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784Y1 -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784Y1
KR200155784Y1 KR2019950000565U KR19950000565U KR200155784Y1 KR 200155784 Y1 KR200155784 Y1 KR 200155784Y1 KR 2019950000565 U KR2019950000565 U KR 2019950000565U KR 19950000565 U KR19950000565 U KR 19950000565U KR 200155784 Y1 KR200155784 Y1 KR 200155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haft
handle
rack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696U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00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784Y1/ko
Publication of KR960026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6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제와, 구동축과 종동축에 무한궤도식의 물걸레가 걸려진 물걸레조립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힌지핀에 단부가 축지되고 타부에는 래크가 형성된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래크에 대응되는 면에 래크가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종동축의 힌지핀에 의해 축지된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 및 상기 하부지주를 수용하며 일면에는 홈이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상부지주의 래크와 상기 하부지주의 래크사이에 설치된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의 홈에 계합되며 상기 피니언축의 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누를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걸레가 감겨진 종동축과 구동축사이의 축간 거리를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이동시켜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물걸레를 물걸레조립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본 고안은 구동축과 종동축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되어 물걸레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특히 물걸레조립체의 구동축과 종동축의축간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동축과 종동축에 걸리는 물걸레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 및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봉투(2)가 설치되고, 상기본체(1)에는 호스(4)의 일단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호스(4)의 타단은 실내의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체(5)에 삽입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상기 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체(5)로 먼지가 함유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체(5)로 흡입되는 먼지가 함유된 공기는 상기 호스(4)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먼지봉투(2)로 유입되게 된다.
또, 상기 먼지봉투(2)에서는 먼지가 집진되게 되고, 상기 먼지봉투(2)에서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집진하여 청소하는 기능이외에 바닥을 물걸레질할 수 있는 물걸레기능이 추가된 진공청소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흡입체의 내부에 후진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이 설치되고, 이 구동축에는 물흡수능력이 우수한 스폰지 등의 흡수재가 말려 있다.
이와 같은 물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물걸레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구동축을 흡입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흡수재에 물을 적시고, 이 물이 적셔진 흡수재를 흡입체에 조립시킨 후 흡입체를 전진시키면 흡수재가 바닥과 접촉되어 물걸레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과 접하는 흡수재가 더러워지면 흡입체를 후진시켜서 구동축이 간헐적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흡수재가 회동되어서 흡수재의 깨끗한 면이 바닥에 접하게 되어 바닥을 청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물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흡수재가 구동축에 단순하게 감겨있으므로 흡수재의 길이가 짧게 되고, 흡수재의 길이가 짧으므로 인해서 구동축이 1회전하게 되면 흡수재도 1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축의 직경에 따라서 흡수재의 사용량이 결정되는데, 구동체의 직경이 한정되므로 구동체에 감겨지는 흡수재의 길이도 짧아져 넓은 바닥을 물걸레 청소할 경우 흡수재를 빈번하게 교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에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6362호가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6362호는 구동축과 종동축사이에 물걸레를 무한궤도식으로 설치하여 물걸레를 빈번하게 교환함이 없이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6362호는 물걸레를 교환할 경우 물걸레를 교환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축과 종동축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된 물걸레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는, 청소하고자 하는 면과 접하여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에 조립되어서 물걸레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동축과 종동축에 무한궤도식의 물걸레가 걸려진 물걸레조립체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힌지핀에 단부가 축지되고 타부에는 래크가 형성된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래크에 대응되는 면에 래크가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종동축의 힌지핀에 의해 축지된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 및 상기 하부지주를 수용하며 일면에는 홈이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상부지주의래크와 상기 하부지주의 래크사이에 설치된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의 홈에 계합되며 상기 피니언축의 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누를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의하면, 물걸레가 감겨진 종동축과 구동축사이의 축간 거리를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이동시켜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물걸레를 물걸레조립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된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걸레장치의 피니언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부부품을 발췌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걸레장치의 피니언축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에서 일부부품을 발췌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체 11 : 흡입구
12 : 축받이부 13 : 연장관
20 : 물걸레조립체 21 : 구동축
21a : 힌지핀 22 : 종동축
22a : 힌지핀 30 : 지주
31 : 상부지주 32 : 하부지주
33 : 래크 34 : 래크
35 : 피니언축 35a : 돌기
36 : 안내관 36a : 홈
37 : 손잡이 38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부부품을 발췌하여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10)은 청소하고자 하는 면과접하여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체로써, 그 저면에는 먼지가 함유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흡입체(10)에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서 흡입된 먼지가 함유된 공기가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되도록 먼지가 함유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중공형상의 연장관(1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체(10)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물걸레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축받이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관(13)에는 후술하는 물걸레조립체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홀더(2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20)는 물걸레청소를 할 수 있도록 진공청소기에 장착되는 물걸레조립체로써, 상기 흡입체(10)의 후진시 간헐구동부재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21)과, 상기 구동축(21)의 직상부에 설치된 종동축(22)과, 상기 종동축(22) 및 상기 구동축(21)에 무한궤도식으로 걸려진 물걸레(23)로 구성된다.
