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140Y1 -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 Google Patents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140Y1
KR200155140Y1 KR2019960015990U KR19960015990U KR200155140Y1 KR 200155140 Y1 KR200155140 Y1 KR 200155140Y1 KR 2019960015990 U KR2019960015990 U KR 2019960015990U KR 19960015990 U KR19960015990 U KR 19960015990U KR 200155140 Y1 KR200155140 Y1 KR 200155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
skis
snowboard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913U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2019960015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140Y1/ko
Publication of KR980000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of the running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Mono skis; Snow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17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with fins or longitudinal protrusions on the running sole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 및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및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스키 및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키 및 스노우 보드는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키 및 스노우 보드는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제1도는 종래의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가 바닥면에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측면도.
제3도의 (a) 및 (b)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돌출부를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제2도의 선 Ⅲ-Ⅲ을 따른 횡단면도.
제4도는 활강 중 회전하는 경우에서의 스키어 및 스키의 자세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5도의 (a) 및 (b)는 제4도에 도시된 경우에서의 종래의 스키 및 고안에 따른 스키의 설면에 대한 자세를 각각 도시하는 스키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키 또는 스키 보드 12 : 활주면
14 : 돌출부 20 : 설면
본 고안의 스키 보드(이하 스키라 한다) 및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turn), 및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skidding)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스키 및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스키는 목재, 유리 섬유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길이가 긴 평탄한 판으로서 그 길이는 약 150 내지 200㎝이다. 또한, 스키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방부를 톱(top), 중앙부를 센터(center), 그리고 후방부를 테일(tail)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스키는 사이드 커브(side curve)에 의해 중앙부가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스키의 폭은 톱에서 약 8.3㎝, 센터에서 약 7.6㎝, 그리고 테일에서 약 8.0㎝이다.
설면과 접촉하는 스키의 바닥면을 활주면이라 하는데, 스키의 활주면은 길이 방향을 따른 각각의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완전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스키 활강 등에 있어서 회전 또는 정지하는 경우에, 스키는 날을 가진 스케이트 등에 비하면 많은 거리를 미끄러지게 된다. 특히, 활강 중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키가 똑바로 진행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스키 모서리(edge)를 비스듬히 들어올려 설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데 대한 저항이 생기게 해야 한다. 그러나, 스키의 활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이므로 회전시 저항이 작게 되어 스키는 상당히 많이 미끄러지게 된다. 또한, 완만한 경사면을 등행하는 경우 또는 평지에서 톱을 벌리면서 스케이팅하듯이 V자 형태로 스키를 밀면서 보행하는 경우에, 설면과 스키의 활주면 사이에서 저항이 작으므로 등행 및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며, 이에 따라 이동 시간 손실 및 체력 손실이 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문제점이 통상의 스노우 보드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 및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스키 및 스노우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스키에 있어서, 각각의 스키의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스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 스노우 보드의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스노우 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종래의 스키 또 스노우 보드(이하, 스키 등이라 한다)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ridge, 14)가 바닥면인 활주면(12)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 스키(10) 등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4)는 스키 등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센터 부분을 지나 스키 등의 말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의 연장 길이는 스키 등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센터 부분에만 소정 길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4)는 단락부에 의해 각각 분리된 일련의 복수개의 돌출부 세그먼트들로 될 수도 있다. 돌출부(14)는 스키 등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하여 스키 등의 활주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돌출부의 재질은 그 밖에도 스키 등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돌출부를 스키 등과 일체로 제도하거나 공지의 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3도의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각각 다른 형태의 돌출부(14)가 스키 등의 활주면(12)의 양측 모서리(edge)에 인접하여 형성된 스키 등의 제2도의 선 Ⅲ-Ⅲ을 따른 횡단면도 이다. 제3도의 (a) 및 (b)의 돌출부(14)는 특히 각각 삼각형 및 반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14)의 횡단면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도 있으며, 돌출부(14)의 폭 및 높이도 임의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가 반타원형에 비해 저항이 크게 작용하며, 돌출부(14)의 높이가 높을수록 스키 등에 가해지는 저항도 증가하게 된다. 돌출부의 높이 및 밑면 폭은 예컨대 3mm 및 6mm로 할 수 있다.
