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687Y1 -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687Y1
KR200153687Y1 KR2019960005910U KR19960005910U KR200153687Y1 KR 200153687 Y1 KR200153687 Y1 KR 200153687Y1 KR 2019960005910 U KR2019960005910 U KR 2019960005910U KR 19960005910 U KR19960005910 U KR 19960005910U KR 200153687 Y1 KR200153687 Y1 KR 200153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member
screw portion
washing
laundry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782U (ko
Inventor
정병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5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687Y1/ko
Publication of KR970054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n axial mo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날개의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세탁물의 꼬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300)는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되 세탁수위에 따라 승하강 변위가 가변된다. 따라서 세탁수위 조건에 따라 승하강부재(32)가 최적의 변위로 승하강운동하여 세탁물의 엉킴 및 꼬임이 억제되며 이로 인해 세탁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날개의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세탁물 꼬임을 방지하는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행정 등이 콘트롤부의 마이콤에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몸체를 이루는 본체(10) 내부에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11), 수조(1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된 세탁조(12)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세탁조(12) 저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회전날개(20)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11)의 외측 하부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와, 이의 회전력을 밸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날개(20)와 세탁조(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13)가 본체(10) 외부까지 연장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수를 급수한 후 작동시키면, 동력전달장치(15)에 의해 회전날개(20)가 정역회전되어 세탁수류가 발생됨으로써 세탁행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탁기는 회전날개(20)의 정방향회전시 발생된 수류의 속도차와 역방향회전으로 인해 역전되는 수류의 속도차 및 수류의 반전으로 인해 세탁물의 꼬임과 엉킴이 심하게 발생됨으로써, 세탁물 세탁이 불균일하게 이루이진다. 또한, 세탁물 엉킴현상에 의해 세탁조(12)의 세탁편차가 심하게 형성되어 동력전달장치(15)에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날개의 정역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장치가 고안되었는데, 이는 일본국 특개평 3-2219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세탁조(12`)의 저변에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중공의 봉(22)이 입설된 교반기(2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봉(22)의 상측단에 요동체(21)가 삽입되어 있다.
중공체로 이루어진 봉(22)의 상측 내주면에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암나사부(23)가 형성되며, 봉(22)에 삽입 설치된 요동체(21)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23)와 이물림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수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교반기(2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암나사부(23)와 이물림된 요동체(21)는 승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즉, 암나사부(23)와 수나사부(24)를 통해 교반기(20`) 봉(22)의 상단부에서 요동체(21)가 이물림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기(20`)의 회전에 따라 요동체(21)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함으로써, 세탁물과 충돌하여 이의 꼬임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는 교반기(20`) 상측으로 돌출된 봉(22) 상단에 요동체(21)가 설치됨으로써, 요동체(21) 하측으로 세탁물이 들어갈 경우 요동체(21)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요동체(21)의 반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물 꼬임현상이 재발된다.
또한, 돌출되게 형성된 봉(22)의 상단부에서만 요동체(21)가 승하강운동하기 때문에, 세탁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요동체(21)가 승하강운동하기 때문에, 세탁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요동체(21)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날개의 정역회전운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세탁수위에 따라 승하강 변위가 가변되는 승하강부재를 회전날개의 중심부위에 설치함으로써, 세탁물의 꼬임과 엉킴현상을 방지하는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 승하강체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날개가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제5, 6, 7도는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부재를 제어하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세탁조
200 : 회전날개 300 : 꼬임방지장치
310 : 회전부재 311 : 원통부
314 : 암나사부 320 : 승하강부재
321 : 회전통 323 : 수나사부
330 : 승하강부재가이드 331 : 내통
332 : 외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통상으로 마련된 세탁조와, 세탁조 저부에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날개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회전날개 중심부에 결합되는 외향플랜지와 내주면 중심부에 소정폭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통부로 이루어져 회전날개의 중심부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통상의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내에 수용되며 회전날개의 정역회전시 암나사부와 이물림되어 승하강하도록 외주면 하단부에 다단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회전통과 상단부에 외향진 플랜지가 마련된 통상의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의 플랜지에 결합되며 회전부재의 외곽을 감싸 승하강부재의 회전통이 회전부재의 원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제1승하강부재가이드와, 제1승하강부재가이드가 수용되며 승하강부재의 승강시 축방향으로 신장되고 승하강부재의 하강시 단축되어 승하강부재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통상으로 이루어진 제2승하강부재가이드와, 제2승하강부재가이드에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승하강부재가이드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과, 돌출턱이 걸려 제2승하강부재가이드가 신장되도록 제1승하강부재가이드의 외주면 중심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세탁기는 회전날개의 중심부에 설치된 세탁물 꼬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세탁기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는 사각통상의 본체(10) 내부에 세탁 및 헹굼행정시 세탁수를 담수하기 위한 수조(11)와 내측 저면에 회전속날개(200)가 장착되는 세탁조(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조(11)의 하부 외측에는 세탁조(12)와 회전날개(200)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서 모터(14)와 동력전달장치(15)가 장착되며,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호스(13)가 본체(10) 외부까지 연장되게 마련된다. 모터(14)와 동력전달장치(15)는 벨트(1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장치(15)는 모터(14)의 동력을 전달받아 세탁 및 헹굼행정시 회전날개(200)를 정역회전시키며, 탈수행정시 회전날개(200)와 세탁조(12)를 정방향으로 동시 회전시킨다.
