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944Y1 -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944Y1
KR200154944Y1 KR2019960042740U KR19960042740U KR200154944Y1 KR 200154944 Y1 KR200154944 Y1 KR 200154944Y1 KR 2019960042740 U KR2019960042740 U KR 2019960042740U KR 19960042740 U KR19960042740 U KR 19960042740U KR 200154944 Y1 KR200154944 Y1 KR 200154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eak
stopper
contents
viny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661U (ko
Inventor
정규천
Original Assignee
정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천 filed Critical 정규천
Priority to KR2019960042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9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필용 비닐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운반 시나 보관도중 배출구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와 일체로 형성되어진 누출방지캡을 배출구에 체결된 마개의 풀림조작시 동시에 분리되어 질 수 있도록 한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배출구(12)를 가지며 비닐용기에 압착 고정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배출구 본체(10)와, 상기 배출구(12)를 이중으로 밀폐 커버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마개(30)를 구비한 리필용 비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를 밀폐하기 위하여 연결편(24)이 상기 개구단부(12b)의 주면과 일체로 연설되어짐과 동시에 일정한 회전압력을 받으면 상기 개구단부로부터 분리면(26)이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지고 차단판(22)의 외주측면(22a)으로는 다수의 걸림돌출편(28)들이 형성되어 개봉하기 전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방지캡(30)을 상기 배출구(12)에 일체로 형성시켜 개방조작시 상기 마개(30)의 걸림돌출편(32)의 걸림력에 의해 누출방지캡(20)이 회전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본 고안은 리필(refill)용 비닐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운반 시나 보관도중 배출구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방지캡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배출구에 체결된 마개를 열 경우 이와 동시에 누출방지캡이 분리되어 질 수 있도록 한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만을 보충하기 위해 제조되는 리필(refill)용 비닐용기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각종 액상의 내용물을 본 용기에 별도로 따라 사용하거나 아니면 직접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닐용기로는 내용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통상적으로 부착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출구의 경우에는 단순히 비닐용기에 압착되어지는 배출구 본체를 마개로만 나사 결합하여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배출구의 밀폐수단이 마개의 나사결합으로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시 마개의 나사결합상태가 불량하거나 외부충격에 의해 이탈될 경우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결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도 내용물의 보관이나 운반시 기밀성을 유지하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방지캡 구조가 리필용의 비닐용기가 아닌 간장병 등과 같은 플라스틱용기에는 적용되고 있었으나 이들 대부분은 누출방지캡과 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기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출구에 체결된 마개를 열고 그 다음 손잡이를 이용하여 누출방지캡을 이중으로 별도 개봉하여야 되는 개봉상의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개봉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결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개의 개봉과 동시에 누출방지캡이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누출방지캡을 신속하게 개봉시킬 수 있도록 한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방지캡의 분리 구조를 보인 발췌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출구 본체 12 : 배출구
12b : 개구단부 20 : 누출방지캡
22 : 차단판 22a : 외주측면
24 : 연결편 26 : 분리면
28 : 걸림돌출편 30 : 마개
32 : 걸림돌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의 특징은, 배출구를 가지며 비닐용기에 압착 고정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배출구 본체와, 상기 배출구를 이중으로 밀폐 커버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리필용 비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개구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연결편이 상기 개구단부의 주면과 일체로 연설되어짐과 동시에 일정한 회전압력을 받으면 상기 개구단부로부터 분리면이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지고 차단판의 외주측면으로는 다수의 걸림돌출편들이 형성되어 개봉하기 전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방지캡을 상기 배출구에 일체로 형성시켜 개방조작시 상기 마개의 걸림돌출편의 걸림력에 의해 누출방지캡이 회전 분리되도록 구성되어진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방지캡의 실시예를 보인 발췌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리필용 비닐용기(미도시됨)의 일측 모서리로 압착 고정되는 배출구 본체(10)의 상부로는 내용물의 용이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배출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배출구(12)의 외주면으로는 숫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2)의 상부로는 비닐용기 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개봉 사용되기 전에는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누출방지캡(2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차단판(22)의 하부로 단차 형성되어진 연결편(24)이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배출구(12)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개구단부(12b)의 주면과 연접된 부위의 연결편(24)으로는 얇은 두께의 분리면(26)을 형성하여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차단판(22)의 외주측면(22a)으로는 시계방향으로 만곡지게 벌어져 있는 다수의 걸림돌출편(28)이 적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걸림돌출편(28)은 외주측면(22a)과 일체로 형성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외향으로 벌어지게 만곡져 있고 그 벌어진 정도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성을 갖는 것이다.
한편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와 연설되진 연결편(24)에 형성되어지는 분리면(14)의 두께는 운반시 비닐용기 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아 개봉 전에는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고 또한 개봉 시에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쉽게 분리 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구(12)를 이중으로 밀폐하고 커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착탈되는 마개(30)의 개구단부로는 내주면으로 배출구(12)의 숫나사부(12a)와 체결되는 암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측면의 상부로는 예컨대 배출구(12)에 결합시 누출방지캡(30)의 외주측면(22a)이 접촉되는 부위로는 반시계방향으로 만곡지게 벌어져 있는 다수의 걸림돌출편(32)이 적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마개(30)의 내주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돌출편(34)은 차단판(22)의 외주측면(22a)에 시계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출편(28)들과는 반대로 걸림돌출편(32)들이 내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반시계방향으로 대응되게 만곡되어 내향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로 벌어져있고, 그 벌어진 공간부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개(30)의 내부 주면으로는 누출방지캡(20)이 개봉된 상태에서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단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누출방지캡(20)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구(12)를 커버하기 위하여 이의 외방으로 마개(3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체결한다. 그러면 이때 마개(30)의 내주측면에 반 시계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출편(32)들은 시계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차단판(22)의 걸림돌출편(28)들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면서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 상호 간섭없이 조여진다.
이렇게 마개(30)의 조임이 완료되면 배출구(12)는 상기 마개(30)에 의해 이중으로 커버되어지고 각 걸림돌출편(28)(32)들은 그 조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력을 받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닐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개(30)와 누출방지캡(20)을 차례대로 제거해야 하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마개(30)만을 잡고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걸림돌출편(32)이 누출방지편(20)의 걸림돌출편(32)에 걸려지면서 동시에 회전되어 지게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0)의 체결시 상호 탄력적으로 압력을 받고 있던 걸림돌출편(28)(32)들은 상기 마개(30)의 풀림조작시 걸림돌출편(32)들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차단판(22)의 외주측면(22a)으로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출편(28)들과 상호 엇갈리게 걸려지게 되기 때문에 마개(30)의 풀림조작시 걸림돌출편(28)(32)들의 상호 걸림력에 의해 누출방지캡(20) 역시 동시에 회전 조작되어지고 그 풀림 조작에 따라 제2도와 같이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를 밀폐하고 있던 연결편(24)의 분리면(26)이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져 배출구(12)를 개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누출방지캡의 분리장치에 의하면 비닐용기의 배출구를 밀폐하고 있는 마개와 누출방지캡을 각각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누출방지캡이 마개의 풀림조작 시 동시에 분리 제거되는 것이어서 마개와 누출방지캡의 분리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걸림돌출편(28)(32)의 형태를 둘레면 전체로 형성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Claims (1)

