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058Y1 -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 Google Patents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058Y1
KR200348058Y1 KR20-2004-0000114U KR20040000114U KR200348058Y1 KR 200348058 Y1 KR200348058 Y1 KR 200348058Y1 KR 20040000114 U KR20040000114 U KR 20040000114U KR 200348058 Y1 KR200348058 Y1 KR 200348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
concave
slide
slid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하
Original Assignee
이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하 filed Critical 이지하
Priority to KR20-2004-0000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of the running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이하 '스키'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록한 설면에서의 활주시 조종성과 안정성 및 직진성,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활주면의 에지가 항시 설면과 마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활주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키 및 스노우 보드는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키 및 스노우 보드는 활주면의 양 모서리 에지(날)가 항상 설면과 마찰 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depressed bottom of the snow sliding equipment}
본 고안은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이하 '스키'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록한 설면에서의 활주시 조종성과 안정성 및 직진성,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활주면의 에지가 항시 설면과 마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비수평 활주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스키는 목재, 유리 섬유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길이가 긴 평탄한 판으로서 그 길이는 약 30cm 내지 200㎝이다. 또한, 스키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방부를 톱(top), 중앙부를 센터(center), 그리고 후방부를 테일(tail)이라 한다.
설면과 접촉하는 스키의 바닥면을 활주면이라 하는데, 스키의 활주면은 길이 방향을 따른 각각의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완전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스키 활강 등에 있어서 회전 또는 정지하는 경우에, 스키는 날을 가진 스케이트 등에 비하면 많은 거리를 미끄러지게 된다. 특히, 활강 중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키가 똑바로 진행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스키 날(edge)를 비스듬히 들어올려 설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데 대한 저항이 생기게 해야 한다. 그러나, 스키의 활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이므로 회전시 저항이 작게 되어 스키는 상당히 많이 미끄러지게 된다. 그리고 모글과 같은 설면의 볼록한 부분에서의 활주시 활주면이 평면인 스키는 날(edge)이 눈에 닿는 날먹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날먹임으로 인한 저항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조종성과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완만한 경사면을 등행하는 경우 또는 평지에서 톱을 벌리면서 스케이팅하듯이 V자 형태로 스키를 밀면서 보행하는 경우에, 설면과 스키의 활주면 사이에서 저항이 작으므로 등행 및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며, 이에 따라 이동 시간 손실 및 체력 손실이 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문제점이 통상의 스노우 보드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활주시 어떠한 설면 상황에서도 뛰어난 조종성과 안정성 및 우수한 직진성을 제공하고 이로인해 초보자로 하여금 쉽게 기동할 수 있는 용이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스키에 있어서, 각각의 활주면의 양 모서리 에지(날)가 항상 설면과 마찰 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횡단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으로 활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 스노우 보드 활주면의 양 모서리 에지(날)가 항상 설면과 마찰 할 수있도록 바닥면의 횡단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으로 활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의 (a) 및 (b)는 각각 종래의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구조도와 선 V-V'을 따른 횡단면도.
제2도의 (a) 및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오목하게 들어간 활주면 바닥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구조도와 선 W-W'를 따른 횡단면도.
제3도의 (a),(b),(c) 및 (d)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제2도의 선 W-W'를 따른 횡단면도.
제4도의 (a) 및 (b)는 평평한 설면 위에서의 활주시 종래의 스키 및 고안에 따른 스키의 설면에 대한 대응를 각각 도시하는 스키의 횡단면도.
제5도의 (a) 및 (b)는 볼록한 형상의 설면 위에서의 활주시 종래의 스키 및 고안에 따른 스키의 설면에 대한 대응를 각각 도시하는 스키의 횡단면도.
제6도의 (a) 및 (b)는 각각 스키길이 방향으로 선 Y-Y'를 따라 분리된 복수개의 분리된 활주면으로 조립되어 바닥이 오목한, 1개의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구성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측면도와 선 X-X'를 따른 횡단면도.
제7도의 (a) 및 (b)는 각각 스키길이 방향으로 선 Z-Z'를 따라 분리된 복수개의 분리된 활주면으로 조립되어 바닥이 오목한, 1개의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구성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측면도와 선 X-X'를 따른 횡단면도.
제8도의 (a) 및 (b) 및 (c)는 각각 다른 실시예로, 스키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활주면으로 조립되어 바닥이 오목한, 1개의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구성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제6도의 선 X-X'를 따른 횡단면도.
제9도의 (a) 및 (b)는 평평한 설면 위에서의 활주시, 고안에 따른 [제2도b] 스키 및 고안에 따른 [제6도b] 스키의 설면에 대한 대응을 각각 도시하는 스키의 횡단면도.
