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746Y1 - 과수봉투 - Google Patents

과수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746Y1
KR200153746Y1 KR2019970007171U KR19970007171U KR200153746Y1 KR 200153746 Y1 KR200153746 Y1 KR 200153746Y1 KR 2019970007171 U KR2019970007171 U KR 2019970007171U KR 19970007171 U KR19970007171 U KR 19970007171U KR 200153746 Y1 KR200153746 Y1 KR 200153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aper
fruit
wings
wing
b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69U (ko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허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987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5374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허성우 filed Critical 허성우
Priority to KR2019970007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746Y1/ko
Publication of KR980000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746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투(2)의 앞, 뒤수납용지(4, 6)가 용이하게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또한 포장된 봉투(2)가 균형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과일의 균형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봉투(2)를 용이하게 오픈할 수 있도록 홈(22)을 형성하고 있는 앞수납용지(4)와, 상기 앞수납용지(4)의 일측단부에 제1노치라인(10)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되는 제1, 2윙(12, 14)과, 상기 제2윙(14)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앞수납용지(4)와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공간부(8)가 형성되게 하는 뒤수납용지(6)와, 상기 뒤수납용지(6)의 타측단부에 제2노치라인(16)에 의하여 구분되어 지면서 상기 앞수납용지(4)에 일체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제3, 4윙(18, 20)으로 구성된 과수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용 봉투
본 고안은 과수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투 입구를 용이하게 오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과일을 포장한 봉투를 벤드로 신속히 묶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게 한 과수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에 사용되는 봉투는, 과수에 열린 과일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의 과일등을 포장하는데에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포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봉투(102)는, 공간부(104)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로 된 앞수납용지(106)와 뒷수납용지(108)가 접혀져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앞수납용지(106)의 상부 중앙에는 오픈된 입구를 용이하게 더욱 벌릴 수 있게 한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앞수납용지(106)의 상부 일측에는 봉투(102) 입구를 묶을 수 있게 한 제1벤드(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벤드(112) 전면에는 봉투(102) 입구를 묶을때 사용되는 플렉시블한 와이어(11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벤드(112) 상부 타측에는 앞수납용지(106)에 일체로 된 제1a 연결편(116)이 이어지고, 상기 제1벤드(112) 하부에는 앞수납용지(106)에 일체로 된 제1b 연결편(118)이 이어지며, 이와 함께 상기 앞수납용지(106)의 전면 일측에는 제1벤드(112)를 포함하는 a 접착부(120)가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상기 뒤수납용지(108)의 일측 상부에는 앞수납용지(106)의 배면이 부착될 수 있게 한 b 접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뒤수납용지(108)의 일측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a 접착부(120)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부착부(124)가 접혀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부착부(124)와 뒤수납용지(108)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벤드(112)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2벤드(126)가 접혀지며 형성되는데, 상기 뒤수납용지(108)에 위치한 제2벤드(126)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뒤수납용지(108)에 일체로 된 제2a 연결편(128)이 이어지고, 상기 제2벤드(126)의 하부에는 뒤수납용지(108)에 일체로 된 제2b 연결편(130)이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124)에 위치한 제2벤드(126)의 일측 상부에는 제2c 연결편(132)이 부착부(124)에 일체로 이어지고, 상기 제2벤드(126)의 하부에는 상기 부착부(124)에 일체로 된 제2d 연결편(134)이 이어진다.
한편 상기 봉투(102) 하부에는 앞, 뒤수납용지(106, 108)가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한 c 접착부(136)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c 접착부(136) 양측에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한 제1, 2 통기공(138, 14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실시예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앞, 뒤수납용지(106, 108)를 엄지와 검지로 각각 붙잡은 다음에, 상기 엄지와 검지를 상호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봉투(102)의 앞,뒤수납용지(106, 108)가 상호 마찰을 일으키면서 입구를 오픈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입구가 오픈된 상태에서 앞수납용지(106)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110)에 다른 손가락으로 붙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봉투(102)의 입구는 더욱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계속하여 작업자가 입구를 개방한 봉투(102)로 과일에 포장하게 되면, 상기 과일은 봉투(102)에 형성된 공간부(104)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상기 봉투(102) 입구를 오므려서 과일의 꼭지부분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b, 2b, 2d 연결편(118, 130, 134)을 작업자가 단락시킴으로써 제1, 2벤드(112, 126)의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하고, 다음에 상기 제1, 2벤드(112, 126)로 과일 꼭지 부분을 감싸고 있는 봉투(102)의 입구 외주를 감아주게 되면, 상기 제1벤드(112)에 설치된 와이어(114)가 휘어지면서 봉투(102) 입구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을 한 다음에는, 상기 제1, 2벤드(112, 126)의 양측단부를 상호 엇갈리게 하면서 꼬아주면 과일의 포장작업이 종료된다.
