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255Y1 -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255Y1
KR200155255Y1 KR2019960016830U KR19960016830U KR200155255Y1 KR 200155255 Y1 KR200155255 Y1 KR 200155255Y1 KR 2019960016830 U KR2019960016830 U KR 2019960016830U KR 19960016830 U KR19960016830 U KR 19960016830U KR 200155255 Y1 KR200155255 Y1 KR 200155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roller
groove
rebar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6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052U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6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255Y1/ko
Publication of KR980001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철근절곡기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주로 각종의 토목 현장이나 교량의 건설 또는 고가도로의 공사시에 대량으로 소요되는 철근을 자동으로 절곡하는 철근절곡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단일의 공정으로 2가지의 각도로서 동시에 절곡할 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철근절곡기(1)의 구성에 있어서, 하측의 캐스터(26)는 축봉(24)으로 축설하여 내부의 모터(23)에 의해 동력의 전달수단(25)으로서 연결하고, 프레임(2)의 양측 상부에는 손잡이(4)를 착설하며, 상판(3)의 축봉(6)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원판(5)을 구비하고, 축봉(7)에는 결합홈(8)의 양측 가장자리에 치차(9)가 형성된 작동간(7)을 설치하되, 결합홈(8)의 내부에 동형의 치차(11)가 형성된 조절구(10)를 끼움 결합하며, 조절구(10)에는 절곡로울러(12)를 축설하고, 상부 일측에는 고정판(13)을 설치하되, 고정판(13)의 일측에는 호형장공(14)을 천설하여 작동간(7)에 결합된 절곡로울러(17)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며, 타측에는 돌기(15)를 형성하여 요홈(19)이 형성된 고정대(18)를 고정하고, 호형장공(14)의 안쪽에 돌출된 축봉(6)에는 중심로울러(16)를 결합하며, 상판(3)의 측방에는 요홈(22)을 형성하여 돌기(21)가 형성된 받침대(20)를 결합한 것에 요지가 있음.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철근절곡기 용도

Description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이동수단을 보인 일부 절결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내부 기어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을 보인 작용 표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절곡기 2 : 프레임
3 : 상판 4 : 손잡이
5 : 원판 6 : 축봉
7 : 작동간 8 : 결합홈
9 : 치차 10 : 조절구
11 : 치차 12 : 절곡로울러
13 : 고정판 14 : 호형장공
15 : 돌기 16 : 중심로울러
17 : 절곡로울러 18 : 고정대
19 : 요홈 20 : 받침대
21 : 돌기 22 : 요홈
23 : 모터 24 : 축봉
25 : 전달수단 26 : 캐스터
27 : 체인 28 : 고정구
29 : 답압판
본 고안은 주로 각종의 토목 현장이나 교량의 건설 또는 고가도로 등의 건설공사 시에 다량으로 소요되는 철근을 자동으로 절곡하는 철근절곡기에 있어서, 단일의 공정으로 2가지의 각도를 동시에 절곡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각종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철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철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철근의 절곡기나 절단기가 다수 안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중에 있는 철근절곡기도 보급되고 있는 바, 이러한 각각의 고안들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철근절곡기의 경우는 하나의 절곡기로서 각도가 상이한 2중의 절곡을 할 경우는 1차적으로 먼저 절곡을 완료한 후 다음 다른 부위의 절곡이 필요한 위치에 철근을 배치시킨 후 다른 각도로서 절곡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는 원하는 철근의 이중 절곡에 따른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절곡의 공정에 따라 한번 절곡을 완료한 다음 다른 각도로 절곡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이를 수작업으로서 작동을 하여야만이 절곡이 완료됨으로서 원하는 정확한 치수를 제대로 절곡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철근을 옮기는 도중 각도가 변화되거나 위치의 설정이 용이치 못하여 불량의 절곡이 다수 발생하여 철근의 허실에 따른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지금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철근 절곡기의 경우는 각 절곡의 거리나 절곡각도의 변화에 따른 부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곡의 위치가 각각 상이함에 따라 절곡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이 부재하여 수작업으로서 철근의 절곡위치로 옮겨야 하므로 절곡에 따른 작업의 공정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한 등의 문제점도 따르고 있으며, 또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이동이나 운반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부에 캐스터를 부착한 것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경우 역시 절곡기의 자체 중량에 따라 이동이나 운반할 경우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이동이 매우 어려운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철근절곡기를 이동이나 운반의 용이성을 목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에 별도의 동력원을 부가함으로서 비교적 좁은 공사 현장에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한편으로 이동시에는 프레임의 양측에 착설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방향 전환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음은 몰론 특히 각각의 절곡로울러에 의해 절곡을 유도할 수 있는 고정대와 받침대의 고정 부위에는 돌기와 요홈을 동시에 형성하여 이를 결합함으로서 철근의 절곡 도중 각각의 고정대나 받침대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각종의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철근을 자동으로 절곡하여 보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하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레임(2)의 상부에 상판(3)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이의 