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76Y1 -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76Y1
KR200153476Y1 KR2019970022389U KR19970022389U KR200153476Y1 KR 200153476 Y1 KR200153476 Y1 KR 200153476Y1 KR 2019970022389 U KR2019970022389 U KR 2019970022389U KR 19970022389 U KR19970022389 U KR 19970022389U KR 200153476 Y1 KR200153476 Y1 KR 20015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case
air
cold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203U (ko
Inventor
손득균
권태철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2019970022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4Radiators for recooling the engine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디에이터를 팬에 의해 냉각하지 않고 에어컨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효과를 극대화하고, 팬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않도록 한 라디에이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라디에이터(1)의 주위에는 내부가 단열재(6)로 채워진 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 하여 엔진(2)으로 부터 뜨거운 열기가 라디에이터(1)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상부에는 에어컨으로 연결된 냉기공급용 호스(8)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하부에는 케이스 내부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1)의 열을 충분히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구(9)를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컨 냉기에 의해 라디에이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본 고안은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라디에이터가 단열처리한 케이스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는 에어콘으로 부터 공급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여서 냉각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 라디에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고나의 동력행정때 연소물질의 연소로 인한 온도는 순간적으로 1500∼2000℃까지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기관이 과열되면 기관 주요부에 변형이 생기고 윤활유의 윤활이 불충분해져서 작동부분이 심한 소손과 연소상태가 불량해지므로 조기점화나 노킹을 일으켜서 기관출력이 저하되고 기관이 과냉되면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가솔린 및 경유가 오일에 희석되어 베아링부의 마모를 촉진시킨다. 즉 냉각장치는 열의 일부를 냉각하여 기관의 과열을 방지하고, 기관을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기위한 장치다.
이와같은 냉각장치로는 실린더블럭등에 다수개 날개를 부착하고 상기 날개에 공기를 빠른 속도로 불어줌에 의해서 냉각효과를 얻게되는 공냉식 냉각장치와, 냉각수를 순환함에 의해 냉각효과를 얻게되는 수냉식 냉각장치가 있다.
상기 공냉식 냉각장치는 수냉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며 겨울에도 동파될 염려가 전혀 없는 반면에 장시간 운행시 기관과열로 열화되어 윤활불충분으로 인한 융착현상이 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에서는 공냉식 냉각장치와 수냉식 냉각장치를 적절히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도는 공냉식 냉각장치와 수냉식 냉각장치가 함께 결합된 종래의 라디에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엔진(2)으로 부터 유입측 냉각수 호스(3)와 배출측 냉각수 호스(4)에 의하여 그 내부로 냉각수가 통과할 수있도록 라디에이터(1)가 연결되고 상기 라디에이터(1)의 후방에는 시라우드(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시라우드(4)내부에는 엔진(2)의 클랭크축(20)으로 부터의 회전력을 벨트(21)에 의해 공급받아 회전하게 되는 팬(22)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라디에이터 구조라는 라디에이터(1)를 팬(22)으로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팬(22)이 회전할 때 엔진(2)을 거쳐 가열된 공기가 라디에이터(1)에 공급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므로, 냉각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팬이 회전될 시에 소음 및 진동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를 팬에 의해 냉각하지 않고 에어컨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효과를 극대화하고, 팬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해결방안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라디에이터의 주위에 내부가 단열재로 채워진 케이스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에어컨으로 연결된 냉기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하부에는 케이스 내부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의 열을 충분히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구를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라디에이터 구조에서의 냉각방식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구조에서의 냉각방식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디에이터 2 : 엔진
3 : 냉각수 호스(유입측) 4 : 냉각수 호스(배출측)
5 : 냉각수 주입구 6 : 단열재
7 : 냉기 주입구 8 : 냉기공급용 호스
9 : 공기 배출구 10 : 케이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구조에서의 냉각방식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엔진(2)과 라디에이터(1)사이에 유입측 냉각수 호스(3)와 배출측 냉각수 호스(4)가 각각 연결되는 라디에이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1)의 주위에는 내부가 단열재(6)로 채워진 케이스(1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 상부에는 냉기 주입구(7)가 형성되어 에어컨으로 부터 연결된 냉기공급용 호스(8)가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 하부에는 케이스(10) 내부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의 열을 충분히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구(9)가 형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 주위에 케이스(1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냉각수 주입구(5)를 통해 냉각수를 라디에이터에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주입구(5)는 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기 주입구(7) 및 냉기 공급용 호스(8)의 수는 물론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한개 또는 세개이상으로도 구성할 수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라디에이터(1)가 단열재(6)로 내부가 충진된 케이스(10)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엔진(2)으로 부터의 고열이 라디에이터(1)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컨과 연결된 냉기공급용 호스(8)를 통해서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한 냉기 주입구(7)에 냉기가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유입된 냉기는 통기성이 우수한 단열재(6)를 통과하여 라디에이터(1)의 외벽에 닿게 되며 이때 냉기는 라디에이터(1)의 외벽으로 부터 열을 빼앗아서 케이스(10) 하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9)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과정중 케이스(10)내부로 계속 유입되는 냉기에 의하여 케이스(10) 내부가 과도한 고압상태가 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구(9)의 크기 및 갯수가 적정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냉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중에는 케이스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는 높게 되므로 케이스(10) 외부의 뜨거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라디에이터(1)를 팬에 의해 냉각하지 않고 에어컨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1)의 냉각효과를 극대화하고, 팬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라디에이터(1)의 주위에 내부가 단열재(6)로 채워진 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하여, 엔진(2)으로 부터의 뜨거운 열기가 라디에이터(1)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 상부에는 냉기 주입구(7)가 형성되어 에어컨으로 연결된 냉기공급용 호스(8)가 연결되도록하고, 상기 케이스(10) 하부에는 케이스 내부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1)의 열을 충분히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구(9)가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컨의 냉기에 의해 라디에이터(1)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laims (1)