이때 상기 봉투(102) 하부에 형성된 제1, 2통기공(138, 14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순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과일은 외부로 부터 항시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햇빛 등은 상기 봉투(102)에 의하여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과수에 열린 과일을 포장하기 위하여 다량의 빈 봉투를 준비한 뒤에 현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봉투의 앞, 뒤수납용지가 상호 밀착되어 있어 일일이 두손으로 입구를 오픈시켜야 함으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포장된 상태에서의 봉투 위치는 항시 편중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과일은 기후여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치우친 상태로 성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봉투의 입구를 묶기 위하여 제1, 2벤드에 형성된 제1b, 2b, 2d 연결편을 작업자가 일일이 단락을 시켜야 함으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봉투의 앞, 뒤수납용지가 용이하게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또한 포장되는 봉투가 균형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게 하여 과일의 균형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봉투의 입구를 묶기 위하여 형성된 벤드가, 회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부가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묶음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앞수납용지와, 상기 앞수납용지의 일측단부에 제1노치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되는 제1, 2윙과, 상기 제2윙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앞수납용지와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뒤수납용지와, 상기 뒤수납용지의 타측단부에 제2노치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 지면서 상기 앞수납용지에 일체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제3, 4윙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 부분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하부 부분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A - A 단면도.
제6(a)(b)(c)도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도.
제7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 부분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봉투 4 : 앞수납용지
6 : 뒤수납용지 8 : 공간부
10 : 제1노치라인 12 : 제1윙
14 : 제2윙 16 : 제2노치라인
18 : 제3윙 20 : 제4윙
22 : 홈 24 : 제1벤드
26 : 제1연결편 28 : 와이어
30 : a 접착부 32 : 부착부
34 : 제2벤드 36 : 제2연결편
38 : b 접착부 40 : c 접착부
42 : d 접착부 44 : 제1통기공
46 : e 접착부 48 : 제2통기공
50 : 제3통기공 52 : 제4통기공
54 : f 접착부 56 : 제5통기공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2)가 접혀진 한 장의 쉬트로 이루어짐으로써 앞, 뒤수납용지(4, 6)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앞, 뒤수납용지(4, 6) 사이에는 과일을 내포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앞, 뒤수납용지(4, 6)의 일측에는 제1노치라인(10)에 의하여 구분되어 지는 제1, 2윙(12, 1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앞, 뒤수납용지(4, 6)의 타측에는 제2노치라인(16)에 의하여 구분되어지는 제3, 4윙(18, 20)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 4윙(12, 20)과 제2, 3윙(14, 18)은 각각 폭을 달리한다.
상기 앞수납용지(4)의 상단부 중앙에는 봉투(2) 입구를 더욱 오픈할 수 있도록 한 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윙(12) 일측 상부에는 봉투(2) 입구를 묶기위한 벤드부(21)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벤드부(21)는 제1윙(12) 내지 제4윙(20) 어느 하나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한 벤드부(21)는 상기 앞수납용지(4)를 형성하는 제1윙(12) 앞부분 상단에 봉투(2) 입구를 묶을 수 있게 한 제1벤드(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벤드(24)의 타측 중앙에는 제1연결편(26)이 제1윙(12)에 일체로 이어지고, 상기 제1벤드(24) 전면에는 봉투(2)의 입구가 묶여질 때 고정역할을 하는 플렉시블한 와이어(2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윙(12)의 앞부분 전면에는 a 접착부(30)가 제1벤드(24)를 포함하며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윙(12)의 뒤부분 일측단부에는 a 접착부(30)에 고정되는 부착부(32)가 접혀지며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32) 상단부와 제1윙(12)의 뒤 부분에는 상기 제1벤드(24)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2벤드(34)가 접혀지며 형성되는데, 상기 제2벤드(34) 타측 중앙에는 제1윙(12)의 뒤 부분에 이어지는 제2연결편(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벤드(34)의 하단부는 제2연결편(36)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윙(12)의 뒤부분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앞수납용지(4)의 배면 일측단부를 고정시키는 b 접착부(3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봉투(2)를 구성하는 앞수납용지(4)의 하단부 양측에는 c, d 접착부(40, 4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c 접착부(40)와 d 접착부(42) 사이에는 제1통기공(44)이 형성되며, 상기 d 접착부(42) 일측에는 e 접착부(46)가 제1윙(12)에, 제2통기공(48)이 제2윙(14)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e 접착부(46) 일측에는 제3통기공(50)이 제1윙(12)에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c 접착부(40) 타측에는 제4통기공(52)이 제4윙(20)에, f 접착부(54)가 제3윙(18)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f 접착부(54) 타측에는 제5통기공(56)이 제3윙(18)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수에 열린 과일을 포장하기 위하여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뒤수납용지(4, 6)에 엄지와 검지를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밀착된 제3, 4윙(18, 20)이 상호 이격되면서 봉투(2) 입구가 오픈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입구가 오픈 상태에서 과일의 크기에 따라서 더욱 크게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손가락을 앞수납용지(4) 상단부에 형성된 홈(22)에 넣고 당기게 되면 오픈되는 정도가 더욱 크게 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을 봉투(2)의 공간부(8)에 넣어 포장을 하고, 동시에 상기 봉투(2) 입구를 오므려서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과일 꼭지 부분을 감싼다.