이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스키어가 활강시 회전(turn)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고안에 따른 스키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키어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반경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의 스키 모서리를 비스듬히 들어올려 설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데에 대한 저항이 생기게 하여야 한다. 회전 과정은 스키가 반드시 측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skidding) 완성된다. 다만, 회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최소화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제5도의 (a) 및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14)가 형성된 스키(10)는, 스키의 모서리만이 설면(20)에 파묻혀 저항을 받는 종래의 스키[제5도의(a)]에 비하여, 스키의 모서리 및 돌출부(14)가 설면(20)에 파묻히게 됨으로써 스키에 더욱 큰 저항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회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활강 또는 전진 중에 정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4)로 인해 정지력이 크게 됨으로써 짧은 거리 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완만한 경사면을 등행하는 경우 또는 평지에서 톱을 벌리면서 스케이팅하듯이 V자 형태로 스키를 밀면서 보행하는 경우에, 돌출부(14)가 미끄러짐을 감소시켜 추력을 크게 하므로 스키어는 보다 용이하게 등행 및 보행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시간 손실 및 체력손실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스키에 대해서만 본 고안의 이점을 설명하였지만, 스노우 보드에서도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스키에 있어서, 각각의 스키의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스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횡단면 형상이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락부에 의해 각각 분리된 일련의 복수개의 돌출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5.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 스노우 보드의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스노우 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횡단면 형상이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8.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락부에 의해 각각 분리된 일련의 복수개의 돌출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KR2019960015990U 1996-06-15 1996-06-15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KR200155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990U KR200155140Y1 (ko) 1996-06-15 1996-06-15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990U KR200155140Y1 (ko) 1996-06-15 1996-06-15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13U KR980000913U (ko) 1998-03-30
KR200155140Y1 true KR200155140Y1 (ko) 1999-08-16

Family

ID=1945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990U KR200155140Y1 (ko) 1996-06-15 1996-06-15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1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5412A3 (en) * 2008-06-18 2010-03-25 Kalliopi Giannatos Ice skateboard
WO2011017657A2 (en) * 2009-08-07 2011-02-10 Auto Deck Snowboards Llc Snow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052B1 (ko) * 2003-12-31 2006-06-14 최원규 스노우 스케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5412A3 (en) * 2008-06-18 2010-03-25 Kalliopi Giannatos Ice skateboard
US8091902B2 (en) 2008-06-18 2012-01-10 Kalliopi Giannatos Ice skateboard
WO2011017657A2 (en) * 2009-08-07 2011-02-10 Auto Deck Snowboards Llc Snowboard
WO2011017657A3 (en) * 2009-08-07 2011-04-28 Auto Deck Snowboards Llc Snowboard
US8356822B2 (en) 2009-08-07 2013-01-22 Auto Deck Snowboards Llc Snow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13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868A (en) Modified snowboard
US3374003A (en) Snow ski board
EP0253660B1 (en) Alpine ski
US7073810B2 (en) Ski with tunnel and enhanced edges
US4223909A (en) Ski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running surface
US3063728A (en) Ski attachment
JPH02200281A (ja) モノスキー
US5667238A (en) Ski having compound curve undersurface
US4858944A (en) Ski with dissymmetrical lateral surfaces
US6986525B2 (en) Board for gliding over snow with improved shovel and tail turn-up
US4838572A (en) Ski with inclined lateral surfaces
EP0414682B1 (en) Snow skis with microgrooves
EP0209218A2 (en) Alpine ski
KR200155140Y1 (ko) 활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US6357782B1 (en) Cross-country ski
US4787652A (en) Crosscountry ski sticks particularly for the new technique called "Skating"
US4795386A (en) Assymetrical water ski
KR200348038Y1 (ko) 활주면에 요조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DE69907882D1 (de) Schneegleitbrett
KR20050066988A (ko) 활주면에 요조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US4722543A (en) Ski
US20030141700A1 (en) Ski
KR200348058Y1 (ko)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WO1999054004A1 (en) Downhill ski device
KR20050072048A (ko)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