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902Y1 - 엔진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902Y1
KR200152902Y1 KR2019940017228U KR19940017228U KR200152902Y1 KR 200152902 Y1 KR200152902 Y1 KR 200152902Y1 KR 2019940017228 U KR2019940017228 U KR 2019940017228U KR 19940017228 U KR19940017228 U KR 19940017228U KR 200152902 Y1 KR200152902 Y1 KR 200152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air
engine
intake branch
sur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455U (ko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17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902Y1/ko
Publication of KR9600054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9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12Intake manifolds fo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1/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storage chambers
    • F02B21/02Chamber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고속용 흡기 브랜치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개폐토록 하여 공기가 최대의 흡기율로 흡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서어지 탱크의 구조를 변경하여 고속용 흡기 브랜치의 개폐시 신속하고 고른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기통간의 열적부하와 진동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흡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청정 상태로 여과하는 공기 청정기와, 이 공기 청정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와, 드로틀 밸브가 장착되는 드로틀 바디에 연통 결합되는 서어지 탱크, 그리고 서어지 탱크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연소실과 연통 되도록 결합되어 고속용 흡기 브랜치와 저속용 흡기 브랜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에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을 설치토록 하고, 상기한 서어지 탱크에 각 기통으로 연결되는 흡기브랜치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소의 공기 정체부를 형성토록 한 것.

Description

엔진의 흡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관련되는 일반적인 엔진의 흡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기장치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흡기장치의 밸브개폐수단과 이 밸브개폐 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와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과 이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밸브구동수단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와 제10도는 다른 예에 의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과 이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공기 청정기 4 : 드로틀 밸브
6 : 드로틀 바디 8 : 서어지 탱크
10 : 실린더 헤드 14 : 연소실
16 : 고속용 흡기 브랜치 18 : 저속용 흡기 브랜치
20 :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 22 : 밸브축
24 : 밸브 28 : 캠
30 : 드로틀 레버 32 : 모터
34 : 공기 정체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연소실과 서어지 탱크를 연통시키는 흡기 매니폴드가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밸브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를 형성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실린더 블록의 각 기통마다의 연소실에 신속하고 균일한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 기통간의 열적부하와 진동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의 엔진은 보통 실린더 헤드와, 이 실린더 헤드가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 그리고 상기 실린더 블록의 보어에 결합되는 피스톤에 의해 연소실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연소실에 공기와 연료가 무화 상태로 혼합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기의 연소 폭발로 상기 피스턴이 직선 왕복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공기는 연소실과 연통되는 흡기장치에 의해 연소실로 흡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흡기장치는 공기 청정기를 통하여 공기를 청정 상태로 유입토록 하고, 이 공기가 드로틀 밸브에 의해 유입량이 조절되는 상태로 서어지 탱크에 공급되도록 한 후, 이러한 서어지 탱크 내의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연소실에 흡기되도록 함으로써, 연소실로 분사된 연료와 무화 상태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흡기 매니폴드를 다수의 흡기 브랜치로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의 흡기 효율을 증대시켜 혼합기의 완전연소를 유도토록 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증대를 도모토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흡기 브랜치로 이루어지는 종래 흡기장치의 흡기 매니폴드는 다수의 흡기 브랜치 들이 항상 일정하게 개도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공기를 알맞게 흡기되도록 조절하지 못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른 흡기효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기 매니폴드를 이루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개폐토록 하여 엔진의 가속 상태에 따라 공기가 최대의 흡기율로 흡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서어지 탱크의 구조를 변경하여 고속용 흡기 브랜치의 개폐시 신속하고 고른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기통간의 열적부하와 진동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를 청정 상태로 여과하는 공기 청정기와, 이 공기 청정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와, 드로틀 밸브가 장착되는 드로틀 바디에 연통 결합되는 서어지 탱크, 그리고 서어지 탱크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연소실과 연통 되도록 결합되어 고속용 흡기 브랜치와 저속용 흡기 브랜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에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을 설치토록 하고, 상기한 서어지 탱크에 각 기통으로 연결되는 흡기브랜치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소의 공기 정체부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서어지 탱크에 형성되는 공기 정체부의 일측벽과, 저속용 흡기 브랜치가 결합되는 서어지 탱크의 일측벽은 흡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바닥벽에 대하여 둔각을 보유하는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은 다수의 고속용 흡기 브랜치에 다수의 밸브축으로 연장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렬 배치되어 다수의 고속용 흡기 브랜치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와; 이 다수의 밸브들이 결합된 밸브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들이 개폐 작용되도록 하는 밸브 구동수단을 구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밸브 구동수단은 밸브축과 그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과; 이 캠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엔진의 가속 상태에 따라 엔진 부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드로틀 레버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그 회전축이 밸브축과 연장 결합되어 다수의 밸브를 동시 개폐토록 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엔진의 흡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흡기장치는 공기를 청정 상태로 여과하는 공기 청정기(2)와, 이 공기 청정기(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드로틀 밸브(4)를 구비토록 하고 있다.