그리고 통상으로 마련된 세탁조(12)는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회전날개(200)가 설치되어 세탁 및 헹굼행정시 세탁수류가 형성된다.
회전날개(200)는 원판상의 몸체(210) 상부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날개부(230)와,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는 세탁물 꼬임방지장치(300)가 마련되어 있어서 세탁물의 꼬임 및 엉킴이 방지되는데, 이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날개(200)의 회전중심인 중앙부위에는 중심부가 중공된 실린더상의 설치홈(220)이 형성되며, 설치홈(220)에는 회전날개(200)와 일체로 회전운동하도록 스크류(313) 결합된 원통상의 회전부재(310), 회전부재(310)에 삽입되며 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는 통상의 승하강부재(320)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310)는 그 상면이 개방된 통상의 원통부(311)와 이의 하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3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향플랜지(312)를 통해 설치홈(220) 저면에 스크류(313) 결합됨으로써, 회전부재(310)가 회전날개(200)의 중심부위에 세워져 설치된다.
일정치의 부력을 갖는 원통상의 승하강부재(320)는 대부분이 회전부재(310)의 원통부(311)에 수용되는 회전통(321)과, 이의 상측 단부가 회전부재(220) 상측외부로 돌출되도록 외향진 플랜지(322)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운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회전통(311)과 원통부(311)사이에는 승하강유도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회전통(321)의 외주면 중심부에서 하단까지 일정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수나사부(323)와 원통부(311)의 중심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314)로 이루어진다.
암나사부(314)는 회전부재(310)의 원통부(311) 내주면 중심부위에서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암나사부(314)의 상하측단에서 수나사부(323)와 이물림이 해제된다. 즉, 암나사부(314)는 원통부(311)의 내주면 중간부위에 형성되며, 암나사부의 상하측 외주면은 그 길이가 수나사부(323)의 상하길이보다 긴 밋밋한 평탄부(315)로 이루어져 있다.
수나사부(323)는 승하강부재(320)의 회전통(321) 외주면 중심부에서 하측단까지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각각 등각격으로 이격된 3개의 구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나사부(323)는 회전통(321)의 중심부 외주면에서 일정폭으로 형성된 제1수나사부(323a), 제1수나사부(323a)의 하측단으로부터 암나사부(314)의 폭만큼 이격된 하측에 일정폭으로 형성된 제2수나사부(323b), 제2수나사부(323b)의 하측단으로부터 다시 암나사부(314)의 폭만큼 이격된 하측에 일정폭 형성된 제3수나사부(323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암나사부(314)의 폭과 각 수나사부(323)의 폭 및 이들의 이격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하강부재(320)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회전통(321)에 형성된 제3수나사부(323c)의 하측단과 원통부(311)에 형성된 암나사부(314)의 상측단이 접하게 되어, 이들 암수나사부(314,323c)는 승하강부재(30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만 이물림된다. 미설명부호324은 승하강부재(320)의 회전통(321)이 회전부재(310)의 원통부(3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로서, 회전통(321)의 상측단에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승하강부재(320)가 하사점으로 이동되면 원통부(311)의 상단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320)의 회전통(321)상측에 외향진 플랜지(322)에는 회전부재(310)의 원통부(311)를 감싸며 설치홈(220)의 내벽에 가이드되면서 승하강하여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제2,제3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350)가 마련된다.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최상단부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캡(390)과 캡가이드(391)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것은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운동시 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며, 반전되는 세탁수류와 충돌하여 난수류를 형성 세탁물 꼬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플랜지(322)와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 및 캡(390)은 스크류(325)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제1,제2,제3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350)는 일종의 로드안테나처럼 그 길이가 축방향으로 가변가능하도록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승하강부재(320)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된통상의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통상으로 마련된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외주면을 또다시 감싸는 통상의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로 이루어져 있다.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는 원통부(311)의 외곽을 감싸는 통상의 내통(331)과,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에 밀착 수용되는 외통(332)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을 안내함과 동시에 회전통(321)이 원통부(3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와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의 상측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돌출턱(361)과 제2돌출턱(362)이 각각 형성되며,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 외통의 중심부위 외주면에는 제1돌출턱(361)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걸림턱(37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일정길이 이상 승강하게 되면 제1걸림턱(371)과 제1돌출턱(361)이 접하게 되어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도 역시 승강하게 된다.
