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846Y1 -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846Y1
KR200154846Y1 KR2019940024885U KR19940024885U KR200154846Y1 KR 200154846 Y1 KR200154846 Y1 KR 200154846Y1 KR 2019940024885 U KR2019940024885 U KR 2019940024885U KR 19940024885 U KR19940024885 U KR 19940024885U KR 200154846 Y1 KR200154846 Y1 KR 200154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fixed
dishwasher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956U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40024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846Y1/ko
Publication of KR960009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안전스위치의 설치가 용이할수 있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스위치의 고장이 발생시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에 있어서,
도어(200)의 내면 상단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이 되는 누름부(310)와,
본체의 전면 상단일측 모서리부에 내부로 요입이 되어 상기의 누름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320)과,
상기 요입홈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관통이 되는 관통공(330)과,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일단은 요입홈으로 돌출이 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방측으로 돌출이 되도록 하는 작동축(340)과,
상기 작동축의 후방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접지편(350)과,
상기 작동축에 끼워져 본체의 후방 외부로 노즐이 된 상태에서 일측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접지편에 고정되어 작동축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줄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360)과,
상기 누름편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어 접지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온, 오프 될수 있도록 하는 안전스위치(3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b)는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0 : 도어개폐 감지장치 310 : 누름부
320 : 요입홈 330 : 관통공
340 : 작동축 350 : 접지편
360 : 인장스프링 370 : 안전스위치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안전스위치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이 간편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스위치의 고장이 발생시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수납실내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여 식기를 깨끗하게 세척을 하여 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식기세척기에 있어, 종래의 도어개폐 감지장치는 본체의 전면 상단 일측의 모서리부에 내부로 요입이 될수 있도록 안전스위치를 설치하여 본체의 전방에 구성된 도어를 닫게되면 도어가 안전스위치의 접지단자를 눌러주어 전원을 차단시켜 주게되고 도어를 열어주게 되면 이에 의해 눌려있던 접지단자가 전방으로 돌출이 됨에 따라 안전스위치의 전원을 연결시켜 주어 도어가 열려있음을 감지하여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개폐 감지장치는 안전스위치가 본체의 전면 상단부 일측의 내부에 설치가 된 상태에서 이에 구성된 접지단자만이 전방으로 돌출이 될수 있도록 설치가 되어있어, 상기 안전스위치와 연결이 되는 전선을 본체의 측멱 내면을 통해 후방측에 구성되어 있는 콘트롤부까지 연결시켜 주어야 하므로서, 안전스위치가 설치된 본체의 전방에서 부터 콘트롤부가 설치되어 있는 후방측 까지 전선을 매설시켜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도중 전선의 단선 및 안전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해 수리 및 교체를 하여 주어야 할 경우에는 본체의 케이스를 분해시켜 준뒤 수리 및 교체를 한뒤 분해시켜준 케이스를 다시 조립을 하여야 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게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안전스위치의 조립이 간단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리 및 교체시 본체를 분해시켜 주지 않고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를 할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은 도어의 내면 상단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이 되는 누름부와,
본체의 전면 상단일측 모서리부에 내부로 요입이 되어 상기의 누름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관통이 되는 판통공과,
상기 판통공에 끼워져 일단은 요입홈으로 돌출이 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방측으로 돌출이 되도록 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후방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접지편과,
상기 작동축에 끼워져 본체의 후방 외부로 노즐이 된 상태에서 일측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접지편에 고정되어 작동축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줄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누름편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어 접지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온, 오프 될수 있도록 하는 안전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로서,
식기세척기는 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실(11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이와 힌지로 결합고정이 되어 수납실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도어(2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 있어, 본 고안은 도어개폐 감지장치(3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는 제2도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내면 상단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이 되는 누름부(310)와,
본체의 전면 상단일측 모서리부에 내부로 요입이 되어 상기의 누름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320)과,
상기 요입홈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관통이 되는 관통공(330)과,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일단은 요입홈으로 돌출이 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방측으로 돌출이 되도록 하는 작동축(340)과,
상기 작동축의 후방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접지편(350)과,
상기 작동축에 끼워져 본체의 후방 외부로 노츨이 된 상태에서 일측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접지편에 고정되어 작동축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줄 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360)과,
상기 누름편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어 접지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온, 오프 될수 있도록 하는 안전스위치(37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이 되는 안전스위치와 접지편을 보호함과 아울러, 외관을 미려하기 위해 이들을 커어버(400)로 씌워주어 본체와 고정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축(340)에 인장스프링(360)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축의 선단부를 본체(100)익 후방으로 부터 관통공(330)에 삽입을 시켜준뒤 작동축에 끼워져 있는 인장스프링의 일면을 본체의 후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접지편(350)에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의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작동축(340)이 관통공(330)에서 본체의 전방측으로 이동이 되어 선단부의 일부분이 요입홈(320)으로 돌출이 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의 접지편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안전스위치(370)를 본체(100)의 후면에 고정시켜 주게된다.