상기 드로틀 밸브(4)는 드로틀 바디(6)에 개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드로틀 바디(6)와는 서어지 탱크(8)가 연통 결합되도록 하고, 이 서어지 탱크(8)와 실린더 헤드(10) 사이에 흡기 매니폴드(12)가 개설되도록 하여 연소실(14)로의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흡기 매니폴드(12)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용 흡기브랜치(16)와 저속용 흡기 브랜치(18)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를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20)에 의해 개폐토록 함으로써,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적당량의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20)은 다수의 고속용 흡기 브랜치(16)에 다수의 밸브축(22)으로 연장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렬 배치되어 다수의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를 개폐토록 하는 다수의 밸브(24)를 구비토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다수의 밸브(24) 들이 결합된 밸브축(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22) 들이 개폐 작용되도록 하는 밸브 구동수단(26)을 구비토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밸브 구동수단(26)은 제4도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축(22)과 그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28)을 구비토록 하고, 이 캠(28)의 일측면에 엔진의 가속 상태에 따른 엔진 부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로틀 레버(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시 캠(28)을 회전시켜 이 캠(28)에 밸브축(22)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밸브(24)를 동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 구동수단(26)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회전축이 밸브축(22)과 연장 결합되어 다수의 밸브(24)를 동시 개폐토록 하는 모터(32)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서어지 탱크(8)에는 엔진의 각 기통을 이루는 연소실(14)로 연결되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소의 공기 정체부(34)를 형성토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서어지 탱크(8)에 형성되는 공기 정체부(34) 들의 일측벽과, 저속용 흡기 브랜치(18)가 결합되는 일측벽은 흡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바닥벽에 대하여 둔각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기장치는 제6도와 제7도 및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이 고속으로 운전될 때 엔진 부하에 의해 드로틀 레버(30)의 밀림으로 캠(28)이 회전되거나 모터(32)가 회전 작동되어 이들의 회전축에 밸브축(22)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밸브(24) 들이 고속용 흡기 브랜치(26)를 개도토록 한다.
따라서, 서어지 탱크(8)에 유입된 공기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16)와 중, 저속용 흡기 브랜치(18)를 통하여 엔진의 고속 운전에 적당한 량으로 연소실(14)에 흡기되어 공기의 체적효율이 증대된 상태로 연료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엔진이 중, 저속으로 운전될 때 엔진 부하에 따라 드로틀 레버(30)가 당겨져 캠(28)이 역회전되도록 하거나 모터(32)가 역회전 작동되어 이들의 회전축에 밸브축(22)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밸브(24) 들이 고속용 흡기 브랜치(26)를 폐도토록 한다.
