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45Y1 -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45Y1
KR200144845Y1 KR2019940026033U KR19940026033U KR200144845Y1 KR 200144845 Y1 KR200144845 Y1 KR 200144845Y1 KR 2019940026033 U KR2019940026033 U KR 2019940026033U KR 19940026033 U KR19940026033 U KR 19940026033U KR 200144845 Y1 KR200144845 Y1 KR 200144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drive shaft
cleaning
shaft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331U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40026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45Y1/ko
Publication of KR960013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45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면에 먼지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체, 후진시 일측에 설치된 간헐구동부재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직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식으로 물걸레가 걸린 물걸레조립체, 상기 구동축이 놓이면 상기 물걸레의 저면이 청소 바닥면과 닿도록 상기 흡입체에 형성된 앉치부, 그리고 상기 앉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승하강식으로 분해 조립되는 것을 제어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물걸레가 걸린 종동축과 구동축이 지주를 통하여 일체화된 상태에서 흡입체에 조립되면 임의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물걸레 청소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물걸레조립체를 분해할 때 발판을 누름과 동시에 상부로 잡아 당기면 쉽게 분리되므로 분해조립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 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 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걸레조립체 10 : 흡입체
11 : 흡입구 12 : 앉치부
14,15 : 받이부 20 : 물걸레
30 : 구동축 31,31a : 힌지핀
32 : 간헐구동부재 40 : 지주
50 : 착탈수단 51 : 레버
52 : 힌지 53 : 누름판
54 : 발판 55 : 스프링
56 : 구속봉 57 : 캠면
58 : 스프링 59 : 안내실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과 종동축에 무한궤도식으로 물걸레가 걸린 물걸레조립체가 흡입체의 직상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걸레 청소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와 먼지봉투(2) 등이 성치된 본체(1), 본체(1)와 호스(4)를 통하여 연결되고 바닥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체(5)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모터(3)의 구동으로 먼지봉투(2)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먼지봉투(2)와 연결된 호스(4)를 통하여 실내 바닥의 공기가 흡입체(5)로 흡입된다. 이때 바닥의 먼지가 먼지봉투(2)에 걸려지고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의 먼지 뿐만 아니라 바닥을 물걸레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걸레 기능을 갖는 청소기는 흡입체 내부에 후진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이 설치되고 구동축에는 물 흡수능력이 우수한 스폰지 등의 흡수재가 말려져 있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가 그 청소시 구동축을 흡입체로 부터 분리한 다음 흡수재에 물을 적신다. 한편 흡수재에 물이 적셔진 구동축을 흡입체에 결합한 다음 전진시키면 바닥과 접한 흡수재가 바닥을 닦는다. 또한 바닥과 접한 흡수재가 더러워지면 흡입체를 후진시켜 구동축이 간헐적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흡수재가 함께 회동되므로 깨끗한 면이 바닥과 접하게 된다. 이런 상태로 흡입체를 전진시키면 흡수재의 깨끗한 면이 바닥을 재차 닦게 된다. 그러나 흡수재가 구동축에 단순히 말려져 있기 때문에 구동축이 1회전 하면 흡수재 역시 1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축의 직경에 따라 흡수재의 사용량이 결정되는 것으로서, 바닥청소 면적이 클 경우 흡수재를 흡입체에서 빈번하게 분리하여 빨아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흡수재를 천 등의 걸레로 하여 흡입체의 일측에 두루말이 식으로 말아 설치한 장치가 선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두루말이식 걸레가 전부 사용될 때까지 이미 사용된 풀린 걸레가 타측의 축에 말려져 보관되기 때문에 청소기의 보관시 악취등이 발생되고 곰팡이가 번식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의 바닥면적 청소에 해당되는 물걸레를 흡입체에 설치된 구동축과 그 직상부에 설치된 종동축에 무한궤도 식으로 같이 설치함으로서, 물걸레를 흡입체에 한 번 설치하면 일정의 바닥면적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여 걸레를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0779호)를 선출원한 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출원된 물걸레장치를 개선한 것으로, 물걸레가 걸린 구동축과 종동축이 조립된 상태(이하 물걸레조립체라고 칭함)로 흡입체에서 분해 조립되도록 함에 있어서, 흡입체에 놓인 물걸레조립체가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걸레 청소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체, 후진시 일측에 설치된 간헐구동부재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직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식으로 물걸레가 걸린 물걸레조립체, 상기 구동축이 놓이면 상기 물걸레의 저면이 청소 바닥면과 닿도록 상기 흡입체에 형성된 앉치부, 그리고 상기 앉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승하강식으로 분해조립되는 것을 제어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점에 특징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로서,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즉 저면 전후방으로 먼지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후방 중앙에는 본체(1)의 호스(4)와 연결되는 연장관(17)이 형성된 흡입체(10), 후진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30)과 그 직상부에 설치된 종동축(34)의 사이에 무한궤도식으로 물걸레(20)가 걸린 물걸레조립체(1), 그리고 물걸레조립체(1)가 수직으로 입설되도록 흡입체(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앉치부(12)가 구비된다. 