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108Y1 -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108Y1
KR200156108Y1 KR2019970013332U KR19970013332U KR200156108Y1 KR 200156108 Y1 KR200156108 Y1 KR 200156108Y1 KR 2019970013332 U KR2019970013332 U KR 2019970013332U KR 19970013332 U KR19970013332 U KR 19970013332U KR 200156108 Y1 KR200156108 Y1 KR 200156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aquarium
tanks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591U (ko
Inventor
이용찬
Original Assignee
이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찬 filed Critical 이용찬
Priority to KR2019970013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108Y1/ko
Publication of KR97005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일의 수족관에 담수나 해수를 격리한 상태에서 저수 하되, 특히, 저수된 담수(또는 해수)는 단일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는 해수(또는 담수)의 잠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토록 함으로써,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격리한 상태에서 따로 전시,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하측에는 중공의 기계실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제1, 2, 3 수조가 단계적으로 구획되며 수족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수조에 저수된 물이 다른 유로를 갖고 유입되는 제1, 2 여과부와, 상기 제2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2 여과부로 유수 안내하는 유수 안내수단과, 상기 제3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내측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수단과, 상기 제1, 2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여과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3 수조로 강제 토출시키는 한쌍의 제1, 2 순환펌프 그리고 한쌍의 제1, 2 토출관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본 고안은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수족관에 담수나 해수를 격리한 상태에서 저수 하되, 특히, 저수된 담수(또는 해수)는 단일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는 해수(또는 담수)의 잠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토록 함으로써,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격리한 상태에서 따로 전시,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수족관은 담수나 해수를 저수한 상태에서 횟감으로 즐기는 활어를 전시, 보관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관상어를 기를 때 사용하는 일반 어항과 다소 구별된다.
이러한 수족관은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반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것이다.
즉, 수족관 본체(100)는 고가이며 불투명한 아클릴로 구성된 다수의 프레임(110)과 판체(120) 그리고 유리(130)를 부착 함으로써, 적어도 한개 이상의 수조(200)가 사각의 함체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고, 그 하방에는 중공의 기계실(300)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300)에는 그 상단부는 상기 수조(2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기계실(300)의 내측으로 유입된후, 그 일측에 구비된 여과부(320)의 일측과 연통되는 유입관(310)에 의해 관통 설치된다.
상기 여과부(320)의 타측에는 상기 여과부(320)를 거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330)가 관체에 의해 연결 구비되고, 냉각부(330)의 타측에는 냉각부(330)를 거쳐 유입된 물을 다시 토출관(350)을 통하여 상기 수조(200)측으로 강제 토출 시키는 순환펌프(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조(200)의 내측에 저수된 물은 유입관(310)을 통하여 상기 여과부(320)로 유입되며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고, 여과부(320)를 통과한 물은 상기 냉각부(330)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며, 다시, 상기 순환펌프(340)와 상기 토출관(350)에 의해 수조(200)로 펌핑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족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일반적인 수족관은 그 수조(200)에 담수나 해수중 어느 한종류의 물을 저수하고, 또, 저수된 물에는 그 물의 특성에 적당한 민물고기 또는 바다 물고기중 어느 한종류의 물고기 만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시, 판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히 대중음식점에서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동시에 전시, 판매할 경우에는 고가(高價)인 두종류의 수족관을 구입, 사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안겨주었다.
