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16Y1 -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16Y1
KR200166716Y1 KR2019960058691U KR19960058691U KR200166716Y1 KR 200166716 Y1 KR200166716 Y1 KR 200166716Y1 KR 2019960058691 U KR2019960058691 U KR 2019960058691U KR 19960058691 U KR19960058691 U KR 19960058691U KR 200166716 Y1 KR200166716 Y1 KR 200166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cylinder block
temperature
gasoline engin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549U (ko
Inventor
오부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8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by cutting in and out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01P2003/021Cooling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01P2005/125Driving auxiliary pumps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솔린엔진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구동으로 실린더 블럭이 과열됨에 따라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린더 블럭(1)의 배출측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라인(2)상에 냉각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임이 감지되면 구동되는 펌핑수단(3)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본 고안은 가솔린엔진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구동으로 실린더 블럭이 과열됨에 따라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가솔린엔진의 냉각수강제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내연기관에서는 실린더의 내부를 피스턴이 고속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시 연소실 및 실린더 헤드에 온도가 상승되어 내구성저하 및 성능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들을 냉각시켜 주기 위한 냉각시스템을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엔진의 시동에 따라 실린더 블럭내의 냉각수온도가 적정온도로 상승되어 냉각수라인상에 설치된 써보스태트가 열리면 워터펌프가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핑력에 의해 뜨거워진 냉각수가 냉각수라인을 통해 라디에이터로 공급되어 열교환을 하여 냉각된 다음 다시 실린더 블럭내로 재유입되어 뜨거워진 실린더 블럭을 냉각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뜨거워진 냉각수를 실린더 블럭에서 빨리 라디에이터측으로 배출시켜야 되지만, 워터펌프의 펌핑력이 워낙 부족하여 뜨거워진 냉각수를 신속하게 라디에이터측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뜨거워진 냉각수가 실린더 블럭에서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실린더 블럭내에 설치된 피스턴, 헤드류 등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되었음은 물론 실린더 블럭이 별형되거나, 컨넥팅로드가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실린더 블럭내에 잔류하는 고온의 냉각수를 라디에이터측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 블럭의 배출측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라인상에 냉각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임이 감지되면 구동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가 제공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 2도는 제 1도의 "A"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럭 2 : 냉각수 배출라인
3 : 펌핑수단 4 : 하우징
5 : 모터 6 : 모터축
7 : 회전판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도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로써, 본 고안은 실린더 블럭(1)의 배출측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라인(2)상에 냉각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임이 감지되면 구동하는 펌핑수단(3)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펌핑수단(3)이 냉각수 배출라인(2)에 설치되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이상임이 감지되면 밧데리(도시는 생략함)의 전원이 인가되는 모터(5)와,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되는 모터축(6)에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냉각수의 토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회전판(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의 구동으로 실린더 블럭내의 냉각수온도가 상승되어 써모스태트가 열림과 동시에 워터펌프(8)가 구동하면 상기 워터펌프의 구동력에 의해 냉각수가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실린더 블럭(1)에 설치된 온도센서(도시는 생략함)가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음을 감지하면 모터(5)에 밧데리의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모터축(6)에 고정된 회전판(7)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워터펌프(8)의 펌핑력과 회전판(7)의 회전에 따른 빨아당기는 힘에 의해 실린더 블럭(1)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을 냉각시킨 고온의 냉각수가 냉각수 배출라인(2)를 통해 라디에이터(9)측으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9)측으로 배출된 냉각수는 냉각팬(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의한 강제냉각 및 자연대류에 의한 열교환으로 냉각된 다음 워터펌프(8)의 구동으로 다시 실린더 블럭(1)측으로 순환하면서 고온의 실린더 블럭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뜨거워진 실린더 블럭(1)내의 냉각수를 워터펌프(8)의 구동에 따른 밀어주는 힘과 회전판(7)의 구동에 의한 빨아내는 힘에 의해 라디에이터(9)측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게 되므로 뜨거워진 냉각수가 실린더 블럭에서 잔류하는 시간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 블럭내에 설치된 피스턴, 헤드류 등이 마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실린더 블럭이 변형되거나, 컨넥팅 로드가 깨지는 현상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실린더 블럭(1)의 배출측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라인(2)상에 냉각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임이 감지되면 구동하는 펌핑수단(3)을 구비하여서 된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펌핑수단(3)은 냉각수 배출라인(2)에 설치되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이상임이 감지되면 밧데리의 전원이 인가되는 모터(5)와,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되는 모터축(6)에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냉각수의 토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회전판(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KR2019960058691U 1996-12-27 1996-12-27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KR200166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691U KR200166716Y1 (ko) 1996-12-27 1996-12-27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691U KR200166716Y1 (ko) 1996-12-27 1996-12-27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49U KR19980045549U (ko) 1998-09-25
KR200166716Y1 true KR200166716Y1 (ko) 2000-01-15

Family

ID=1948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691U KR200166716Y1 (ko) 1996-12-27 1996-12-27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535B1 (ko) 2014-11-20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팬 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49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716Y1 (ko) 가솔린엔진의 냉각수 강제 순환장치
KR19990062576A (ko) 개량된 액냉식 내연기관
KR20110063112A (ko) 가변 워터 펌프
KR100227659B1 (ko) 동력손실저감형 워터펌프 구동장치
KR100346480B1 (ko) 엔진의 웜업 시간 단축을 위한 수냉식 엔진 냉각 시스템
KR100391355B1 (ko) 가변블레이드식 라디에이터 냉각팬
KR200166715Y1 (ko) 냉각수 펌핑용 워터펌프의 임펠러구동장치
KR0170860B1 (ko) 자동차 엔진정지후의 냉각수 강제순환구조
KR100259642B1 (ko) 보조 물펌프 구동 장치
KR200159682Y1 (ko) 엔진냉각성능 향상장치
KR0124034Y1 (ko) 자동차 엔진의 자동 냉각휀 구동장치
KR19990019825U (ko) 내연기관 냉각장치의 냉각팬
KR100405788B1 (ko) 자동차의 냉각장치용 워터펌프
KR200153476Y1 (ko) 냉각효과를 극대화한 라디에이터 구조
KR100245873B1 (ko) 냉각팬 구동 제어방법
KR200170361Y1 (ko) 접점 제어방식을 이용한 전동식 라디에이터 팬
KR19980053976U (ko) 엔진의 물펌프 구조
KR19980048546U (ko) 엔진의 운전조건에 따라 펌핑용량이 가변되는 워터펌프
KR20020036868A (ko) 워터펌프의 임펠러
KR19990080421A (ko) 내연 기관의 수냉식 냉각 장치
KR19990032809U (ko) 자동차용 냉각장치의 워터 펌프
KR19980059824A (ko) 자동차의 워터펌프
KR19980047152A (ko) 라디에이터 팬의 구동 방법
KR20020082513A (ko) 전동식 워터펌프
KR19980026403A (ko) 차량의 마그네틱 클러치를 이용한 워터 펌프의 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