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208Y1 -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208Y1
KR200153208Y1 KR2019970017476U KR19970017476U KR200153208Y1 KR 200153208 Y1 KR200153208 Y1 KR 200153208Y1 KR 2019970017476 U KR2019970017476 U KR 2019970017476U KR 19970017476 U KR19970017476 U KR 19970017476U KR 200153208 Y1 KR200153208 Y1 KR 200153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loading box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792U (ko
Inventor
문홍모
Original Assignee
문홍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홍모 filed Critical 문홍모
Priority to KR2019970017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2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커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커버가 평평하게 설치될수 있도록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구성함으로서, 커버에 표시되는 광고문구나 각종 그림이 정확하게 잘 보여서 차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는, 화물차의 적재함(20)에 커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적재함(20)에 설치되는 틀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말단부에 상기 적재함(20)의 로드레스트(20b)와 적재함(20)바닥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3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3)의 상측에 수직 설치되는 본체(32)의 상부 소정위치에 높이조절용 장공(34)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3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된 전후방포스트(3)(31)와, 상기 적재함(20)의 측면도어지지대(20a)의 상면에 외측방이 개구된 수직지지대(42)가 상향설치된 고정브라켓트(4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45)의 외측에는 돌기부(44)를 구비한 하우징(43)이 외삽되며, 상기 수직지지대(42)의 내측에는 양측에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면에 높이조절볼트(46)가 설치된 본체(41)가 상향 삽입설치된 한쌍의 중앙포스트(4)와, 본체(52)의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전후방수평대(5)(51)와, 본체(61)의 상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중앙수평대(6)와, 상기 틀체(10)의 양측 모서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모서리지지대(7)와, 본체(11)의 하측에 전후방포스트(3)(31)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수직삽입부(14)가 하향설치되고, 본체(11)의 인접한 각각의 측면에는 전후방수평대(5)(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제1수평삽입부(12)와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수평삽입부(13)가 수평상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제1, 제2수평삽입부(12)(13)와 수직삽입부(14)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15)이 각각 형성된 모서리연결구(1)와, 상측이 개구되어 상부모서리지지대(7)가 삽입되는 제1수평설치부(21)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앙수평대(6)와 삽입 결합될 제2수평설치부(22)가 수평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설치부(21)의 하측에는 중앙포스트(4)가 삽입결합되는 수직설치부(23)가 힌지(24)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대(2)와, 일측단이 상기 전방수평대(5)의 지지대안착구(8)에 타측단이 후방수평대(5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며, 중앙부는 중앙수평대(6)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지지대(71)와, 일측단이 전방포스트(3) 및 후방포스트(3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중앙포스트(4)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커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커버가 평평하게 설치될수 있도록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구성함으로서, 커버에 표시되는 광고문구나 각종 그림이 행인에게 정확하게 잘 보여서 차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에 커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파이프를 ∩ 형태로 절곡시킨 다수개의 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한 뒤에 그 외측에 커버를 덮어 씌워서 커버를 설치 하였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를 절곡시켜서 제작한 지지대의 외측에 지물지나 비닐지 등의 커버를 덮어 씌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지지대에 덮어 씌워지는 커버는 지지대부분은 돌출되고 지지대가 없는 부분은 호형태로 들어가게 되어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덮어 씌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가 파형형태로 덮어 씌워지게 됨에 따라 커버의 외부면에 각종 광고문구나 각종 그림을 도시하기가 적합하지 않아서, 대부분이 적재함에 적재한 화물을 눈비나 먼지등으로 부터 보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 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덮어씌워지는 커버가 평평하게 덮어 씌워질수 있도록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구성함으로서, 평평하게 펼쳐진 커버에 도시한 각종 광고문구나 각종 그림이 행인 등의 눈에 잘 뜨이도록 하여 화물차의 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광고효과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의 측방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적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는, 적재함의 네 모서리에 전후방포스트가 각각 수직설치되고, 상기 양측 전방포스트의 상측사이와 상기 양측 후방포스트의 상측 사이에는 전후방수평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양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측면도어지지대의 상측에는 한쌍의 중앙포스트가 각각 수직설치되며, 이 한쌍의 중앙포스트의 상측 사이에는 중앙수평대가 수평설치되고, 틀체의 양측 상부 길이방향의 모서리부에는 틀체의 상측 모서리부가 되는 상부모서리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틀체의 상측 네 모서리부에는 전후방포스트와 상부모서리지지대와 그리고, 전후방수평대를 각각 결합시키는 모서리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포스트의 하측에는 중앙포스트의 하측을 측면도어지지대에서 이탈시킨 뒤에 상측 힌지대를 통하여 외측으로 회동시키면서 중앙포스트를 분리해내는 중앙포스트 분리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틀체의 상측 천정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하고, 틀체의 양측 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의 사시도.