또한,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외주면에도 제2돌출턱(362)과 일정길이 이격된 중심부위에 제2걸림턱(37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승강운동에 의해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도 역시 어느 정도 승강하는데, 그 이상이 되면 제2걸림턱(372)과 제2돌출턱(362)이 접하게 되어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도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의 하측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턱(373)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설치홈(210) 내벽면에는 제3걸림턱(373)의 단부가 삽입되어 승강을 안내하면서 제한하는 승강제어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350) 승강 작동 여부는 회전부재(310)에 형성된 암나사부(314)와 승하강부재(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23)의 이물림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작동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381과 382는 제1,2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2하강안내턱이다. 즉, 승하강부재(320)가 하강시 이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도 하강하는데, 어느정도 하강하면 제1하강안내턱(381)이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제1돌출턱(361)과 접하여 이를 하강시키고, 계속하여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제2하강안내턱(382)이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의 제2돌출턱(362)과 이를 하강 안내하게 된다.
다음에는 제8도를 참조하여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B)의 입력측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의 출력측에는 모터(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C)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수위감지수단(A)에서 세탁조(1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B)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B)에서는 세탁수위를 판단하고 구동부(C)를 통해 모터(14)를 구동 회전날개(200)를 일방향으로 적당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초기상태에 승하강부재(320)가 적당한 높이에 승강 또는 하강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승하강부재(320)가 완전하게 하강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승하강부재(320)가 초기상태로 위치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는데, 먼저 세탁수위가 저 수위인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즉, 세탁물을 투입한 후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조(12)에는 적당량의 세탁수가 급수되며 모터(14)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러한 모터(14)의 구동력은 벨트(16)를 매개로하여 동력전달장치(15)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회전날개(200)는 알맞는 속도로 정역회전된다.
정역회전되는 회전날개(200)는 지속적으로 반전되는 세탁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물이 세탁된다. 이 때, 세탁물은 반전 세탁수류에 의해 엉킴과 꼬임현상이 발생되려 하는데, 이것은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는 승하강부재(320)에 의해 억제된다. 즉,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반전되는 세탁수류가 파괴되어 회전날개(200) 중심의 상부에서 난수류가 형성됨으로써, 세탁물의 엉킴과 꼬임현상이 억제된다. 이러한 승하강부재(320)의 작동을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제4도는 세탁수위가 저 수위인 경우 세탁행정 초기의 승하강부재(320)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승하강부재(320)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세탁행정 전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320)는 그 상측에 투입된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탁물과 세탁수가 투입되고 회전날개(2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날개(200)의 상측에 위치해 있던 세탁물은 회전날개(200)가 세탁물을 교반시키기 때문에 약간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320)에 작용하던 하중이 잠시 소멸됨으로써, 부력에 의해 승하강부재(320)가 상승하게 되어 원통부(311)의 암나사부(314) 하측단과 회전통(321)의 제1수나사부(323a) 상측단이 이물림되며, 회전날개(200)의 정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이물림되면서 승하강부재(320)와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운동이 계속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314)가 제1수나사부(323a)의 하측단을 이탈하게 되면 공회전을 하여 승강이 정지된다. 승강이 정지된 승하강부재(320)는 세탁수위가 저 수위인 경우에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로써, 이의 상승력은 소멸된다. 이 때, 승하강부재(320)에 형성된 제1수나사부(323a)의 하측단은 세탁물의 하중에 의하여 원통부(311)에 형성된 암나사부(314)의 상측단과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날개(200)가 역회전하게 되면, 암나사부(314)와 제1수나사부(323a)는 다시 이물림되어 승하강부재(320)는 하강하게 되는데, 승하강부재(320)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하강된다.