따라서, 서어지 탱크(8)에 유입된 공기는 중, 저속용 흡기 브랜치(18)만을 통하여 중, 저속에 적당한 량으로 연소실(14)에 흡기되어 연료와 혼합되는 혼합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를 통하여 공기가 연소실(14)로 흡기될 때 공기는 공기 정체부(34)에 정체되어 있으므로 신속하게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로 유입되며, 고속용 흡기 브랜치(16)와 중, 저속용 흡기 브랜치(18)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정체부(34)의 일측벽과 중, 저속용 흡기 브랜치(18)가 결합되는 부분의 서어지 탱크(8)의 일측벽이 그 바닥벽으로 부터 경사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소의 저항 상태하에서 흡기될 수가 있게 된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기장치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개폐토록 하여 공기가 최대의 흡기율로 흡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서어지 탱크에 공기 정체부를 형성하여 고속용 흡기 브랜치의 개폐시 신속하고 고른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기통간의 열적부하와 진동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공기를 청정 상태로 여과하는 공기 청정기(2)와, 이 공기 청정기(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4)와, 드로틀 밸브(4)가 정착되는 드로틀 바디(6)에 연통 결합되는 서어지 탱크(8), 그리고, 서어지 탱크(8)와 실린더 헤드(10) 사이에 연소실(14)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16)와 저속용 흡기 브랜치(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속용 흡기 브랜치(16)에 다수의 밸브축(22)으로 연장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렬 배치되어 상기 고속용 흡기 브랜치(16)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24)와, 이 다수의 밸브(24)들이 결합된 밸브축(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24)들이 개폐 작용되도록 밸브축(22)이 연장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28)과; 이 캠(28)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엔진의 가속상태에 따라 엔진 부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밸브축(22)과 그 회전축이 연장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28)과, 이 캠(28)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엔진의 가속 상태에 따라 엔진 부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모터(3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캠(28)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드로틀 레버(30)로 이루어지는 고속용 흡기 브랜치 개폐수단(20)를 설치하며, 상기한 서어지 탱크(8)에 각 기통으로 연결되는 흡기 브랜치(16)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소에 공기 정체부(34)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어지 탱크(8)에 형성되는 공기 정체부(34)의 일측벽과, 저속용 흡기 브랜치(18)가 결합되는 서어지 탱크(8)의 일측벽은 흡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바닥벽에 대하여 둔각을 보유하는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KR2019940017228U 1994-07-12 1994-07-12 엔진의 흡기장치 KR200152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28U KR200152902Y1 (ko) 1994-07-12 1994-07-12 엔진의 흡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28U KR200152902Y1 (ko) 1994-07-12 1994-07-12 엔진의 흡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55U KR960005455U (ko) 1996-02-16
KR200152902Y1 true KR200152902Y1 (ko) 1999-08-02

Family

ID=1938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228U KR200152902Y1 (ko) 1994-07-12 1994-07-12 엔진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9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55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374A (en) Inlet arrangemen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17686B2 (ko)
US5105774A (en) Intake system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or motor vehicles
KR200152902Y1 (ko) 엔진의 흡기장치
US5205245A (en) Two stroke engines
KR100211356B1 (ko) 엔진의 흡기장치
JP3055427B2 (ja) 吸気管長可変装置
KR19980053405A (ko) 자동차 엔진의 드로틀 밸브
KR100211357B1 (ko) 엔진의 흡기장치
KR100188758B1 (ko) 엔진의 흡기장치
JPS6011211B2 (ja) 偶数気筒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1132483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0152904Y1 (ko) 내연기관의 흡기조절장치
KR200197202Y1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조절장치
KR0151492B1 (ko) 스월효과를 이용한 가변흡기조정장치
KR200152908Y1 (ko) 내연기관의 가변 흡기 조절장치
KR950008310Y1 (ko) 가변 흡기 장치
KR100189443B1 (ko) 차량의 혼합기 가변조절장치
KR200152911Y1 (ko) 자동차 흡기장치의 서어지 탱크
KR0132961Y1 (ko) 자동차의 가변 흡기장치
KR100252259B1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조절장치
JP4352618B2 (ja) 吸気渦流発生装置
JPH1054250A (ja) 内燃機関用の吸気系
JP3624540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0132976Y1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