상측에는 호형장공(공지된 호형장공의 부호는 생략함)을 형성하여 축봉(6)에 의해 중심로울러(16)를 결합하고, 호형장공의 내에서 자체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절곡로울러(17)를 설치하여 통상의 철근을 절곡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프레임(2)의 하부에는 고정형 캐스터(26)를 설치하고 상기 절곡로울러(17)의 절곡각도를 조절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답압판(29)을 2중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철근절곡기(1)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절곡기(1)에 있어서, 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26)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모터(23)를 설치하여 일측의 캐스터(26:예를 들면 이동과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방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는 양측으로 축봉(24)을 결합하여 체인이나 벨트 또는 기어 등의 전달수단(25)으로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하고, 프레임(2)의 양측 상부에는 파지가 용이하게 손잡이(4)를 마련하여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판(3)의 중앙 축봉(6)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판(5)를 구비하고, 상기 축봉(6)에는 결합홈(8)의 양측 가장자리에 치차(9)가 형성된 작동간(7)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홈(8)의 내부에 동형의 치차(11)가 형성된 조절구(10)를 끼움 결합하며, 조절구(10)에는 절곡로울러(12)를 결합하여 철근을 절곡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판(13)을 설치하되, 고정판(13)의 일측에는 호형장공(14)을 형성하여 하측 작동간(7)에 결합된 절곡로울러(17)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며, 타측에는 돌기(15)를 형성하여 요홈(19)이 형성된 고정대(18)를 볼트 등의 수단으로서 고정하고, 호형장공(14)을 이루는 중앙의 내부에 돌출된 축봉(6)에는 중심로울러(16)를 결합하여 철근을 2중으로 절곡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판(3)의 측방에는 요홈(22)을 형성하여 돌기(21)가 형성된 받침대(20)를 결합하고, 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되는 체인(27)은 종전과 같이 길게 연결하지 않고 전방의 중앙측에 고정구(28)를 착설하여 연결함으로서 체인(27)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며, 일측에 연결되는 답압판(29)은 3개의 발판으로 구성하여 다단으로 철근을 절곡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15)와 요홈(22)은 가공상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철근이 절곡되면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구성상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실시한 것이고, 또한 각각의 회로에 대한 작동의 범위는 임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한편 철근의 절곡에 따른 각도와 거리 등의 설정은 고정대(18)와 받침대(20)로서 적의 조절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상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내용 역시 임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주로 토건현장이나 교량의 건설 및 고가도로 등 각종의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철근을 자동으로 절곡하여 필요한 요소에 충당할 수 있게 한 철근의 자동 절곡기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설치위치 측으로 이동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이동할 경우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23)를 구동하면 이의 동력은 체인이나 벨트 또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수단(25)에 의해 축봉(24)을 구동하게 되고, 싱기 축봉(24)의 구동에 따라 하부의 캐스터(26)가 회전을 하게 되어 철근절곡기(1) 전체가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일측(예를 들면 전방측)의 캐스터(26)는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방향전환을 할 경우는 프레임(2)의 전방 양측에 착설된 손잡이(4)를 잡고서 방향만을 조절하면 철근절곡기(1)는 자동으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되어 철근의 절곡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철근절곡기(1)를 적정의 위치로 이동을 하고 난 후 이를 이용하여 철근을 절곡할 경우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로울러(16)와 고정대(18)의 사이에 절곡이 필요한 철근을 안치시킨 후 동력을 전달하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내부의 동력전달장치(도시생략)와 기어 등의 구성에 의해 축봉(6)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작동간(7)이 회전을 하게되므로 작동간(7)에 이중으로 설치된 각각의 절곡로울러(12, 17)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어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절곡로울러(17)에 의해 철근의 절곡이 이루어지고 연속적으로 설정된 이중의 절곡시에는 외측의 절곡로울러(12)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외측의 절곡로울러(12)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는 것은 요홈(22)과 돌기(21)에 의해 긴밀히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20)에 의해 접지되어 있고, 외측의 절곡로울러(12)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결국은 철근이 이중으로 절곡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다가 철근의 절곡 위치나 절곡의 각도를 변형할 경우는 작동간(7)의 내부 치차(9, 11)에 의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조절구(10)를 작동하여 필요한 위치에 설정하고, 고정대(18) 역시 철근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위치를 변화하여 고정함으로서 조절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절곡의 길이나 거리를 조절할 경우는 타측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20)를 적의 조절하여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 또는 길이, 각도 등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각각의 절곡 부위나 절곡의 각도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할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부위에는 