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26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264B1
KR100198264B1 KR1019960037059A KR19960037059A KR100198264B1 KR 100198264 B1 KR100198264 B1 KR 100198264B1 KR 1019960037059 A KR1019960037059 A KR 1019960037059A KR 19960037059 A KR19960037059 A KR 19960037059A KR 100198264 B1 KR100198264 B1 KR 10019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shing
washing water
washing machine
de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287A (ko
Inventor
장병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2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12Racks or other rigid open container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supporting clothes in washing recepta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 D06F95/006Bags for holding the laundry during w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옷걸이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상, 하로 이동하면서 세탁수와의 충격에 의한 마찰력으로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탁수저장부(100)와, 상기 세탁수저장부의 하부에 기계적인 장치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양측에 위치하여 세탁수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시켜 세탁물을 각각 걸어준 상태에서 세탁물을 승, 하강 시켜주는 승하강부재(30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회류되는 세탁수의 회전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시켜 주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세탁기는 제1도에서와 같이 외체(10)의 내부에 세탁수가 담수되는 저수조(20)의 내부에 세탁물이 담겨지도록 하는 세탁조(30)가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의 내부 하단에 구동부(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익(40)으로 구성되어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수가 급수되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설정된 세탁 시간동안 회전익이 좌, 우 교호로 회전되면서 세탁수의 회전수류를 일으켜 주어 회전수류에 의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회전익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를 회류시켜 주도록 되어 있어 회류되는 세탁수의 회류력에 의해 세탁물이 회류됨에 아울러, 임의로 뒤집히도록 되어 있으므로써. 세탁수의 와류현상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조의 전면에 골고루 펼쳐지지 않고 중앙으로 몰린 상태에서 회류됨에 따라 세탁물의 꼬임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세탁수류가 세탁물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세탁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회전익의 회전력에 의해 세탁조내에 담겨져 있는 세탁수가 외측으로 분산됨과 아울러, 세탁조의 벽면을 따라 회류가 이루어지면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익이 회전시 이의 회전력에 의해 세탁수가 외측으로 분산됨에 의하여 중앙에는 세탁수류가 일어나지 않아 외측으로 분산되었던 세탁수가 세탁조의 벽면을 타고 상승하다가 중앙으로 멀어진 상태에서 중앙에서 일어나는 와류현상에 의해 세탁물이 중앙에 몰린 상태에서 뒤집힘에 의해 세탁물의 로임이 발생되고, 상기의 꼬임현상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었으며, 꼬임이 발생된 세탁물의 내부로 세탁수류가 전달되지 않아 세탁력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제반결항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하고져 하는 세탁물을 내부에서 옷걸이가 걸어줄 수 있도록 한 뒤 상기 옷걸이에 걸려져 있는 세탁물을 상, 하로 이동시켜 주어 세탁물과의 충격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세탁물의 꼬임이 방지되어 꼬임으로 인한 세탁물의 손상을 줄여주게 되고, 세탁수의 충격이 세탁물에 골고루 전달되어 세탁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세탁기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탁수저장부 200 : 수용부
300 : 승하강부재 310 : 모터
311, 311A : 구동축 320 : 승하강부
321, 321A : 풀리 322, 322A : 작동편
323, 323A : 승하강봉 330 : 걸이부
331 : 걸이봉 332 : 걸이홈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탁기의 측단면도로서,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탁수저장부(100)와, 상기 세탁수저장부의 하부에 기계적인 장치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양측에 위치하여 세탁수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시켜 세탁물을 각각 걸어준 상태에서 세탁물을 승, 하강 시켜주는 승하강부재(300)로 갖추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승하강부재(300)는 세탁수저장부(100)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 되는 승하강부(320)와, 상기의 승하강부 상단에 연결되어 세탁물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330)로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의 승하강부(320)는 수용부(20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 모터(310)의 양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구동축(311)(311A)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321)(321A)를 구성하고, 상기의 풀리에 일단이 고정되어 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김과 풀리는 작동편(322)(322A)을 구성하며, 고정관의 상면에 위치하여 세탁수저장부의 하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작동편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이의 승하강에 의해 승하강되는 다단의 승하강봉(323)(323A)으로 구성한다.
이때, 작동편은 테프론을 재질로 사용하므로서 풀리에 용이하게 감겨짐은 물론, 풀리로부터 풀려 세워졌을 경우에는 지지력이 강해 승하강봉을 아무런 무리가 없이 상승시켜 주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걸이부(330)는 세탁수저장부의 내부 양측에 구성된 승하강봉(323)(323A)의 상단에 양측 끝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걸이봉(331)을 구성하고, 상기 걸이봉의 하부에 옷걸이가 걸려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이홈(332)으로 구성하여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0은 세탁수저장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탑커어버이고, 500은 탑커어버의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는 도어의 예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을 세탁하고져 할 경우 각각의 옷걸이(600)에 세탁하고져 하는 세탁물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걸쳐준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이 걸쳐진 옷걸이를 걸이봉(331)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걸이홈(332)에 걸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탁물에 필요한 량의 세탁수를 급수시켜 주게되면, 급수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침전하게 된다.
