조 공기실을 설치하고, 이 보조 공기실이 엔진의 흡기조건에 맞게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여러 흡기소음을 폭넓게 저감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가변형 공명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공명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명기 11 : 흡기통로
12 : 공기 유입구 13 : 보조 공기실
14 : 진공펌프 15 : 주름부
16 : 에어 플로센서(Air Flow Sensor)
17 : 전자 제어 유니트(Electric Control Uni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흡기소음을 저감시켜주는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명기의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하여 흡기조건에 따른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흡기계통에 설치되는 공명기는 흡기 매니폴드를 통과하는 흡기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하는 바, 이러한 공명기(10)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체적을 갖는 밀폐형의 상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흡기통로(11)와 통하는 공기 유입구(12)가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공명기(10)는 한정된 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때의 체적특성에 맞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만을 저감가능한 취약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명기의 내부에 가변체적을 갖는 별도의 보조 공기실을 설치하고, 이 보조 공기실이 엔진의 흡기조건에 맞게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여러 흡기소음을 폭넓게 저감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 흡기계통의 공명기(10)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10)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12)와 연통되면서 소정의 체적을 갖는 밀폐형의 접이식 보조 공기실(13)을 설치하고, 공명기(10)의 일측에는 그 내부와 통하는 진공펌프(14)를 구비하여, 진공펌프(14)의 작동과 함께 형성되는 공명기 내압에 따라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조 공기실(13)은 각각의 면에 신축변형 가능한 주름부를 갖는 사각 상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4)는 에어플로센서의 검지신호를 입력값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은 공명기(10)의 체적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4)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력을 구동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공명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공명기를 나타낸다.
상기 공명기(10)는 일정 체적을 갖는 사각 상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공기 청정기와 서지탱크 사이에 연결된 흡기통로(11)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유입구(12)가 연통되어 있다.
즉, 흡기통로(11)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12)를 통하여 공명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실질적으로 공기 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보조 공기실(13)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3은 보조 공기실을 나타낸다.
상기 보조 공기실(13)은 마치 공명기(10)를 일정비율로 축소시켜 놓은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 공기실(13)의 상하면과 좌우면의 일부구간을 신축변형 가능한 주름부(15)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주름부(15)가 형성됨에 따라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보조 공기실(13)은 공명기(10)의 내부에 정위치 되면서 공명기 내부와는 차단될 수 있는 별도의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부의 공기 유입구(12)와 직접 연통되면서 이곳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량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4는 진공펌프를 나타낸다.
상기 진공펌프(14)는 공명기(1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공명기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펌프(14)는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게 되며, 상기 흡기통로(11)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플로센서(16)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17)에 의한 출력제어를 받게 된다.
즉, 상기 에어 플로센서(16)가 흡기통로(11)의 공기유량을 검지하여 이때의 검지값을 전자 제어 유니트(17)에 보내면, 전자 제어 유니트(17)에서는 진공펌프(14)에 전달되는 동력제어를 통하여 진공펌프(14)의 작동시간을 단속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4)의 작동에 의해 공명기(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이때의 공명기의 내부는 진공부압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빠져나간 공기량에 비례하여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확대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가능한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공명기(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부압이 소멸되면, 보조 공기실(13)이 갖는 주름부(15)의 자체탄성복원력에 의해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축소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가능한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결정되면, 이때의 체적이 갖는 특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공기실(13)은 이것을 둘러싸고 있는 공명기(10)의 진공도에 따라 임의의 체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되므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체적을 임의의 크기로 가변시킬 수 있는 공명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흡기 소음을 폭 넓게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자동차 흡기계통의 공명기(10)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10)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12)와 연통되면서 소정의 체적을 갖는 밀폐형의 접이식 보조 공기실(13)을 설치하고, 공명기(10)의 일측에는 그 내부와 통하는 진공펌프(14)를 구비하여, 진공펌프(14)의 작동과 함께 형성되는 공명기 내압에 따라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기실(13)은 각각의 면에 신축변형 가능한 주름부를 갖는 사각 상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14)는 에어 플로센서의 검지신호를 입력값으로 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기실(13)의 체적은 공명기(10)의 체적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14)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력을 구동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공명기.
KR2019950054843U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KR200156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843U KR200156262Y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843U KR200156262Y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43U KR970042943U (ko) 1997-07-29
KR200156262Y1 true KR200156262Y1 (ko) 1999-09-01

Family

ID=1944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843U KR200156262Y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540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용 실내 공명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540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용 실내 공명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590184B1 (ko) * 2008-12-19 2016-01-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용 실내 공명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43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1156B2 (ja) 電子ターボチャージャ・ウェストゲート弁制御装置
US6412277B2 (en) Arrangement for producing a vacuum in a motor vehicle system
WO1999006688A1 (en) Evaporative emission system for low engine intake system vacuums
KR200156262Y1 (ko) 자동차의가변형공명기
JP2005527740A (ja) 自動車内の音を修正するための装置
US6824591B2 (en) Air fil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65600A (en) Diesel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US5271228A (en) Turbocharged engine
KR100461083B1 (ko) 차량의 배기 압력 제어장치
JPS6385251A (ja)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ナ装置
KR100211359B1 (ko) 자동차용 흡기 장치
KR100252356B1 (ko) 가변 흡기 장치
KR19980035842A (ko) 자동차용 가변형 엔진흡기소음 저감장치
KR19980053122A (ko) 엔진의 흡기소음저감장치
KR200142724Y1 (ko) 자동차 엔진 서지탱크의 체적 가변장치
KR800001247Y1 (ko) 엔진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KR200142450Y1 (ko) 자동차의 가변 공명장치
KR100217073B1 (ko) 서어지 탱크 유동 분포 개선장치
KR19980038642A (ko) 엔진의 흡기소음 저감장치
KR19980051140A (ko) 흡기계 소음 저감구조
KR19980020715U (ko) 흡, 배기 소음저감용 레조레이터
KR970044348A (ko) 차량용 머플러의 응결수 배출장치
KR10027624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9980038524A (ko) 차량용 흡기시스템의 공명챔버장치
KR970066051A (ko) 흡기 소음 저감용 가변 공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