그리고 상기 제1윙(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 2벤드(24, 34)를 오므라진 봉투(2)의 입구에 감싸게 되면, 상기 제1벤드(24)에 설치된 와이어(28)가 구부려지면서 봉투(2)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 2벤드(24, 34)의 선단부를 상호 엇갈리게 한 다음에 꼬아주게 되면, 과일의 포장작업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과일이 봉투(2)에 의하여 포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봉투(2)에 형성된 제1, 2, 3, 4, 5 통기공(44, 48, 50, 52, 56)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공간부(8)를 순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밀착된 봉투의 앞, 뒤수납용지가 용이하게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함으로써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과일에 포장되는 봉투가 균형을 유지하게 됨에 따라 과일이 안정되게 성장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제1, 2벤드의 하부가 회동이 자유로운 구조를 함으로써 봉투의 입구를 보다 용이하게 묶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봉투를 용이하게 오픈 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고 있는 앞수납용지와, 상기 앞수납용지의 일측단부에 제1노치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되는 제1, 2윙과, 상기 제2윙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앞수납용지와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서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뒤수납용지와, 상기 뒤수납용지의 타측단부에 제2노치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 지면서 상기 앞수납용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4윙으로 이루어지는 과수봉투에 있어서, 상기 제1,4윙과 제2,3윙은 각각 폭을 달리하는 동시에, 상기 제1윙 내지 제4윙 중에서 폭이 가장 큰 제1윙에, 와이어가 내장되어 길이방향 중앙의 연결편으로 연결되어서 절결시킬 수 있는 벤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봉투.
KR2019970007171U 1997-04-08 1997-04-08 과수봉투 KR200153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171U KR200153746Y1 (ko) 1997-04-08 1997-04-08 과수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171U KR200153746Y1 (ko) 1997-04-08 1997-04-08 과수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69U KR980000069U (ko) 1998-03-30
KR200153746Y1 true KR200153746Y1 (ko) 1999-08-02

Family

ID=1949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171U KR200153746Y1 (ko) 1997-04-08 1997-04-08 과수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7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558A (zh) * 2018-10-10 2019-03-01 浙江理工大学 一种育果袋折叠成形方法
KR102095286B1 (ko) * 2018-10-30 2020-03-31 전형열 과실 포장재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558A (zh) * 2018-10-10 2019-03-01 浙江理工大学 一种育果袋折叠成形方法
KR102095286B1 (ko) * 2018-10-30 2020-03-31 전형열 과실 포장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69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662A (en) Flower wrapper
US5287965A (en) Light storage device
US5348400A (en) Tube-pouch with opening accessory
KR200153746Y1 (ko) 과수봉투
KR101142090B1 (ko) 김밥 포장지
KR20080027115A (ko) 과실 보호용 봉투
US4953697A (en) Self-retaining golf bag cover employing plain sleeve
US2780403A (en) Package bow guard
WO1996039346A1 (en) Wrapper for a bunch of flowers
KR20000018055A (ko) 과일봉투
KR20020007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과수봉투
JP2018186761A (ja) 果実袋
US1509972A (en) Avocado-picking bag
KR100617584B1 (ko) 복숭아용 과수봉투
KR200372960Y1 (ko) 복숭아용 과수봉투
KR940003469Y1 (ko) 꽃다발 포장지
KR200429379Y1 (ko) 과수 봉지
JP7086374B2 (ja) 果実袋
KR200462578Y1 (ko) 화분감싸개
JPH0338121Y2 (ko)
KR200271939Y1 (ko) 과일 보호용 봉투
JPS5942947Y2 (ja) 切花、鉢植等の包装袋
KR100494536B1 (ko) 복숭아용 과수봉투
JPH04102217U (ja) ラツプフイルムの収納ケース
KR200186073Y1 (ko) 과일재배용 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215

Effective date: 200104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