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444Y1 -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 Google Patents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444Y1
KR200154444Y1 KR2019950047226U KR19950047226U KR200154444Y1 KR 200154444 Y1 KR200154444 Y1 KR 200154444Y1 KR 2019950047226 U KR2019950047226 U KR 2019950047226U KR 19950047226 U KR19950047226 U KR 19950047226U KR 200154444 Y1 KR200154444 Y1 KR 200154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tank
intake
air
supplied
swi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953U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7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444Y1/ko
Publication of KR970040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로틀 바디 일측으로 연결시킨 제1서지 탱크와 병행하여 상기 스로틀 바디로부터 흡입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2서지 탱크와, 상기 제2서지 탱크에 연결되며 내주면으로는 헬리컬 형상의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상기 제1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제2흡기 매니폴드와, 상기 제1서지 탱크와 제2서지 탱크간으로 유도되는 연결관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를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회동하면서 공급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 밸브로서 흡기계를 형성시켜 중고속과 저속시를 완전히 상이한 공기의 흐름으로 제어토록 하므로서 각 구동형태에 맞는 흡입공기가 엔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양 흡기 포트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양 흡기 포트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저속에서의 스월효과에 의해 엔진 연소력과 함께 출력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배기 가스 배출을 대단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 공기의 공급 방향 제어 구조도.
제3도는 종래의 흡기계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20,20A,20B : 흡기 매니폴드
30,30A,30B : 서지 탱크 40 : 연결관
50 : 스로틀 바디 60 : 전자 제어 장치
70 : 절환 밸브 80 : 마그네트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 공기를 중저속에서는 종래와 같은 제1서지 탱크와 제1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공급되며, 저속에서는 제2서지 탱크와 관상에 헬리컬 형상의 돌기가 돌설되도록 한 제2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저속에서 흡입 공기의 스월(Swirl)을 향상시켜 엔진 연소성과 출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OHC(Double Over Head Cam)형 4밸브 엔진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린 번 엔진(Leam Burn Engine)은 두개의 흡기 포트를 형성하여 일측으로는 스로틀 밸브를 장착시키든가 아니면 헬리컬 형상으로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흡입 공기의 스월을 촉진시키도록 하므로서 중고속에서는 양측의 흡기 포트를 통해서 흡입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저속에서는 일측을 스로틀 밸브에 의해 폐쇄시켜 타측으로만 공급시키거나 헬리컬 돌기가 형성된 흡기 포트로만 흡입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는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스로틀 바디(50)로부터 서지 탱크(30)에 흡입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여 부압에 의해 흡기 매니폴드(20)를 통해서 공급된다.
상기과 같은 린 번 엔진은 저속에서의 흡입 공기를 와류로 형성되도록 하여 엔진에서의 연소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배출 가스와 연료 소비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저속에서의 공기 흡입은 일측의 흡기 포트를 통해서만 스월을 형성시키게 되므로 스월을 일으키게 되는 흡입 공기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시키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에 종래의 서지 탱크와 흡기 매니폴드에 병행하여 세컨더리 서지 탱크와 흡기 매니폴드를 형성토록 하되 상기 세컨더리 흡기 매니폴드에는 헬리컬 형상으로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저속에서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약칭으로 ECU라고 함)에 의해서 상기와 같은 세컨더리 서지 탱크와 흡기 매니폴드로 흡입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여 엔진으로의 스월 흡입 공기량을 확장시키므로서 더욱 향상된 연소력과 배출 가스의 저감 효과가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 일측으로 연결시킨 제1서지 탱크와 병행하여 상기 스로틀 바디로부터 흡입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2서지 탱크와, 상기 제2서지 탱크에 연결되며 내주면으로는 헬리컬 형상의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상기 제1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제2흡기 매니폴드와, 상기 제1서지 탱크와 제2서지 탱크간으로 유도되는 연결관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를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회동하면서 공급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 밸브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이를 첨부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도이다.