도 2 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3 내지 도 10 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 은 전후방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중앙포스트의 설치상태 및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발췌 단면도.
도 5 는 전후방수평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중앙수평대의 정면 구조도.
도 7 은 모서리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8 은 힌지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9 의 a, b는 중앙포스트의 하부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10 의 a, b는 지지대안착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서리연결구 11 : 본체
12 : 제1수평삽입부 13 : 제2수평삽입부
14 : 수직삽입부 15 : 나사공
2 : 힌지대 21 : 제1수평설치부
22 : 제1수평설치부 23 : 수직설치부
24 : 힌지 3 : 전방포스트
31 : 후방포스트 32 : 본체
33 : 고정브라켓트 34 : 장공
4 : 중앙포스트 41 : 본체
42 : 수직지지대 43 : 하우징
44 : 돌기부 45 : 고정브라켓트
46 : 높이조절볼트 5 : 전방수평대
51 : 후방수평대 52 : 본체
6 : 중앙수평대 61 : 본체
7 : 상부모서리지지대 71 : 상부지지대
72 : 측방지지대 8 : 지지대안착구
81 : 탄성누름부재 82 : 통공
10 : 틀체 20 : 적재함
20a : 측면도어지지대 20b : 로드레스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는, 화물차 적재함(20)의 로드레스트(20b)의 양측과 적재함(20)바닥판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적재함(20)의 로드레스트(20b)와 적재함(20)바닥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3)의 상측에 수직 설치되는 본체(32)의 상부 소정위치에 높이조절용 장공(34)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3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된 전후방포스트(3)(31)가 각각 수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20)의 양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측면도어지지대(20a)에는 외측방이 개구된 수직지지대(42)가 상향설치된 고정브라켓트(4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45)의 외측에는 돌기부(44)를 구비한 하우징(43)이 외삽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42)의 내측에는 양측에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면에 높이조절볼트(46)가 설치된 본체(41)가 상향 삽입설치된 한쌍의 중앙포스트(4)가 수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포스트(3) 사이의 상측과 후방포스트(31) 사이에는 본체(52)의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전후방수평대(5)(51)가 수평 설치된다.
상기 양측 중앙포스트(4) 사이의 상측에는 본체(61)의 상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중앙수평대(6)가 수평 설치되며, 상기 틀체(10)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모서리지지대(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틀체(10)의 상측 네 모서리에는 전후방포스트(3)(31)와, 전후방수평대(5)(51), 그리고 상부모서리지지대(7)를 결합시키는 모서리연결구(1)가 결합 설치 된다.