또한, 상기 유입관(310)은 상기 수조(200)에 저수된 물을 여과부(320)측을 향해 반복 유입시키며 물에 함유된 물고기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유입관(310)은 수조(200)에 대해 일측에 설치된 구조로 말미암아 타측에 쌓인 이물질은 유입관(310)을 통하여 충분히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수조(200)에서 배출되지 않는 이물질에 의해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은, 수조(200)가 틀 및 측면 또는 배면을 형성하는 불투명한 판체(130)에 의해 형성된 관계로 가중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뿐만 아니라, 수족관을 적어도 두 개의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사용시, 상측에 놓여진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물이 그 하측의 수조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수조의 바깥으로 물이 튕겨져 나와 주위를 지저분하게 하는 또다른 문제점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족관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일의 수족관에 담수나 해수를 격리한 상태에서 저수 하되, 특히, 저수된 담수(또는 해수)는 단일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는 해수(또는 담수)의 잠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토록 함으로써,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격리한 상태에서 따로 전시, 판매할 수 있도록하되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수조의 내측에 쌓인 물고기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 용이하게 제거 됨으로써, 미관을 향상하고 청결을 유지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단일체의 수족관에 수조를 단계적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수조의 상측에 저수된 물이 그 전방에 형성된 투명체의 전면을 스치며 흐르도록 하고, 또, 그 측면과 배면을 단일의 통유리로 구성 함으로써, 미관을 향상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수족관을 단계적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된 수조의 물이 하측에 배치된 수조측으로 오버 플로우될 때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이 수조의 바깥으로 튕겨져 나감을 방지 함으로써, 수족관의 주위를 깔끔하게 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족관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수족관의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족관 본체 11,12,13 : 제1, 2, 3 수조
20 : 기계실 30,40 : 제1, 2 여과부
31,41 : 제1, 2 케이싱 32,42 : 제1, 2 여과재
50 : 유수 안내수단 51,61 : 제1, 2 물받이
52 : 안내관 53,63 : 이물질 배출관
54 : 개폐밸브 62 : 바이패스관
70 : 냉각부 80,81 : 제1, 2 순환펌프
90,91 : 제1, 2 토출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측에는 중공의 기계실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제1, 2, 3 수조가 단계적으로 구획되며 수족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수조에 저수된 물이 다른 유로를 갖고 유입되는 제1, 2 여과부와, 상기 제2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2 여과부로 유수 안내하는 유수 안내수단과, 상기 제3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내측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수단과, 상기 제1, 2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여과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3 수조로 강제 토출시키는 한쌍의 제1, 2 순환펌프 그리고 한쌍의 제1, 2 토출관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A-A선과, B-B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본체(10)는 하측에는 중공의 기계실(20)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제1, 2, 3 수조(11)(12)(13)가 단계적으로 구획되며 수족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수조(12)는 그 하측 일부가 물이 담겨진 상기 제1 수조(11)의 상방 내측에 일부 잠겨지고, 상기 제3 수조(13)의 하측 일부는 물이 담겨진 상기 제2 수조(12)의 상방 내측에 일부 잠겨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 3 수조(11)(13)에 저수된 물의 온도를 전도받아 상기 제2 수조(12)에 저수된 물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냉각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3 수조(11)(13)의 내측에는 해수가 저수되고, 상기 제2 수조(12)의 내측에는 담수를 저수함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5와 같이, 상기 기계실(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2 수조에 저수된 물이 다른 유로를 갖고 유입되는 제1, 2 여과부(30)(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2 여과부(30)(40)는 내측에 여과재(32)(42)가 담겨지는 분리 구성된 제1, 2 케이싱(31)(41)을 가지며, 상기 제1, 2 케이싱(31)(41)은 상기 제1, 2 수조(11)(12)에서 유입된 물이 상호 열교환 되도록 면 접촉된다.
상기 제2 수조(12)의 하방에는 상기 제2 수조(12)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2 여과부(40)로 유수 안내하는 유수 안내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13)의 하방에는 상기 제3 수조(13)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1 수조(11)의 내측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유수 안내수단(50)은 상기 제2 수조(1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조(12)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이 담겨지는 제1 물받이(51)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물받이(51)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조(11)와 상기 기계실(20)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여과부(40)로 연통되는 안내관(52)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60)은 상기 제3 수조(13)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13)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이 담겨지는 제2 물받이(61)와, 일단부는 상기 제2 물받이(61)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조(12)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조(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바이패스관(62)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관(52)과 상기 바이패스관(62)의 적당한 곳에는 일단부가 그들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3 수조(12)(13)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각 수조(12)(13)에 저수된 물이 각 관(52)(62)을 통하여 배수될 때 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배수되며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관(53)(63)과 개폐밸브(54)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 3 수조(12)(13)의 전면은 그 양측 높이보다 다소 낮게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 2 여과부(40)(5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2 여과부(40)(5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냉각하는 통상적인 냉각부(70)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70)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부(40)(5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3 수조(12)(13)로 강제 토출시키는 한쌍의 제1, 2 순환펌프(80)(81) 그리고 한쌍의 제1, 2 토출관(90)(91)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0b1000c은 제1 수조에 저수된 수조를 회수하는 회수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전체적인 설치상태는 도 3 내지 도 5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상태는 상기 제1, 2, 3 수조(11)(12)(13)에는 저수하고자 하는 물, 예를 들어 제1, 3 수조(11)(13)에는 해수가 그리고 제2 수조(12)에는 담수가 가득 채워진 상태일 것이다.