이러한 작동은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킨 것으로, 정역회전운동에 따라 승하강부재(320)가 축방향으로 일정폭만큼 순간적으로 반복운동하며, 반전되는 세탁수류는 캡(390) 상부에 씌워진 캡가이드(391)와 충돌하면서 파괴되어 난수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200) 중심부에서의 세탁물 엉킴과 꼬임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에는 세탁수위가 중 수위인 경우를 설명하는데, 승하강부재(320)의 운동은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제5도는 세탁행정 전과 승하강부재(320)의 하사점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승하강부재(320)의 상사점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세탁수의 양이 중 수위인 경우에는 이를 수위감지수단(A)에서 감지하여 제어부(B)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B)에서는 구동부(C)를 통해 모터(14)를 구동하여 회전날개(200)를 일방향으로 적당하게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310)도 회전되어 이의 암나사부(314)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나사부(323a)와 제2수나사부(323b) 사이에 위치된다.
즉, 중 수위인 경우 실제 세탁 행정직전에 모터(14)를 구동, 회전날개(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승하강부재(320)를 미리 적당한 높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51)도 같이 상승되는데, 이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걸림턱(371)이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제1돌출턱(361)과 접하여 같이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날개(200)가 일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승하강부재(320)에 작용하던 세탁수와 세탁물에 의한 하중이 잠시 소멸됨으로써, 부력에 의해 승하강부재(320)가 상승하게 되어 암나사부(314)의 하측단과 제2수나사부(323b)의 상측단이 이물림된다. 계속하여 회전날개(200)와 함께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부재(320)와 제1,2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운동이 계속되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314)가 제2수나사부(323b)의 하측단을 이탈하게 되면 회전부재(310)가 공회전하여 승강이 정지된다. 즉, 제6도에 도시된 승하강부재(320) 위치는 세탁수가 중 수위인 경우에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로 이의 상승력은 소멸된다. 이때에는 승하강부재(320)에 형성된 제2수나사부(323b)의 하측단은 세탁물 하중에 의하여 원통부(311)에 형성된 암나사부(314)의 상측단과 접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날개(200)가 역회전하면, 암나사부(314)와 제2수나사부(323b)는 다시 이물림되어 승하강부재(320)는 하강하게 되는데, 승하강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하강하고, 또한 제1안내턱(381)에 의해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도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반복되는 것이고 이에 따른 효과는 저 수위인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제어부(B)에 의해 회전날개(200)가 역회전되어 승하강부재(320)가 초기위치로 내려온다.
다음에는 세탁수위가 고 수위인 경우를 설명하는데, 제6도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제6도는 세탁행정직전과 승하강부재(320)의 하사점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제7도는 승하강부재(320)의 상사점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세탁수의 양이 고 수위인 경우에는 이를 수위감지수단(A)에서 감지하여 제어부(B)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B)에서는 구동부(C)를 통해 모터(14)를 구동하여 회전날개(200)를 일방향으로 적당하게 회전시키는데, 중 수위인 경우보다 많이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310)가 회전하여 이의 암나사부(314)가 제6도와 같이, 제2수나사부(323b)와 제3수나사부(323c)사이에 위치된다.
즉, 고 수위인 경우 실제 세탁 행정직전에 회전날개(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승하강부재(320)를 상당한 높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승하강부재(320)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 및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도 역시 다단으로 승강됨으로써,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걸림턱(372)이 제3승하강부재가이드(350)의 제2돌출턱(362)과 접하여 같이 연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날개(200)가 일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승하강부재(320)에 작용하던 세탁수와 피세탁물에 의한 하중이 잠시 소멸됨으로써, 부력에 의해 승하강부재(320)가 상승하게 되어 회전부재(310) 암나사부(314)의 하측단과 승하강부재(320) 제3수나사부(323c)의 상측단이 이물림된다. 계속하여 회전날개(200)와 함께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부재(320)와 제1,2,3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35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승강운동이 계속되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11) 암나사부(314)가 제3수나사부(323c)의 하측단을 이탈하게되면 승하강부재(320)는 공회전하여 승강이 정지된다. 즉, 제7도에 도시된 승하강부재(320)는 세탁수가 고 수위인 경우에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로 이의 상승력은 소멸되며, 승강제어홈(221)의 상부에 제3걸림턱(373)이 걸리게 된다.