치차(9, 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번 설정을 한 후 이를 사용할 경우 자체적인 진동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종래와 같이 절곡로울러(17)가 호형장공(14)의 내부에서 별도로 회전을 하여 철근을 절곡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결합된 작동간(7)이 회전을 함으로서 절곡로울러(17)가 호형장공(14)의 내부에서 각운동을 하게 되어 철근을 절곡할 시 동력의 소요가 최소로 되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상판(3)의 축봉(6)이 설치되는 외측에는 원판(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철근을 절곡할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슬러지 등이 프레임(2)의 내부로 투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내부의 장치들을 손상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어 철근절곡기(1)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기존에 절곡할 수 있는 철근의 굵기에 비해서 월등히 굵은 철근을 절곡할 수 있으며, 또한 동력의 전달이 기존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2)의 내무에 설치된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을 하지 않고 작동간(7)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큰 힘이 전달되어 동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철근절곡기의 구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량함으로서 비교적 좁은 건설의 현장에서 이동이나 운반을 매우 용이하게 할뿐 만 아니라 체인을 프레임의 중앙측에서 홀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시 체인의 느슨함에 의해 동력의 전달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한편, 각각의 절곡로울러는 절곡의 여건을 감안하여 요홈과 돌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서 사용도중 자체적인 진동에 의해 변화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정확한 치수의 길이나 각도로서 절곡을 할 수 있으므로 각종 주택건설이나 교량의 건설 및 대형건물 또는 토건현장 등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철근의 절곡기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철근절곡기(1)의 구성에 있어서, 하측의 캐스터(26)는 축봉(24)으로 결합하여 내부의 모터(23)와 동력 전달수단(25)으로 연결하고 프레임(2) 양측 상부에는 손잡이(4)를 마련하며, 상판(3)의 축봉(6)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원판(5)을 구비하고, 축봉(7)에는 결합홈(8)의 양측 가장자리에 치차(9)가 형성된 작동간(7)을 설치하되, 결합홈(8)의 내부에 동형의 치차(11)가 형성된 조절구(10)를 끼움결합하며, 조절구(10)에는 절곡로울러(12)를 설치하고 상부 일측에는 고정판(13)을 결합되, 고정판(13) 일측에는 호형장공(14)을 형성하여 작동간(7)에 결합된 절곡로울러(17)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며, 타측에는 돌기(15)를 형성하여 요홈(19)이 형성된 고정대(18)를 고정하고 호형장공(14)의 안쪽에 돌출된 축봉(6)에는 중심로울러(16)를 결함하며, 상판(3) 측방에는 요홈(22)을 형성하여 돌기(21)가 형성된 받침대(20)를 결합하고 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되는 체인(27)은 전방 중앙측의 고정구(28)에 의해 연결하며, 답압판(29)은 3개의 발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KR2019960016830U 1996-06-17 1996-06-17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KR200155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830U KR200155255Y1 (ko) 1996-06-17 1996-06-17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830U KR200155255Y1 (ko) 1996-06-17 1996-06-17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052U KR980001052U (ko) 1998-03-30
KR200155255Y1 true KR200155255Y1 (ko) 1999-08-16

Family

ID=1945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6830U KR200155255Y1 (ko) 1996-06-17 1996-06-17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2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62B1 (ko) * 2010-10-20 2011-03-15 주식회사 장헌산업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911671B1 (ko) * 2018-07-10 2018-10-24 한종섭 자동화된 철근 절곡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62B1 (ko) * 2010-10-20 2011-03-15 주식회사 장헌산업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911671B1 (ko) * 2018-07-10 2018-10-24 한종섭 자동화된 철근 절곡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05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3038A (en) Truss assembly apparatus
CA2053325C (en) Apparatus for assembly of wood structures
US5617622A (en) Rotatable work platform with clamps for wall and truss fabrication
US3875642A (en) Seam forming apparatus
US2662565A (en) Table for constructing building frames
JPH07122320B2 (ja) 二方向屋根シーミング機及びそのスイッチ構造
US5664908A (en) Powered rotary screed
AU744322B2 (en) Truss assembly apparatus with independent roller drive
KR200155255Y1 (ko) 철근절곡기용 이중동시 절곡장치
US5111861A (en) Apparatus for cambering wood trusses
KR101043920B1 (ko) 거푸집 이송장치
KR100276157B1 (ko) 콘크리트 미장장치
KR200300641Y1 (ko) 철근 절곡기
CN214144788U (zh) 一种筒仓滑模施工用横向钢筋弯弧传送机
KR960007835Y1 (ko) 철근 절곡기
KR100611308B1 (ko) 강관말뚝 절단기
US3675297A (en) Machine for assembling a pre-hung door unit
KR20040061196A (ko) 다목적 철근절곡기
KR100469634B1 (ko) 방화문 제조 공정용 벤딩장치
KR200155605Y1 (ko) Mcc용 유니트의 슬라이드 장치
KR200198216Y1 (ko) 롤 포밍 라인의 레이아웃
KR200235703Y1 (ko) 철근 절곡/절단장치
CN218264791U (zh) 一种墙面抹灰刮平装置
CN211081075U (zh) 一种装配式房屋组件
KR200241368Y1 (ko) 자동미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