또한, 이 상태는, 상기 제2, 3 수조(11)(13)의 상측에 가득채워져 그 전방으로 흐르는 담수와 해수는 폭포와 같이, 그 전방으로 오버플로우 된후, 그 하측에 구비된 상기 제1, 2 물받이(51)(6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담수와 해수는, 상기 안내관(52)과 상기 제2 여과부(40)로 유입되며, 유입된 담수는 순환펌프(81)와 제2 토출관(81)을 통해 다시 제2 수조(12)로 토출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제2 물받이(61)로 오버플로우된 해수는 상기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조(11)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 수조(11)에 채워진 해수는 그 일측에 구비된 회수관을 통하여 기계실(20)의 내측에 구비된 제2 여과부(40)를 통하여 냉각부(70)에서 냉각된후, 상기 제1 순환펌프(80)와 제1 토출관(90)을 통하여 다시 제3 수조(13)로 토출된다.
그러나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 제2 수조(12)에 저수된 담수는 상기 제1, 3 수조(11)(13)에 저수된 해수의 온도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1, 3 수조(11)(13)의 사이에 배치되며 담수가 저수된 제2 수조(12)는 그 하측일부가 해수가 저수된 상기 제1 수조(11)의 상측에 일부 잠겨지고, 해수가 저수된 제3 수조(13)의 하측 일부는 제2 수조(12)의 상측에 일부 잠겨지게 구성된 관계로 제1, 3 수조(11)(13)에 냉각된 상태에서 저수된 해수의 잠열에 의해 제2 수조(12)의 담수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즉, 제1, 3 수조(11)(13)에 저수된 해수는 순환펌프(80)에 의해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70)를 통과하며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상태에서 제1, 3 수조(11)(13)로 토출되고, 이와 같이 반복 순환되는 해수의 잠열에 의해 제2 수조(12)에 저수된 담수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부는, 제2, 3 수조(12)(13)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은 상술했던 바와 같이, 안내관(52)과 바이패스관(62)에 의해 각각 다른 유로를 형성하며 다시 회수되므로 해수와 담수가 섞이지 않는 상태에서 수족관이 폭포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부는, 안내관(52)과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담수와 해수가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일단부는 이들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3 수조(12)(13)의 각 바닥면과 관통된 이물질 배출관(53)(63)은 안내관(52)과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유출되는 물의 유속에 의해 그 유속이 증가한 상태에서 배출되므로 제2, 3 수조(12)(13)의 바닥에 쌓인 물고기 등의 배설물을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수족관의 수조에 담수나 해수중 어느 한종류의 물을 저수하고, 또, 저수된 물에는 그 물의 특성에 적당한 민물고기 또는 바다 물고기중 어느 한종류의 물고기 만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시, 판매해야 했으므로, 특히, 대중 음식점에서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동시에 전시, 판매할 경우 고가(高價)인 두종류의 수족관을 구입, 사용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은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유입관을 통하여 수조에 저수된 물을 여과부측을 향해 반복 유입시키며 물에 함유된 물고기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도, 유입관이 수조에 대해 일측에 설치된 구조로 말미암아 타측에 쌓인 이물질이 유입관을 통하여 충분히 배출되지 않았던 문제점 또한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수족관을 적어도 두 개의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사용시, 상측에 놓여진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되는 물이 그 하측의 수조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수조의 바깥으로 물이 튕겨져 나와 주위를 지저분하게 했던 종래의 문제점도 해결된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일실시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두개의 수족관을 좌, 우로 대칭되게 설치 사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또, 도 7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 2, 3 수조를 원형으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미관을 향상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도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제1, 2, 3 수조를 양분하여 사용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의 수족관에 담수나 해수를 격리한 상태에서 저수 하되, 특히, 저수된 담수(또는 해수)는 단일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는 해수(또는 담수)의 잠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토록 함으로써, 민물고기와 바다 물고기를 격리한 상태에서 따로 전시, 판매할 수 있도록하여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고, 또, 수조의 내측에 쌓인 물고기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 용이하게 제거 됨으로써, 미관을 향상하고 청결을 유지하며, 단일체의 수족관에 수조를 단계적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수조의 상측에 저수된 물이 그 전방에 형성된 투명체의 전면을 스치며 흐르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8)

  1. 하측에는 중공의 기계실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제1, 2, 3 수조가 단계적으로 구획되며 수족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수조에 저수된 물이 다른 유로를 갖고 유입되는 제1, 2 여과부와,
    상기 제2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2 여과부로 유수 안내하는 유수 안내수단과,