제10도의 (a) 및 (b)는 볼록한 형상의 설면 위에서의 활주시, 고안에 따른 [제2도b] 스키 및 고안에 따른 [제6도b] 스키의 설면에 대한 대응을 각각 도시하는 스키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키 또는 스노우 보드
11 : 스키 길이
12 : 활주면(바닥면)
13 : 날(에지)
14 : 오목부 활주면 (오목한 횡단면)
20 : 평평한 일반 설면
30 : 볼록한 형상의 설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종래의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이하, '스키'라 한다)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활주면(14)으로 바닥의 횡단면이 '-'형상이 아닌,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솟아 설면과 닿지 않는 형상의 비수평 오목 활주면(14)으로서 스키 길이방향(11)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키(10) 등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간 활주부(14)는 스키 등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센터 부분을 지나 스키 등의 말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단부로부터 말단부까지 전체 스키 길이(11)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4)의 연장 길이는 스키 등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수한 경우에 따라서는 활주면의 특정부분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목 활주부(14)는 단락부(도6의 선 Y-Y' 또는 도7의 Z-Z')에 의해 각각 분리된 일련의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오목 활주부 세그먼트들은 [제8도]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갖을 수 있다. 오목 활주부(14)의 재질은 스키 등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목 활주부를 스키 등과 일체로 제도하거나 공지의 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3도의 (a), (b), (c) 및 (d)는 본 고안에 따른 여러가지 형태의 오목 활주부(14)가 스키 등의 활주면(12)에 형성된 스키 등의 제2도의 선 V-V을 따른 횡단면도 이다. 제3도의 (a) 및 (b)의 오목 활주부(14)는 각각 활주면 내부에 모서리가 형성되로록 꺽어 형성한 오목한 횡단면 및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만곡(彎曲)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횡단면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3도의 (c) 및 (d)의 횡단면은 상기 기술한 (a) 및 (b)의 각각의 오목 활주부(14)의 형상은 유사하나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다.
오목한 활주부(14)의 횡단면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갖을 수도 있으며, 오목한 활주부(14)의 폭 및 깊이, 만곡부의 곡률등은 임의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오목 활주부(14)의 깊이가 깊으면, 즉 오목하게 들어간 정도가 크면스키 날은 설면에 일정 각도로 기울여진 형상을 하게 된다.
활주면 내부에 각이 형성되어 스키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 모서리가 있는 꺽인 형상의 오목 활주부를 갖는 스키는 그 꺽인 각도가 직각에 가까울수록 스키날이 설면에 마찰하는 마찰력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내부에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만곡(彎曲)부가 스키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상된 활주면을 갖는 스키에 있어서 만곡부의 곡률이 클수록 스키날이 설면에 마찰하는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제3도의 (a)와 (c) 그리고 (b)와 (d)는 오목한 활주부(14)의 횡단면이 유사하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마찰력이 증가하는 원리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활주면 바닥면 내부에 모서리가 일정 각도로 꺽여 있는 제 3도의 (a) 또는 (c)의 모서리 각도는 91도~ 179도이다.
바닥면에 만곡부가 스키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활주면을 갖는 스키의 만곡부의 최저 깊이는 1mm이다.
이제 제2도, 제4도, 제5도를 참조하여 스키어가 설면에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고안에 따른 스키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키어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키 모서리 날(13)를 비스듬히 들어올려 설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데에 대한 저항이 생기게 하여야 한다. 회전 과정은 스키가 반드시 측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skidding) 완성된다. 중요한 것은, 회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최소화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기존의 스키는 미끄러짐에 대한 마찰을 최소화하기위해서는 활주면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날(13)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평평한 지형의 설면(20)에서 고속으로 직진시 날이 설면에 마찰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스키는 좌우로 미끄러져 직진성과 조종성이 떨어지게 된다. 스키를 조종하기 위해서 스키의 모서리 날(13)이 설면과 마찰될 수 있도록 스키를 측면 방향으로 비스듬히 들어올리는 자세를 필수적으로 취해줘야 한다.
제4도의 (a) 및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평평한 지형의 설면(20)을 주행함에 있어서 종래의 스키는 날이 설면과 마찰하지 않아 직진성이 떨어지는 것[제4도a]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활주면 횡단면이 비수평인 오목한 활주부(14)를 갖는 스키[제4도b]는 항상 모서리의 날(13)이 설면(20)과 마찰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저항이 가해짐에 따라, 직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5도의 (a) 및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볼록한 형상의 설면(30)을 주행함에 있어서 설면(30)에 닿는 모서리에 부착된 날(13)의 사용이 불가능한 평면의 활주면을 갖는 종래의 스키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목부(14)가 형성된 스키는, 활주면 모서리의 날(13)이 볼록한 형상의 설면(30)에 마찰되어 저항을 만들 수 있게 됨으로써 스키에 큰 저항이 부가적인 신체적 동작없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볼록한 형상의 설면(30)에서 종래의 스키가 불안정한 직진성을 갖는 것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키는 현저하게 개선된 직진성과 안정성을 갖게 된다.