상기 모서리연결구(1)는, 본체(11)의 하측에 전후방포스트(3)(31)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수직삽입부(14)가 하향설치되고, 본체(11)의 인접한 각각의 측면에는 전후방수평대(5)(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제1수평삽입부(12)가 설치되며, 본체의 타측에는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수평삽입부(13)가 제1수평삽입부(12)와 수평상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1, 제2수평삽입부(12)(13)와 수직삽입부(14)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중앙부에는 상측이 개구되어 상부모서리지지대(7)가 삽입되는 제1수평설치부(21)가 설치되며, 이 제1수평설치부(21)의 중앙부 일측에 중앙수평대(6)와 삽입 결합될 제2수평설치부(22)가 수평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설치부(21)의 하측에는 중앙포스트(4)가 삽입결합되는 수직설치부(23)가 힌지(24)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대(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틀체(10)의 천정에 해당하는 전방수평대(5)와 중앙수평대(6) 그리고 후방수평대(51)의 상측에는 일측단이 상기 전방수평대(5)의 지지대안착구(8)에 타측단이 후방수평대(5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며, 중앙부는 중앙수평대(6)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상부지지대(71)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틀체(10)의 양측방에는 일측단이 전방포스트(3) 및 후방포스트(3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중앙포스트(4)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72)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9 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3)의 내측에는 중앙포스트(4)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성누름부재(81)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누름부재(81)와 대응하는 중앙포스트(4)의 대응위치에는 상기 탄성누름부재(81)와 형합될 홈(4a)가 형성되어 중앙포스트(4) 및 하우징(43) 그리고, 수직지지대(42)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고 수직지지대(42)에서 중앙포스트(4)의 말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안착되는 각각의 지지대안착구(8)의 내측에는 각각의 상부지지대(71) 및 측방지지대(72)가 지지대안착구(8)의 내측에서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형태의 탄성누름부재(81)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함(20) 전방의 로드레스트(20b)의 양측에 전방포스트(3)를 각각 수직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방포스트(3)를 로드레스트(20b)에 설치할 때에는 전방포스트(3)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트(33)를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 뒤, 후방포스트(31)를 적재함(20)의 후방양측 바닥면에 수직 설치하는데, 이 후방포스트(31)의 설치작업도 상기 전방포스트(3)를 고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후방포스트(31)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트(33)를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포스트(3)(31)를 각각 수직 설치한 뒤에는 중앙포스트(4)의 하측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42)를 적재함(20)의 양측 중앙부에 착탈식으로 수직 설치되는 측면도어지지대(20a)의 상측에 고정설치한다. 이 수직지지대(42)의 고정작업도 고정브라켓트(45)를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 뒤에 전후방포스트(3)(31)의 선단부에 도 7 에 도시된바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의 수직삽입부(14)를 삽입시킨뒤에 틀체(10)의 양측 상부 모서리부가 될 부위에는 상부모서리지지대(7)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데, 상기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양단부로 전후방포스트(3)(31)에 각각 삽입되는 모서리연결구(1)의 제2수평삽입부(13)가 삽입되게 가결합시키고, 틀체(10)의 전후방 상측 모서리가 될 부분에는 상기 한쌍의 전후방포스트(3)(31)에 각각 삽입된 모서리연결구(1)의 제1수평삽입부(12)에 전후방수평대(5)(51)의 양단부를 각각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전후방포스트(3)(31)에 상부모서리지지대(7)와 전후방수평대(5)(51)를 가결합 시킨뒤에는 전후방수평대(5)(51)와 상부모서리지지대(7)에 형성된 통공(82)과 모서리연결구(1)의 나사공(15)을 볼트부재로서 결합시켜 각각의 전후방포스트(3)(31)에 상부모서리지지대(7)와 전후방수평대(5)(51)를 견고하게 결합 시킨다.
위에서 각각의 전후방포스트(3)(31)와, 수직지지대(42) 그리고, 상부모서리지지대(7), 전후방수평대(5)(51)의 결합작업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는데, 위에서 열거한 각 구성요소들의 조립순서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사각틀체형을 조립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사각틀체가 구성된 뒤에는 도 4 와 도 8 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양측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중앙에 힌지대(2)를 설치하는데, 상기 힌지대(2)를 상부모서리지지대(7)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중앙수평대(6)의 양단부에 힌지대(2)의 제2수평설치부(22)를 삽입 설치한 뒤에, 양단에 힌지대(2)가 설치된 중앙수평대(6)를 양측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중앙부에 수평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양단에 힌지대(2)가 설치된 중앙수평대(6)를 양측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중앙부에 수평설치할 때에는 힌지대(2)의 상측에 수평 설치된 제1수평설치부(21)의 개구부에 상기 상부모서리지지대(7)를 삽입시킨 뒤에 나사부재로서 제1수평설치부(21)와 상부모서리지지대(7)를 고정설치한다.