    상기 제3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내측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수단과,
    상기 제1, 2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여과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3 수조로 강제 토출시키는 한쌍의 제1, 2 순환펌프 그리고 한쌍의 제1, 2 토출관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는 그 하측 일부가 물이 담겨진 상기 제1 수조의 상방 내측에 일부 잠겨지고, 상기 제3 수조의 하측 일부는 물이 담겨진 상기 제2 수조의 상방 내측에 일부 잠겨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 3 수조에 저수된 물의 온도를 전도받아 상기 제2 수조에 저수된 물이 설정된 온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수조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담수가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여과부는 내측에 여과재가 담겨지는 분리 구성된, 제1, 2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 케이싱은 상기 제1, 2 수조에서 유입된 물이 상호 열교환 되도록 면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안내수단은 상기 제2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이 담겨지는 제1 물받이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물받이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기계실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여과부로 연통되는 안내관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제3 수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수조에서 오버 플로우 되는 물이 담겨지는 제2 물받이와, 일단부는 상기 제2 물받이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조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조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바이패스관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적당한 곳에는 일단부가 그들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3 수조의 바닥면과 관통되어 상기 제2, 3 수조의 바닥면에 쌓인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관과 개폐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수조를 형성하는 후벽은 단일의 투명한 유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2019970013332U 1997-06-04 1997-06-04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KR200156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332U KR200156108Y1 (ko) 1997-06-04 1997-06-04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332U KR200156108Y1 (ko) 1997-06-04 1997-06-04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91U KR970050591U (ko) 1997-09-08
KR200156108Y1 true KR200156108Y1 (ko) 1999-10-01

Family

ID=1950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332U KR200156108Y1 (ko) 1997-06-04 1997-06-04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1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1Y1 (ko) * 2011-06-03 2013-01-08 박수현 복수개의 수조 연결이 용이한 수산물용 수족관
KR101370423B1 (ko) 2011-10-21 2014-03-07 백만권 수족관
KR101898818B1 (ko) * 2017-10-30 2018-09-13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1966158B1 (ko) * 2017-11-24 2019-08-13 주식회사 선영비앤씨 육류의 워터에이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1Y1 (ko) * 2011-06-03 2013-01-08 박수현 복수개의 수조 연결이 용이한 수산물용 수족관
KR101370423B1 (ko) 2011-10-21 2014-03-07 백만권 수족관
KR101898818B1 (ko) * 2017-10-30 2018-09-13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1966158B1 (ko) * 2017-11-24 2019-08-13 주식회사 선영비앤씨 육류의 워터에이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91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424A (en) Aquarium ecosystem
US2594474A (en) Refrigerated display tank
US3903844A (en) Aquarium equipment
US8651017B2 (en) Filter assembly for fryer and method
US5632266A (en) Fryer
JPH03195434A (ja) 観賞魚用水槽
KR200156108Y1 (ko) 수족관의 수조 냉각장치
US3814254A (en) Aquarium cleansing apparatus
US6138294A (en) Cooling device for compact pumping and filtration assembly for swimming pool
JPH03151812A (ja) 切り花展示用水槽
GB217287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US2652151A (en) Filter
JP2016028688A (ja) 揚げ物の製造装置
JP3851832B2 (ja) 養魚槽装置
KR100320656B1 (ko) 튀김기용 유수분리 정화기
KR200185522Y1 (ko) 튀김기용 유수분리 정화기
JP6191992B2 (ja) 循環濾過機能を備えた揚げ物の製造装置
KR200338842Y1 (ko) 어류의 관찰이 용이한 다단식 수족관
JPH0131905Y2 (ko)
KR960010274Y1 (ko) 수족관
TWI815687B (zh) 改良水冷式油水分離油炸機
JP5560392B1 (ja) 循環濾過機能を備えた揚げ物の製造装置
JP3150462B2 (ja) 小型水槽用冷却装置
JPH02224620A (ja) ショーケース
JP2002119203A (ja) 冷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