상기의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로틀 밸브의 일측으로 제1서지 탱크(30A)와 제1흡기 매니폴드(20A)에 병행하여 제2서지 탱크(30B)와 제2흡기 매니폴드(20B)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2흡기 매니폴드(20B)는 제1흡기 매니폴드(20A)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2흡기 매니폴드(20B)의 각 흡기관으로는 내주면으로 헬리컬 형상으로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흡입 공기가 통과하게될 때 스월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로틀 바디(50)에서 각 서지탱크로 연결되는 연결관(40)에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절환 밸브(70)가 장착되도록 하여 ECU(60)에 의해 각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속시 상기 절환 밸브(70)가 제1서지 탱크(30A)측의 통로를 폐쇄시켜 제2서지 탱크(30B)측으로만 흡입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고, 중고속시에는 제2서지 탱크(30B)측의 통로를 폐쇄시켜 제1서지 탱크(30A)와 제1흡기 매니폴드(20A)로 흡입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절환 밸브(70)의 개폐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환 밸브(70)의 회동 끝단부는 제1서지 탱크(30A)측과 제2서지 탱크(30B)측 통로 선단으로 부착시킨 마그네트(80)에 붙도록 하는 것이 보다 좋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로틀 바디(50)를 통해 유도되는 공기는 스로틀 바디(50)내 스로틀 밸브 작동에 의해 흡입 공기량이 제어되면서 유출된다.
이같은 흡입 공기는 연결관(40)을 거치면서 중고속시에는 절환 밸브(70)가 제2서지 탱크(30B)측 통로를 폐쇄시킨 상태가 되므로 제1서지 탱크(30A)를 통해 제1흡기 매니폴드(20A)로 유도되어 엔진(10)에 공급되게 된다.
하지만 저속시에는 ECU(60)가 상기 절환 밸브(70)를 작동시켜 제1서지 탱크(30A)측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므로서 제2서지 탱크(30B)로 유도되어 제2흡기 매니폴드(20B)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흡입 공기는 헬리컬 형상의 돌기를 따라 강력한 스월을 형성하면서 엔진(1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중고속에서는 제1서지 탱크(30A)와 제1흡기 매니폴드(20A)를 통해 빠른 흡입 공기의 공급을 수행시키게 되고, 저속에서는 제2서지 탱크(30B)와 제2흡기 매니폴드(20B)를 통해 강한 스월 흡입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특히 저속시 양측 흡기 포트로 동시에 다량의 공기를 스월을 일으키면서 공급되도록 하여 보다 연소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중고속과 저속시를 완전히 상이한 공기의 흐름으로 제어하여 각 구동형태에 맞는 흡입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특히 저속에서의 스월효과에 따라 엔진 연소력과 함께 출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또한 배기 가스 배출이 대단히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스로틀 바디 일측으로 연결시킨 제1서지 탱크와 병행하여 상기 스로틀 바디로부터 흡입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2서지 탱크와;
    상기 제2서지 탱크에 연결되며 내주면으로는 헬리컬 형상의 돌기가 돌설되도록 하여 상기 제1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제2흡기 매니폴드와;
    상기 제1서지 탱크와 제2서지 탱크간으로 유도되는 연결관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를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서 회동작동하면서 공급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 밸브와;
    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KR2019950047226U 1995-12-26 1995-12-26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KR200154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226U KR200154444Y1 (ko) 1995-12-26 1995-12-26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226U KR200154444Y1 (ko) 1995-12-26 1995-12-26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53U KR970040953U (ko) 1997-07-29
KR200154444Y1 true KR200154444Y1 (ko) 1999-08-16

Family

ID=1943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226U KR200154444Y1 (ko) 1995-12-26 1995-12-26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53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374A (en) Inlet arrangemen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39721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
CA119140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21342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
JPS58187519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5845573B2 (ja) 内燃機関の吸気通路装置
KR200154444Y1 (ko) 스월 발생 촉진용 흡기계
JP3214720B2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JPS58135323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吸気機構
JP2005180309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663723B2 (ja) 複吸気弁式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639720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H08135455A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BR0107472B1 (pt) motor à combustão interna de injeção direta com válvulas comandadas.
JP2968066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GB2087479A (en) Ic engine mixture intake system
JPH0133792Y2 (ko)
KR100252359B1 (ko) 엔진의 전운전 영역에 걸쳐 효율성을 향상시킨 흡기포트장치
KR100213549B1 (ko) 차량의 린번 엔진 흡입 포트 구조
KR100223316B1 (ko) 린 번 엔진(Lean Burn Engine)에서의 스월 생성 구조
JPH0717785Y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0222848B1 (ko) 내연기관의 흡기 스월 발생구조
JPH0350265Y2 (ko)
JPS58183818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6093121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