이렇게 양단에 힌지대(2)가 설치된 중앙수평대(6)를 양측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중앙부에 수평설치한 뒤에는 힌지대(2)의 수직설치부(23)에 중앙포스트(4)의 상단부를 삽입설치하고, 중앙포스트(4)의 말단부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도어지지대(20a)의 상측에 수직 설치된 수직지지대(42)로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중앙포스트(4)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힌지식으로 회동되는 힌지대(2)의 수직설치부(2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중앙포스트(4)의 하단부가 삽입설치되는 수직지지대(42)는 외측방이 개구된 상태이므로 도 4 와 같이 힌지(24)를 중심으로 회동시켜면서 삽입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앙포스트(4)의 조립이 완료된 뒤에는 전후방포스트(3)(31)의 장공(34)을 이용하여 틀체(10)의 상측 부분의 높이를 상하조절하면서, 중앙포스트(4)는 중앙포스트(4)의 상측 선단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46)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방포스트(3)(31)의 장공(34)과 함께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틀체(10)의 높이까지 조절된 뒤에는 틀체(10)의 상측에 다수개의 상부지지대(71)를 설치하고, 틀체(10)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72)를 삽입 설치하여 틀체(1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대(71)의 조립은 전후방수평대(5)(51)와 중앙수평대(6)의 지지대안착구(8)에 삽입시켜 조립하고, 측방지지대(72)의 조립은 전후방포스트(3)(31)에 설치된 지지대안착구(8)와 중앙포스트(4)에 설치된 지지대안착구(8)에 각각 삽입조립 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안착구(8)의 내측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누름부재(81)가 설치되어서 지지대안착구(8)에 삽입된 상부지지대(71)와 측방지지대(72)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조립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42)의 내측에 삽입된 중앙포스트(4)의 말단부는 수직지지대(42)의 외측에 외삽되는 하우징(43)의 내측에 판스프링형태의 탄성누름부재(81)가 삽입되어 있어서 하우징(43) 및 중앙포스트(4)의 말단부가 유동없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틀체(10)의 설치 및 조립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틀체(10)의 외측에 커버를 덮어 씌운다. 이렇게 커버가 설치되면 상기 틀체(10)의 상면과 양측면이 평면형태로 형성되어서 커버의 양측면과 평면이 평평하게 되어 커버의 외측면에 각종 광고문구나 각종그림 등을 인쇄할 경우에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표현된 각종 광고문구나 각종그림 등이 무심코 길을 지나가는 행인들의 눈에 잘 보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20)에 틀체(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적재함(20)의 측면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하시에는 본 고안의 틀체에서 적재함(20)의 측면을 개방할 수 있는데 그 개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틀체(10)의 개방할 측면에 삽입식으로 조립되어 있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72)를 분리해낸뒤에, 도 4 및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43)을 상측으로 올리면 외측이 개방된 수직지지대(42)에 삽입설치된 중앙포스트(4)의 말단부가 수직지지대(4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앙포스트(4)를 외측으로 밀면, 상기 중앙포스트(4)는 상측에 삽입 설치된 힌지대(2)의 힌지(24)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포스트(4)가 외측으로 벌어진 뒤에는 중앙포스트(4)를 하측으로 빼내면 중앙포스트(4)의 선단부가 힌지대(2)의 수직설치부(23)에서 이탈되어 틀체(10)의 중앙부를 개방시키게 되어 개방된 틀체의 측면을 통하여 화물의 적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커버가 평평하게 설치될수 있도록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를 구성하여 커버에 표시되는 광고문구나 각종 그림이 행인들의 눈에 정확하게 잘 보여서 차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틀체가 완전 조립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종 구성부품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는 등의 장점과, 상기 틀체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수공구 한 개만으로도 가능한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화물차의 적재함(20)에 커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적재함(20)에 설치되는 틀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말단부에 상기 적재함(20)의 로드레스트(20b)와 적재함(20)바닥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3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3)의 상측에 수직 설치되는 본체(32)의 상부 소정위치에 높이조절용 장공(34)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3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된 전후방포스트(3)(31)와,
    상기 적재함(20)의 측면도어지지대(20a)의 상면에 외측방이 개구된 수직지지대(42)가 상향설치된 고정브라켓트(4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45)의 외측에는 돌기부(44)를 구비한 하우징(43)이 외삽되며, 상기 수직지지대(42)의 내측에는 양측에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면에 높이조절볼트(46)가 설치된 본체(41)가 상향 삽입설치된 한쌍의 중앙포스트(4)와,
    상기 전방포스트(3) 사이의 상측과 후방포스트(31) 사이의 상측에 수평설치되는 것으로, 본체(52)의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전후방수평대(5)(51)와,
    상기 양측 중앙포스트(4) 사이의 상측에 수평설치되는 것으로, 본체(61)의 상면에 다수의 지지대안착구(8)가 일정간격으로 배열설치되고, 양단부 소정위치에 통공(82)을 구비한 중앙수평대(6)와,