게다가, 활강 또는 전진 중에 정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항상 설면과 마찰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날(13)로 인해 정지력이 크게 됨으로써 짧은 거리 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완만한 경사면을 등행하는 경우 또는 평지에서 톱을 벌리면서 스케이팅하듯이 V자 형태로 스키를 밀면서 보행하는 경우에, 날(13)이 미끄러짐을 감소시켜 추력을 크게 하므로 스키어는 보다 용이하게 등행 및 보행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시간 손실 및 체력손실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4도, 제5도를 참조하여 스키에 대해서만 본 고안의 이점을 설명하였지만, 스노우 보드에서도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제6도의 (a) 및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효과가 동일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활주면(14)으로서 복수개(10',10")의 활주면으로 조립되어 활주면 가운데 부분이 설면과 닿지 않는 오목한 형상의 활주면(14)을 구성하는 측면도와 선 X-X'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그 개략적인 모습은 제2도와 유사하지만 스키 길이방향(11)으로 나란한 선 Y-Y' 을 따라 분리된 복수개의 스키로 구성된다. 오목한 활주면을 구성하는 스키 10', 스키 10"가 고정되는 조립체는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했다.
제7도의 (a) 및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효과가 동일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활주면(14)으로서 복수개(10',10",10"')의 활주면으로 조립되어 활주면 가운데 부분이 설면과 닿지 않는 오목한 형상의 활주면(14)을 구성하는 측면도와 선 X-X'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그 개략적인 모습은 제2도 및 제6도와 유사하지만 스키 길이방향(11)으로 나란한 선 Z-Z' 을 따라 분리된 복수개의 스키로 구성된다. 오목한 활주면을 구성하는 스키 10', 스키 10", 스키 10"'를 결합해주는 고정체 및 조립상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했다.
제6도와 제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간 활주부(14)는 스키 등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센터 부분을 지나 스키 등의 말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단부로부터 말단부까지 전체 스키 길이(11)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4)의 연장 길이는 스키 등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수한 경우에 따라서는 활주면의 특정부분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목 활주부(14)는 도6의 선 Y-Y' 또는 도7의 선 Z-Z'에 의해 각각 분리된 일련의 복수개의 분리된 활주부 세그먼트(10',10",10"')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활주부 세그먼트들로 조립되어 구성되어지는 오목한 활주부를 갖는 본 고안은 [제8도]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갖을 수 있다. 오목 활주부(14)의 재질은 스키 등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목 활주부를 스키 등과 일체로 제도하거나 공지의 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8도의 (a) 및 (b) 및 (c)는 본 고안에 따른 여러가지 형태의 오목 활주부(14)가 형성된 스키 등의 제6도 및 제7도의 선 X-X'을 따른 횡단면도 이다. 제8도의 (a) 의 오목 활주부(14)는 개략적으로 활주면 내부에 모서리가 꺽인 형상이 되도록 복수개의 분리된 활주부 세그먼트 10', 10", 10"로 구성된다. 단면의 대략적인 모습은 제3도의 (a) 및 (c)의 그것과 유사하며, 본 고안에 따른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오목한 활주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 스키 10', 스키10", 스키10"'가 결합되어지는 고정체 및 조립상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생략했다.
제8도의 (b) 및 (c) 역시 각각의 분리된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인 10',10",10"'가 제3도의 (b) 및 (d)와 유사한 둥근 만곡(彎曲)부를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조립된 횡단면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8도의 (b) 및 (c)의 횡단면은 각각의 오목 활주부(14)를 구성하는 형상이 유사하나 활주부에 포함하는 활주부 세그먼트의 수가 다르며,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다. 단면의 대략적인 모습은 제3도의 (b) 및 (d)의 그것과 유사하며, 본 고안에 따른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오목한 활주부(14)의 횡단면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갖을 수도 있으며, 오목한 활주부(1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인 10', 10", 10"'의 폭과, 각각의 세그먼트 활주부의 조립시 오목하게 패인 깊이를 결정하는 세그먼트가 결합되는 각도 및 만곡부의 곡률 등은 임의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오목 활주부(14)의 깊이가 깊으면, 즉 오목하게 들어간 정도가 크면 스키 날은 설면에 일정 각도로 기울여진 형상을 하게 된다.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스키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모서리가 있는 오목 활주부를 갖는 스키(도6, 도7, 도8)는 스키를 구성하는 세그먼트 활주부(10',10",10"')의 결합 각도가 직각에 가까울수록 스키날이 설면에 마찰하는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내부에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활주부 세그먼트가 만곡(彎曲)부를 스키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상하는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를 갖는 스키에 있어서 만곡부의 곡률이 클수록 스키날이 설면에 마찰하는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제8도의 (b) 및 (c)는 제3도의 (b) 및 (d)와 만곡된 오목한 활주부(14)의 횡단면이 유사하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마찰력이 증가하는 원리는 같다고 할 수 있다.