이때, 세탁이 진행되기 전에는 다단의 승하강봉(323)(323A)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승하강봉의 선단부가 세탁수저장부(100)의 중간지점 이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서, 세탁수를 세탁수저장부의 중간지점 까지만 급수시켜 주더라도 세탁물이 세탁수에 완전히 잠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세탁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행정을 수행 즉, 모터(310)를 구동시켜 주게되면 이의 구동에 의해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축(311)(311A)이 구동되므로서 이들의 끝단부에 고정된 풀리(321)(321A)가 회전되어 이에 감겨져 있는 작동편(322)(322A)이 풀리로부터 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작동편 선단부가 승하강봉(323)(323A)의 내부를 통해 이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있어 풀리로부터 풀리는 작동편이 상부로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며, 상승되는 작동편의 상승력에 의해 다단으로 하여 중첩되어 있던 승하강봉(323)(323A)이 상승하게 되므로서, 걸이봉(331)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세탁수에 완전히 침수되어 있는 세탁물을 세탁수의 상부로 끌어 올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세탁수에 침전되어 있던 세탁물이 세탁수의 상부도 완전히 올라오게 되면 일측방향으로 구동되던 모터(31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축(311)(311A)의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풀리(321)(321A)를 회전시켜 주어 이에 일단이 결합된 작동편(322)(322A)이 풀리에 감기게 됨에 따라 풀린 상태에서 상승되어 있는 작동편이 하강하면서 세워져 있는 승하강봉(323)(323A)을 잡아당겨 이를 다단으로 절첩시켜 주므로서 걸이봉(331)에 걸쳐져 있는 세탁물이 하향하여 세탁수에 침수되면서 세탁수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세탁물이 세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터(310)의 정, 역회전에 의해 풀리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편을 풀었다 감았다 하여 이의 일단에 선단부가 고정된 다단의 승하강봉을 승, 하강시켜 주면서 걸이봉에 걸쳐져 있는 세탁물을 설정된 시간동안 승, 하강시켜 주면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침전되었다가 세탁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세탁수의 수면에 올라왔던 세탁물이 세탁수의 수면내로 들어가면서 발생되는 충격 마찰력으로 인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찌든때가 빠지도록 하므로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저장부의 양측에 구성된 승하강봉에 연결되어 있는 걸이봉에 세탁물울이 걸쳐진 옷걸이를 걸어준 뒤 모터의 정, 역 구동에 의해 풀리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편을 풀어줌과 감아줌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승하강봉을 승, 하강시켜 주므로서, 걸이봉에 걸쳐져 있는 세탁물을 세탁수에 담가주었다 꺼내주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세탁물이 세탁수와의 충격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에 묻어 있는 찌든때 및 기름때 등이 빠져지도록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므로서, 세탁물끼리 꼬이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꼬임으로 인한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세탁물의 꼬임이 발생되지 않고 세탁물이 각각 떨어진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져 세탁수와의 충격 마찰력이 세탁물에 골고루 전달되므로서, 세탁물의 세탁력을 향상시켜 주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물이 옷걸이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상, 하로 이동하면서 세탁수와의 충격에 의한 마찰력으로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세탁수저장부(100)와, 상기 세탁수저장부의 하부에 기계적인 장치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양측에 위치하여 세탁수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시켜 세탁물을 각각 걸어준 상태에서 세탁물을 승, 하강 시켜주는 승하강부재(30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승하강부재(300)는 세탁수저장부(100)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승, 하강되는 승하강부(320)와, 상기의 승하강부 상단에 연결되어 세탁물찰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330)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승하강부(320)는 수용부(20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 모터(310)의 양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구동축(311)(311A)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321)(321A)를 구성하고, 상기의 풀리에 일단이 고정되어 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김과 풀리는 작동편(322)(322A)을 구성하며, 고정관의 상면에 위치하여 세탁수저장부의 하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작동편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이의 승하강에 의해 승하강되는 다단의 승하강봉(323)(323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60037059A 1996-08-30 1996-08-30 세탁기 KR10019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59A KR100198264B1 (ko) 1996-08-30 1996-08-30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59A KR100198264B1 (ko) 1996-08-30 1996-08-30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87A KR19980017287A (ko) 1998-06-05
KR100198264B1 true KR100198264B1 (ko) 1999-06-15

Family

ID=1947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059A KR100198264B1 (ko) 1996-08-30 1996-08-30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2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87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0416A (zh) 洗衣机的搅拌器
KR100198264B1 (ko) 세탁기
KR0122385Y1 (ko) 세탁기의 가변세탁봉
KR0179119B1 (ko) 드라이 마크 표시 의류 세탁코스가 내장된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망 착탈구조
KR100556484B1 (ko) 직결식세탁기의 세탁장치
KR100556483B1 (ko) 직결식세탁기의 세탁장치
KR200148947Y1 (ko) 세탁기의 세탁조
KR0124281Y1 (ko) 세탁기
KR100215629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845292B1 (ko) 세탁기
KR100223703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158355Y1 (ko) 상승수류날개가 형성된 세탁기용 펄세이터
KR0133338Y1 (ko) 세탁물 수거부재가 구비된 세탁기
KR0130954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370042B1 (ko) 드럼 세탁기
KR013484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펄세이터 회전장치
KR200147475Y1 (ko) 세탁기의세탁물엉킴방지구조
KR0136195Y1 (ko) 세탁기의 펄세이트장치
KR19980062061U (ko) 세탁기의 세탁물승강장치
KR0175630B1 (ko) 세탁기
KR100225645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200159027Y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19980069384A (ko) 세탁기의 보조세탁장치
KR19980019510U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장치
KR19980031630A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