    상기 틀체(10)의 양측 모서리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모서리지지대(7)와,
    본체(11)의 하측에 전후방포스트(3)(31)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수직삽입부(14)가 하향설치되고, 본체(11)의 인접한 각각의 측면에는 전후방수평대(5)(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제1수평삽입부(12)와, 상부모서리지지대(7)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수평삽입부(13)가 수평상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제1, 제2수평삽입부(12)(13)와 수직삽입부(14)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15)이 각각 형성된 모서리연결구(1)와,
    상측이 개구되어 상부모서리지지대(7)가 삽입되는 제1수평설치부(21)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앙수평대(6)와 삽입 결합될 제2수평설치부(22)가 수평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설치부(21)의 하측에는 중앙포스트(4)가 삽입결합되는 수직설치부(23)가 힌지(24)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대(2)와,
    일측단이 상기 전방수평대(5)의 지지대안착구(8)에 타측단이 후방수평대(5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며, 중앙부는 중앙수평대(6)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지지대(71)와,
    일측단이 전방포스트(3) 및 후방포스트(31)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중앙포스트(4)의 지지대안착구(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측방지지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3)의 내측에는 중앙포스트(4)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성누름부재(81)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누름부재(81)와 대응하는 중앙포스트(4)의 대응위치에는 상기 탄성누름부재(81)와 형합될 홈(4a)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안착구(8)의 내측에는 각각의 상부지지대(71) 및 측방지지대(72)가 지지대안착구(8)의 내측에서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누름부재(81)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KR2019970017476U 1997-06-24 1997-06-24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KR200153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476U KR200153208Y1 (ko) 1997-06-24 1997-06-24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476U KR200153208Y1 (ko) 1997-06-24 1997-06-24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92U KR19990003792U (ko) 1999-01-25
KR200153208Y1 true KR200153208Y1 (ko) 1999-08-02

Family

ID=1950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476U KR200153208Y1 (ko) 1997-06-24 1997-06-24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52A (ko) * 2020-10-26 2022-05-03 하도겸 개선된 차량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19B1 (ko) * 2018-04-05 2019-09-02 이치선 각관을 원터치 방식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444218B1 (ko) * 2022-04-11 2022-09-15 하도겸 화물차량용 롤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52A (ko) * 2020-10-26 2022-05-03 하도겸 개선된 차량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2428623B1 (ko) 2020-10-26 2022-08-03 거보 주식회사 개선된 차량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92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6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sheet material on support structures
US5584547A (en) Curved panel construction for a merchandiser
US5964052A (en) Wind resistant reinforced sign and base therefor
KR200153208Y1 (ko)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US4375869A (en) Protective covers or enclosures for mailboxes
US5911525A (en) Sign frame
US9536455B2 (en) Universal signage frame kit for a point of purchase interface such as a speaker post
US4475299A (en) Jitney sign
US20180168340A1 (e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Advertising From A Traffic Signal Control Cabinet
US7152354B1 (en) Document displaying system
KR200493092Y1 (ko) 키오스크용 디스플레이 프레임 조립체
US20110099865A1 (en) Advertising Board for Vehicle and Apparatus for Fixing an Advertising Screen
CN214947459U (zh) 一种可折叠多媒体数字化水牌
JP2682367B2 (ja) 家具におけるアジャスタ装置
KR200371078Y1 (ko) 지하철용 안전펜스
JPH0342850Y2 (ko)
JP4414186B2 (ja) 車上看板装置
KR200146482Y1 (ko) 철도차량의 포스터 행거
KR200435143Y1 (ko) 쇼핑카트용 광고판
US4960255A (en) Spring supported mailbox post
KR200321979Y1 (ko) 전철용 광고판
US20010005952A1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200435500Y1 (ko) 전동차용 절첩식 조명광고판
KR0137383Y1 (ko) 버스노선 안내판
KR200398578Y1 (ko) 신문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