이때, 상기 안전스위치에 구성된 접지단자(371)가 작동축에 의해 작동이 되는 접지편이 접지될수 있도록 하여 고정시켜 주게되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즐이 되어있는 물품을 커어버(400)로 덮어주므로서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으로서, 감지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안전스위치가 본체의 후방 외측에 설치가 됨으로서 이와 콘트롤부와 연결이 되는 전선의 길이가 짧아져 이를 본체의 측벽에 매설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도의(a)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에 구성되어 있는 도어(200)를 닫아주게 되면 이의 내면 상단 일측에 구성된 누름부(310)가 본체의 전면에 구성된 요입홈(320)으로 요입되게 되고, 상기 누름부가 요입홈에 요입이 됨에 따라 누름부(320)가 인장스프링(360)의 인장력에 의해 요입홈(320)으로 돌출된 작동축(340)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누름부가 작동축의 선단부를 눌러주게 되면 관통공(330)에 끼워져 있는 작동축이 인장스프링(360)을 늘려주면서 후방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작동축이 후방측으로 밀려나게 되면 이의 후방에 구성된 접지편(350)이 후퇴를 하여 이의 하부에 구성된 안전스위치(370)의 접지단자(371)를 눌러주게 되어 전원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도어가 닫혀 있음을 감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도의(b)에서와 같이 닫혀있는 도어를 열어주게 되면 이에 구성된 누름부(310)가 요입홈(320)으로 부터 이격이 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누름부에 의해 후방측으로 밀려있던 작동축(340)이 인장스프링(360)의 인장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전진을 하게 되면 이의 후방에 구성된 접지편(350)이 전진을 함에 따라 눌러주고 있던 안전스위치(370)의 접지단자(371)를 해지시켜 주므로서, 전원을 인가시켜 줌에 의해 도어가 열려있음을 감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로 하여 감지장치를 사용하다가 안전스위치(370)에 고장이 발생되어 이를 수리하고져 하거나 교체를 하고져 할 경우에는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400)만을 벗겨내게 되면 안전스위치가 노출이 되므로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감지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사용도중 안전스위치의 고장이 발생시 본체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커어버만을 벗겨내게 되면 안전스위치가 노출이 되도록 되어있어 안전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주는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에 있어서,
    도어(200)의 내면 상단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이 되는 누름부(310)와,
    본체의 전면 상단일측 모서리부에 내부로 요입이 되어 상기의 누름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320)과,
    상기 요입홈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관통이 되는 관통공(330)과,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일단은 요입홈으로 돌출이 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방측으로 돌출이 되도록 하는 작동축(340)과,
    상기 작동축의 후방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접지편(350)과,
    상기 작동축에 끼워져 본체의 후방 외부로 노즐이 된 상태에서 일측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접지편에 고정되어 작동축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줄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360)과,
    상기 누름편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어 접지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온, 오프 될수 있도록 하는 안전스위치(3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감지장치.
KR2019940024885U 1994-09-27 1994-09-27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KR200154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885U KR200154846Y1 (ko) 1994-09-27 1994-09-27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885U KR200154846Y1 (ko) 1994-09-27 1994-09-27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56U KR960009956U (ko) 1996-04-12
KR200154846Y1 true KR200154846Y1 (ko) 1999-08-16

Family

ID=1939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885U KR200154846Y1 (ko) 1994-09-27 1994-09-27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8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56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NO300440B1 (no) Apparatinntak
KR101036469B1 (ko) 건조기의 도어 스위치 어셈블리
KR200154846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감지장치
EP1597997B1 (en) Dishwasher and door locking device for the same
EP1417922A3 (en) Dishwasher
US5478245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with suction mechanism
KR100495629B1 (ko) 냉장고
US20040181897A1 (en) Cable-pull opening
KR200146549Y1 (ko) 세탁기의 도어손잡이
KR970002541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0128146Y1 (ko) 세탁기의 도어
KR20014286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캡 장착구조
KR101232429B1 (ko) 식기세척기의 와이어 고정 구조
JP7113667B2 (ja) 衣類乾燥機
KR100201855B1 (ko) 드럼 세탁기의 전자식 자동 개방형 도어 록커
KR100839079B1 (ko) 세탁기
KR19990048173A (ko) 붙박이형 식기세척기
KR200340993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유선 비데 조작부
KR100452383B1 (ko) 세탁기의 리드 마그네트 설치구조
KR980008239U (ko) 세탁기의 도어스위치 고정장치
JPH0543740Y2 (ko)
KR101076551B1 (ko) 스위치 결합구조
KR200305039Y1 (ko) 개선된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KR19980074212A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