  1. 엔진(2)과 라디에이터(1)사이에 유입측 냉각수 호스(3)와 배출측 냉각수 호스(4)가 각각 연결되는 라디에이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1)의 주위에는 내부가 단열재(6)로 채워진 케이스(1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상부에는 냉기 주입구(7)가 형성되어 에어컨으로 부터 연결된 냉기공급용 호스(8)가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하부에는 케이스(10)내부를 거치면서 라디에이터의 열을 충분히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구(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KR2019970022389U 1997-08-19 1997-08-19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KR200153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89U KR200153476Y1 (ko) 1997-08-19 1997-08-19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89U KR200153476Y1 (ko) 1997-08-19 1997-08-19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03U KR19990009203U (ko) 1999-03-15
KR200153476Y1 true KR200153476Y1 (ko) 1999-08-02

Family

ID=195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389U KR200153476Y1 (ko) 1997-08-19 1997-08-19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03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476Y1 (ko)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KR19990062576A (ko) 개량된 액냉식 내연기관
KR100391355B1 (ko) 가변블레이드식 라디에이터 냉각팬
KR930007446B1 (ko) 엔진용 부분비등 냉각장치
KR200159682Y1 (ko) 엔진냉각성능 향상장치
KR200166716Y1 (ko)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KR100203127B1 (ko) 일체형 펌프
KR200216773Y1 (ko) 불균일냉각핀을갖는라디에이터
KR100410914B1 (ko) 자동차용 엔진 냉각 장치
KR100405788B1 (ko) 자동차의 냉각장치용 워터펌프
KR10041033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냉각 장치
KR19990019825U (ko) 내연기관 냉각장치의 냉각팬
KR0159733B1 (ko) 워터 재킷의 냉각수 와류형성 장치
KR950005726Y1 (ko) 실린더 블록의 방열구조
KR200155189Y1 (ko) 냉각 펌프형 라디에이터
KR20010066496A (ko) 자동차의 워터 펌프
KR19980047362U (ko) 전기자동차용 감속기을 이용한 워터펌프
JPH09287450A (ja) ラジエータ冷却装置
KR19990080421A (ko) 내연 기관의 수냉식 냉각 장치
KR19980064304U (ko) 엔진의 실린더 헤드 냉각수 순환 구조
KR19980047113U (ko) 배기 매니폴드 냉각장치
KR19980029083A (ko) 실린더 블록의 냉각장치
KR19990024698U (ko) 자동차 엔진의 과열 방지 장치
KR20020045827A (ko) 자동차의 엔진 냉각팬
KR19990032809U (ko) 자동차용 냉각장치의 워터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