또,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사이에는 상기 물걸레(23)가 무한궤도식으로 걸려지도록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을 이격시키는 지주(3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30)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물걸레(23)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30)는, 상기 구동축(21)의 힌지핀(21a)에 단부가 축지되고 타부에는 래크(34)가 형성된 하부지주(32)와, 상기 하부지주(32)의 래크(34)에 대응되는 면에 래크(33)가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종동축(22)의 힌지핀(22a)에 의해 축지된 상부지주(31)와, 상기 상부지주(31) 및 하부지주(3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지주(31) 및 상기 하부지주(32)를 수용하며 일면에는 홈(36a)이 형성된 안내관(36)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안내관(36)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상부지주(31)와 상기 하부지주(32)의 래크(34)사이에서는 피니언축(35)이 기어맞춤되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축(35)에는 상기 피니언축(35)을 회전시켜서 상기 상부지주(31)와 상기 하부지주(32)를 이동시켜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하는 손잡이(37)가 상기 안내관(3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손잡이(37)가 형성된 상기 피니언축(35)의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37)를 사용자가 돌리지 않을 경우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관(36)의 홈(36a)에 계합되는 돌기(3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37)와 상기 안내관(36)의 사이에는 상기 돌기(35a)가 상기 안내관(36a)의 홈(36a)에 계합되어서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37)를 부세시키는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37)와 상기 안내관(36)의 사시에는 스프링(38)이 설치되어서 평상시에는 제3(a)도와 같이 상기 손잡이(37)를 부세시켜서 상기 돌기(35a)와 상기 홈(36a)이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7)를 누를 경우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38)이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35a)가 상기 홈(36a)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손잡이(37)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어 상기 상부지주(31)와 상기 하부지주(32)의 축간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상부지주(31)의 래크(33)와 상기 하부지주(32)의 래크(34)가 상기 안내관(3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축(35)과 상기 래크(33,34)가 기어맞춤되면 상기 지주(3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걸레조립체(20)이 구동축(21)에 상기 힌지핀(21a)이 상기 축받이부재(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24)가 상기 연장관(13)에 끼워지면 상기 연장관(13)과 상기 물걸레조립체(20)가 일체화된 상태로 되므로써 사용자의 사용조건에 따라 그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물걸레조립체(20)가 상기 흡입체(10)에 조립되면,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에 무한궤도식으로 감겨진 상기 물걸레(23)가 청소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체(10)를 전진시키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하여 먼지가 흡입됨과 동시에 상기 물걸레(23)가 청소바닥면을 닦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걸레(23)가 더러워져 상기 물걸레(23)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물걸레조립체(20)의 구동축(21)을 상기 축받이부(12)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후크(24)를 상기 연장관(13)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물걸레조립체(20)를 상기 흡입체(10)로부터 분리시킨다.
또, 상기 물걸레조립체(20)를 상기 흡입체(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7)를 눌러서 상기 스프링(38)이 압착되도록 함과동시에 상기 돌기(35a)를 상기 홈(36a)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와 상기 돌기(35a)가 상기 홈(36a)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피니언축(35)은 회동자유롭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피니언축(35)이 회동자유롭게 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7)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며, 상기 피니언축(3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축(35)과 기어맞춤된 상기 상부지주(31) 및 상기 하부지주(32)가 이동되어서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이 축간 거리가 근접되게 된다.