흡입체(10)는 중앙에 형성된 앉치부(12)에 구동축(30)이 놓이는 것으로서, 이때 구동축(30)에 걸린 물걸레(20)가 청소 바닥면과 접하도록 앉치부(12) 하부에 노출구(13)가 형성된다. 한편 물걸레조립체(1)의 구동축(30)과 종동축(34)은 각각의 양단에 힌지핀(31)(35)이 형성되고 이들 힌지핀(31)(35)에 지주(40)이 결합되어 이들이 일정간격 유지된 상태로 일체화된다. 또한 각 힌지핀(31)(35)과 결합되는 지주(40)에는 베어링(42)(43)이 설치되어 각 축(30)(34)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상 좌측에 있는 한지핀(31)에는 흡입체(10)의 후진시 구동축(30)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간헐구동부재(32)가 결합된다. 한편 간헐구동부재(32)가 놓이는 받이부(15)가 앉치부(12)의 일측에 형성되고 받이부(15) 외측으로 간헐구동부재(32)가 형성된 돌기(33)가 놓이는 회전방지홈(16)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상 우측에 있는 힌지핀(31a)은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된 힌지핀(31a)이 놓이는 받이부(14)가 앉치부(12)의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구동축(30)과 종동축(34)은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되고 물걸레(20)가 이들에 걸린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지주(40)의 중간에는 신축부재(41)가 결합된다. 이러한 신축부재(41)는 지주(40)의 높낮이가 가변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동축(34)을 한 번 누르면 신축부재(41)가 축소되면서 지주(40)의 높이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는 물걸레(20)를 각 축(30)(34)에서 분리하여 세탁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즉 물걸레조립체(1)가 흡입체(10)에서 분리된 다음 종동축(34)를 누르면 지주(40)의 높이가 줄어들므로 각 축(30)(34)에 걸린 물걸레(20)가 쉽게 분리된다. 한편 물걸레조립체(1)가 앉치부(12)에 놓은 상태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착탈수단(50)이 구비된다. 이러한 착탈수단(50)은 받이부(15)에 설치된 레버(51), 그리고 받이부(14)에 설치된 구속봉(56)이 구비된다. 레버(51)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의 힌지(52)를 통하여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또한 상단의 간헐구동부재(32)의 상면과 접하여 구속하는 누름판(53), 누름판(53)의 후방쪽으로 상향경사지고 발로 누르면 누름판(53)이 힌지(5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간헐구동부재(32)의 상면이 구속해제되는 발판(54), 그리고 누름판(54)이 항시 간헐구동부재(32)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레버(51)를 가압하는 스프링(55)이 구비된다. 구속봉(56)은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부(14)의 후방쪽으로 구속봉(56)이 출입 가능토록 형성된 안내실(59), 힌지핀(31a)이 승하강될 때 그 외주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속봉(56)의 선단에 형성된 캠면(57), 그리고 캠면(57)이 항시 힌지핀(31a)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속봉(56)을 가압하는 스프링(58)이 구비된다. 즉 물걸레조립체(1)가 분리된 상태에서 구속봉(56)의 캠면(57)이 받이부(14) 중앙쪽으로 돌출된다. 한편 물걸레조립체(1)가 앉치부(12)에 조립될 때 힌지핀(31a)이 받이부(14)에 놓인다. 이때 힌지핀(31a)이 캠면(57)의 상부를 눌러 구속봉(56)이 후퇴되고 완전히 놓이면 구속봉(56)이 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된다. 이때 캠면(57)의 하부가 힌지핀(31a)의 상부쪽 외주면과 접하므로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힌지핀(31a)이 구속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 물걸레조립체(1)의 분해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축(30)과 종동축(34)이 각각의 양단에 결합된 지주(40)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처럼 일체화된 물걸레조립체(1)의 구동축(30)을 흡입체(10)의 상부에 있는 앉치부(12) 쪽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발판(54)을 발로 눌러 누름판(53)이 받이부(15)에서 이탈되도록 레버(51)를 회동시키면 구동축(30)의 일측에 있는 간헐구동부재(32)와 돌기(33)가 받이부(15) 및 회전방지홈(16)에 원활히 놓인다. 한편 간헐구동부재(32)와 돌기(33)가 정위치에 놓이면 발판(54)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서 스프링(55)의 복원으로 레버(51)가 원위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레버(51)가 원위치되면 누름판(53)이 간헐구동부재(32)의 상부 외주면과 접하면서 구속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구동축(30)의 타측에 있는 힌지핀(31a)은 받이부(14)에 놓일 때 캠면(57)이 눌러지면서 구속봉(56)이 안내실(59)을 따라 후진 된다. 이때 힌지핀(31a)이 완전히 놓이면 스프링(58)이 복원되면서 구속봉(56)이 전진된다. 이와 동시에 캠면(57)이 힌지핀(31a)의 상부 외주면을 구속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구동축(30)이 앉치부(12)에 완전히 놓인다. 이처럼 물걸레조립체(1)가 흡입체(10)에 조립되면 제3도와 같이 된다. 이때 구동축(30) 하부에 있는 물걸레(20)가 노출구(13)를 통하여 청소 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체(10)를 전진시키면 전후방에 있는 흡입구(11)를 통하여 먼지가 흡입된과 동시에 물걸레(20)가 청소 바닥면을 닦는다. 한편 청소 바닥면과 접한 물걸레(20)가 더러워지면 흡입체(10)를 약간 후진시킨 다음 전진시킨다. 이때 간헐구동부재(32)가 일정각도 만큼 회전되면서 구동축(30)과 물걸레(20)가 회전된다. 