이 때, 승하강부재(320)에 형성된 제3수나사부(323c)의 하측단은 세탁물 하중에 의하여 암나사부(314)의 상측단과 접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날개(200)가 역회전하면, 암나사부(314)와 제3수나사부(323c)는 다시 이물림되어 승하강부재(320)는 하강하게 되는데, 승하강부재(320)와 일체로 결합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와 제2,3승하강부재가이드(340,35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반복되는 것이고, 이에 따른 효과는 저, 중 수위인 경우와 동일하다.
즉,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중심부에 마련된 승하강부재(320)가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며, 이와 동시에 승하강부재(320)의 승강시 다단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가이드(330,340,350)가 축방향으로 신장되며 하강시 단축된다. 따라서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상부에 마련된 캡(390)은 반전되는 세탁수류와 충돌하여 회전날개(200) 중심부분에서 난수류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물의 꼬임과 엉킴현상이 방지되며 이로인해 세탁 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또한,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운동은 세탁수위에 따라 그 승강변위가 가변됨으로써, 어떠한 세탁수위에서라도 세탁물 꼬임 및 엉킴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는 회전날개의 정역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승하강운동하되 세탁수위에 따라 승하강변위가 가변된다. 따라서 세탁수위 조건에 따라 승하강부재가 최적의 상태로 승하강운동하여 세탁물의 엉킴 및 꼬임이 억제되며 이로 인해 세탁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10) 내부에 통상으로 마련된 세탁조(12)와; 상기 세탁조(12)저부에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날개(200)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0) 중심부에 결합되는 외향플랜지(312)와 내주면 중심부에 소정폭으로 암나사부(314)가 형성된 원통부(311)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날개(200)의 중심부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통상의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10)내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날개(200)의 정역회전시 상기 암나사부(314)와 이물림되어 승하강하도록 외주면 하단부에 다단의 수나사부(323)가 형성된 회전통(321)과 상단부에 외향진 플랜지(322)가 마련된 통상의 승하강부재(320)와; 상기승하강부재(320)의 플랜지(322)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310)의 외곽을 감싸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회전통(321)이 상기 회전부재(310)의 원통부(3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통(331)과 외통(332)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와; 상기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수용되며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승강시축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통상으로 이루어진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와; 상기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에서 상기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361)과; 상기 돌출턱(361)이 걸려 상기 제2승하강부재가이드(340)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1승하강부재가이드(330)의 외주면 중심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걸림턱(37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수나사부(323)는; 저 수위인 경우 상기 암나사부(314)와 이물림되도록 상기 회전통(321)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제1수나사부(323a)와, 상기 제1수나사부(323a)로부터 상기 암나사부(314)의 폭만큼 이격된 상기 회전통(3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중 수위인 경우 상기 암나사부(314)와 이물림되는 제2수나사부(323b)와; 상기 제2수나사부(323b)로부터 상기 암나사부(314)의 폭만큼 이격된 상기 회전통(321)의 하측에 형성되어 고 수위인 경우 상기 암나사부(314)와 이물림되는 제3수나사부(323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
KR2019960005910U 1996-03-26 1996-03-26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KR200153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910U KR200153687Y1 (ko) 1996-03-26 1996-03-26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910U KR200153687Y1 (ko) 1996-03-26 1996-03-26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82U KR970054782U (ko) 1997-10-13
KR200153687Y1 true KR200153687Y1 (ko) 1999-08-02

Family

ID=1945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910U KR200153687Y1 (ko) 1996-03-26 1996-03-26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6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82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9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ing clothes in an automatic washer
KR0124320Y1 (ko) 세탁기
KR100451747B1 (ko)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KR200153687Y1 (ko)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
KR0122385Y1 (ko) 세탁기의 가변세탁봉
KR20000010506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24291Y1 (ko) 세탁기
KR200148947Y1 (ko) 세탁기의 세탁조
KR200147475Y1 (ko) 세탁기의세탁물엉킴방지구조
KR0175630B1 (ko) 세탁기
KR0169000B1 (ko) 가변봉을 구비한 펄세이터형 수류발생장치
KR013484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펄세이터 회전장치
KR100198264B1 (ko) 세탁기
KR102101731B1 (ko) 세탁기
KR100425737B1 (ko) 전자동 세탁기
KR0169432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200277955Y1 (ko) 세탁기의 동력장치
KR100352473B1 (ko) 세탁기의 측면수류 분출장치_
KR19990009432A (ko) 세탁기의 세탁날개
KR20015006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149060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22380Y1 (ko) 세탁기
KR20220091790A (ko) 의류처리장치
KR0130776Y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의 구조
KR19980037932A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및 배수밸브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