  1. 배출구(12)를 가지며 비닐용기에 압착 고정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배출구 본체(10)와, 상기 배출구(12)를 이중으로 밀폐 커버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마개(30)를 구비한 리필용 비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의 개구단부(12b)를 밀폐하기 위하여 연결편(24)이 상기 개구단부(12b)의 주면과 일체로 연설되어짐과 동시에 일정한 회전압력을 받으면 상기 개구단부로부터 분리면(26)이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지고 차단판(22)의 외주측면(22a)으로는 다수의 걸림돌출편(28)들이 형성되어 개봉하기 전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방지캡(30)을 상기 배출구(12)에 일체로 형성시켜 개방조작시 상기 마개(30)의 걸림돌출편(32)의 걸림력에 의해 누출방지캡(20)이 회전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KR2019960042740U 1996-11-28 1996-11-28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KR200154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740U KR200154944Y1 (ko) 1996-11-28 1996-11-28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740U KR200154944Y1 (ko) 1996-11-28 1996-11-28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61U KR19980029661U (ko) 1998-08-17
KR200154944Y1 true KR200154944Y1 (ko) 1999-09-01

Family

ID=1947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740U KR200154944Y1 (ko) 1996-11-28 1996-11-28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9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87A (ko) * 2021-06-29 2023-01-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베드의 착탈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87A (ko) * 2021-06-29 2023-01-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베드의 착탈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KR102578634B1 (ko) * 2021-06-29 2023-09-14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베드의 착탈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6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2881C2 (ru) Бутылка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US2911128A (en) Spout and cap for a container
JPH0468229B2 (ko)
KR101630314B1 (ko) 안전 캡을 구비한 용기
US5678735A (en) Rupturable stopper for a pouring spout
MX2007010639A (es) Cerradura de plastico de multiples partes.
JP2017057009A (ja) ねじ蓋式容器
US3069039A (en) Bottle
US20050211734A1 (en) Skirted closure for small dropper bottles
KR200154944Y1 (ko)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캡 분리장치
US2849166A (en) Toothpaste dispenser
JP6345040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JP2020055553A (ja) 吐出容器
JP7090986B2 (ja) 吐出容器
US4887746A (en) Two-piece screw closure for containers
KR200154943Y1 (ko) 리필용 비닐용기의 누출방지편 분리장치
JP7313120B2 (ja) 吐出容器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200201671Y1 (ko) 포장용기 뚜껑
JP7242405B2 (ja) 吐出容器
KR200324202Y1 (ko)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US5158385A (en) Sealing cap for elongated roll-on package
KR200374679Y1 (ko) 튜브용기 뚜껑
US1799197A (en)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