이때 물걸레(20)의 깨끗한 면이 청소 바닥면과 접하므로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또한 물걸레 청소가 끝나면 물걸레조립체(1)를 조립할때의 역순으로 양측의 지주(40)를 상부로 잡아당겨 흡입체(10)에서 분리시킨다. 즉 발판(54)을 눌러 누름판(53)이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주(40)를 상부로 잡아 당기면 구동축(30)의 일측에 있는 간헐구동부재(32)가 받이부(15)에서 원활히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축(30)의 타측에 있는 힌지핀(31a)은 지주(40)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캠면(57)을 강제적으로 후퇴시키면서 상부로 이탈되고 이때 구동축(30)이 앉치부(12)에서 완전 분리된다. 한편 분리된 물걸레조립체(1)에서 구동축(30)과 종동축(34)에 걸린 물걸레(2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종동축(34)을 누른다. 이때 신축부재(41)가 축소되면서 종동축(41)이 구동축(30)에 근접되면 물걸레(20)의 걸린 상태가 헐거워진다. 이처럼 헐거워진 물걸레(20)를 축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물걸레(20)가 분리되므로 이를 빨아서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걸레가 걸린 종동축과 구동축이 지주를 통하여 일체화된 상태에서 흡입체에 조립되면 임의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물걸레 청소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물걸레조립체를 분해할 때 발판을 누름과 동시에 상부로 잡아 당기면 쉽게 분리되므로 분해조립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저면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체, 후진시 일측에 설치된 간헐구동부재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직 상부에 설치된 종동축 사이에 무한궤도식으로 물걸레가 걸린 물걸레조립체, 상기 구동축이 놓이면 상기 물걸레의 저면이 청소 바닥면과 닿도록 상기 흡입체에 형성된 앉치부, 그리고 상기 앉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승하강 식으로 분해 조립되는 것을 제어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간헐구동부재가 놓이도록 상기 앉치부의 일측에 형성된 받이부, 상기 받이부에 설치되어 하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간헐구동부재의 상면을 구속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가 상기 간헐구동부재의 상면을 항시 구속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핀, 상기 앉치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이 놓이는 받이부, 상기 힌지핀이 승하강될 때 그 상부 외주면과 접하는 캠면을 갖는 구속봉, 상기 받이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이 승하강될 때 상기 구속봉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실, 그리고 상기 구속봉을 가압하여 상기 캠면이 상기 힌지핀의 상부 외주면을 구속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의 물걸레조립체 착탈장치.
KR2019940026033U 1994-10-05 1994-10-05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33U KR200144845Y1 (ko) 1994-10-05 1994-10-05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33U KR200144845Y1 (ko) 1994-10-05 1994-10-05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31U KR960013331U (ko) 1996-05-17
KR200144845Y1 true KR200144845Y1 (ko) 1999-06-15

Family

ID=6085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033U KR200144845Y1 (ko) 1994-10-05 1994-10-05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31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3862Y2 (ja) 真空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4486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4484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5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6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분리장치
KR20014484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4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5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눕힘장치
KR20014489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5578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3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동장치
KR20014483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지지장치
JP3066544B2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KR200144852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5578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2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6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4487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4483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RU2802510C2 (ru) Насад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бращения к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лежащей очистке, и чистящий ап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4486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3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탈방지장치
CN220369934U (zh) 清洁装置
KR200144837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44871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