또, 상기 손잡이(37)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이 근접되면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에 감겨진 상기 물걸레(23)는 헐거워지게 되므로써, 상기 물걸레(23)를 상기 물걸레조립체(20)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물걸레(23)를 상기 물걸레조립체(20)로부터 분해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37)를 눌러 상기 손잡이(37)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지주(31) 및 상기 하부지주(32)가 이동되어서 상기 종동축(22)과 상기 구동축(21)이 근접되어 상기 물걸레(23)의 걸림정도가 느슨해지므로써 상기 물걸레(23)를 상기 물걸레조립체(20)로부터 용이하게 분해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걸레(23)의 세탁을 완료한 후 상기 물걸레(23)를 상기 물걸레조립체(20)에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상기 손잡이(37)를 돌리면 상기 물걸레(23)가 상기 구동축(21) 및 상기 종동축(22)에 걸려 상기 물걸레(23)를 상기 물걸레조립체(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37)의 회전정도에 따라서 상기 종동축(22)과 상기 구동축(21)의 축간 거리가 가변되므로써 상기 물걸레(23)가 감겨지는 인장의 정도를 사용자가 임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의하면, 물걸레가 감겨진 종동축과 구동축사이의 축간 거리를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이동시켜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물걸레를 물걸레조립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청소하고자 하는 면과 접하여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11)가 형성된 흡입체(10)와, 상기 흡입체(10)에 조립되어서 물걸레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동축(21)과 종동축(22)에 무한궤도식의 물걸레가(23) 걸려진 물걸레조립체(20)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1)의 힌지핀(21a)에 단부가 축지되고 타부에는 래크(34)가 형성된 하부지주(32)와, 상기 하부지주(32)의 래크(34)에 대응되는 면에 래크(33)가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종동축(22)의 힌지핀(22a)에 의해 축지된 상부지주(31)와, 상기 상부지주(31) 및 상기 하부지주(3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지주(31) 및 상기 하부지주(32)를 수용하며 일면에는 홈(36a)이 형성된 안내관(36)과, 상기 상부지주(31)의 래크(33)와 상기 하부지주(32)의 래크(34)사이에 설치된 피니언축(35)과, 상기 피니언축(35)을 회전시켜서 상기 상부지주(31)와 상기 하부지주(32)를 이동시켜 상기 구동축(21)과 상기 종동축(22)의 축간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축(35)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관(3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37)와, 상기 손잡이(37)가 형성된 상기 피니언축(35)이 평상시에는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관(36)의 홈(36a)에 계합되며 상기 피니언축(35)의 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35a)와, 상기 돌기(35a)와 상기 홈(36a)이 계합되어 상기 피니언축(35)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7)를 누를 경우 상기 돌기(35a)가 상기 홈(36a)으로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손잡이(3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상기 손잡이(37)와 상기 안내관(36)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19950000565U 1995-01-16 1995-01-16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55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65U KR200155784Y1 (ko) 1995-01-16 1995-01-16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65U KR200155784Y1 (ko) 1995-01-16 1995-01-16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696U KR960026696U (ko) 1996-08-17
KR200155784Y1 true KR200155784Y1 (ko) 1999-09-01

Family

ID=1940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565U KR200155784Y1 (ko) 1995-01-16 1995-01-16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7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745B1 (ko) * 1998-06-30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성형금형 세정용 리드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696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684Y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물걸레기능을 갖는 흡입구체
KR20014486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5578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71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19990085167A (ko) 크리닝 칠판
KR20014482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3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지지장치
KR20015578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6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분리장치
KR20014486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4489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KR940000619Y1 (ko) 걸레기능을 갖는 전기소제기
KR20014485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7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4483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동장치
KR940002435Y1 (ko) 지우개 털이기
KR20014484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90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32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분리장치
JP2679962B2 (ja) 濡れ雑巾装置を設けた真空清掃機
KR200144872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100589781B1 (ko) 물걸레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