제8도 (a)에 있어서,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들이 일정 각도로 결합되어 오목한 활주부(14)를 구성하는 경우 세그먼트 결합 각도는 91도~ 179도 까지이다.
제8도 (b) 및 (c)에 있어서, 바닥면에 만곡부가 스키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활주면을 갖는 스키의 만곡부의 최저 깊이 1mm이다.
이제 제6도, 제9도, 제10도를 참조하여 스키어가 설면에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고안에 따른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오목한 활주부를 수성하는 스키(도6, 도7, 도8)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의 (a) 및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평평한 지형의 설면(20)을 주행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활주면 횡단면이 비수평인 오목한 활주부(14)를 갖는 스키는 항상 모서리의 날(13)이 설면(20)과 마찰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저항이 가해짐에 따라, 직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오목한 활주부가 1개로 구성되는 (a)와 분리된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로 결합되어 오목한 활구부를 구성하는 (b)는 그 효과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제10도의 (a) 및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볼록한 지형의 설면(30)을 주행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활주면 횡단면이 비수평인 오목한 활주부(14)를 갖는 스키는 항상 모서리의 날(13)이 설면(30)과 마찰을 하기 때문에 더욱 저항이 가해짐에 따라, 직진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오목한 활주부가 1개로 구성되는 (a)와 분리된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로 결합되어 오목한 활구부를 구성하는 (b)는 그 효과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활주면은 바닥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형상으로 인해, 활주면의 양 모서리 에지가 항상 설면과 마찰하고 있어, 직진(直進) 활주시 양 모서리의 날(에지)이 뛰어난 직진성을 부여하며,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시기존의 스키가 마찰력을 만들어 주기 위해 스키 활주면을 크게 기울여 날먹임을 해주는 것에 비해 본 고안의 스키는 활주면을 크게 기울이지 않아도 날먹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월한 조종성과 볼록지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한 효과를 부여하며, 앞서 기술한 조종성과 안정성으로 바탕으로 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특정 스키 기술 구현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시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고 정지시 정지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의 구체적인 기술을 첨부도면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스키에 있어서, 각각의 스키가 활주면 바닥의 횡단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활주부는 각각 분리된 일련의 단수 또는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6. 톱, 센터 및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스노우보드에 있어서, 활주면 바닥의 횡단면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 바닥은 그 횡단면 형상이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10.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활주부는 각각 분리된 일련의 단수 또는 복수개의 활주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KR20-2004-0000114U 2004-01-05 2004-01-05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KR200348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14U KR200348058Y1 (ko) 2004-01-05 2004-01-05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14U KR200348058Y1 (ko) 2004-01-05 2004-01-05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430A Division KR20050072048A (ko) 2004-11-04 2004-11-04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KR1020040111309A Division KR20050072052A (ko) 2004-12-23 2004-12-23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058Y1 true KR200348058Y1 (ko) 2004-04-28

Family

ID=4942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14U KR200348058Y1 (ko) 2004-01-05 2004-01-05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0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868A (en) Modified snowboard
US8408579B2 (en) Ski
US6626444B2 (en) Snowmobile steering ski
US4305603A (en) Snow glider
US5580078A (en) Double-edged snowboard
US5826890A (en) Ice skate blade
US20040262885A1 (en) Ski with tunnel and enhanced edges
EP0015447A1 (en) Ski with three-dimensional running surface
EP1993683A1 (en) Articulated two-piece snowboard with rigid, flexible connector
US4392658A (en) Skate blade
JPH02200281A (ja) モノスキー
EP0773818B1 (en) Blade of an ice skate
US5667238A (en) Ski having compound curve undersurface
US20040262884A1 (en) Carving toboggan
US6986525B2 (en) Board for gliding over snow with improved shovel and tail turn-up
EP0209218B1 (en) Alpine ski
KR20070033319A (ko) 스노우 슬라이딩 장치
US4838572A (en) Ski with inclined lateral surfaces
EP1848515A1 (en) Snowboard and skis for use in loose snow
KR200348058Y1 (ko)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CA2244520C (en) Improved snowmobile steering ski
US4787652A (en) Crosscountry ski sticks particularly for the new technique called "Skating"
KR20050072052A (ko)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KR20050072048A (ko) 활주면 바닥이 오목한 비수평(非水平) 활주면을 갖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KR200348038Y1 (ko) 활주면에 요조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