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826Y1 -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826Y1
KR200152826Y1 KR2019970002250U KR19970002250U KR200152826Y1 KR 200152826 Y1 KR200152826 Y1 KR 200152826Y1 KR 2019970002250 U KR2019970002250 U KR 2019970002250U KR 19970002250 U KR19970002250 U KR 19970002250U KR 200152826 Y1 KR200152826 Y1 KR 200152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drain
circulation pump
check valv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925U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02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8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8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된 세척수를 배수시킬 때 그 배수과정에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의 세척효율을 배가시킬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식기세척기(100)의 일측하단에 장착되는 순환펌프(110)의 토출구에 배수역지밸브(200)를 결합시키되, 상기 배수역지밸브(200)는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내벽에 삽입결합되는 밸브시이트(220)와; 상기 밸브시이트(220)의 후단에 밀착결합되는 역류방지판(230)과; 상기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 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호스(240)로 구성되어 상기 역류방지판(230)을 통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된후에 세척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배수구에 장착되어지는 배수역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된 세척수를 배수시킬 때 그 배수과정에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식기세척기의 배수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된 식기를 세척시키는 식기세척기는 그 세척실내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세척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세척과정에서 발생되어진 오염된 세척수는 세척행정이 종료됨과 동시에 순환펌프가 작동하여 그 토출압력으로 식기세척기의 배면에 장착된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된후에 구배의 단차로 인하여 식기세척기내로 재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기기세척기의 배수구에는 상향으로 절곡되어진 형태의 파이프드레인이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파이프드레인(130)은 첨부된 도면의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식기세척기(100)의 배수구(120)에 결합되는데 그 결합구조는 구배가 낮은쪽인 파이프드레인(130)의 후단(140)은 식기세척기의 배수구(120)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120)의 단차보다 상부쪽에 위치하게되는 파이프드레인(130)의 선단(160)은 오염된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배수되어지는 배수호스(170)와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파이프드레인(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드레인(130)의 절곡부(180)는 그 하부에 리브(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리브(150)상에 결합나사가 결합됨으로서 식기세척기(100)의 배면에 파이프드레인(130)이 취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드레인(130)은 배수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절곡부(180)의 높이가 식기세척기(100)의 배수구(150)에 비해 그 단차가 약 30CM이상 높게 형성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오염된 세척수가 순환펌프(110)의 토출압력으로 배수구(150)를 통하여 배수되는 과정에서 식기세척기(100) 밖으로 완전배수 되지 못하고 역류되어 세척실내에 그 일부가 잔존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오염된 세척수가 완전 배수되지 못하고 세척실내에 잔존하게 됨으로서 식기의 세척과정에서 세척실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되어져 식기세척기의 세척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내에 수장된 오염된 식기를 세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세척수를 배수시킬 때 그 배수과정에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는 식기세척기의 일측하단에 장착되는 순환펌프에 배수역지밸브를 결합시키되, 이 배수역지밸브는 순환펌프의 토출구내벽에 삽입결합되는 밸브시이트와; 상기 밸브시이트의 후단에 밀착결합되는 역류방지판과;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구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파이프드레인의 결합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역지밸브가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에 장착되어진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식기세척기 110:순환펌프
120:배수구 130:파이프드레인
140:후단 150:리브
160:선단 170,240:배수호스
180:절곡부 200:배수역지밸브
210:토출구 220:밸브시이트
230:역류방지판 250:금속볼
260:경사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역지밸브가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에 장착되어진 상태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100)의 일측하단에 장착되는 순환펌프(110)에 배수역지밸브(200)를 결합시키되, 이 배수역지밸브(200)는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내벽에 삽입결합되는 밸브시이트(220)와; 상기 밸브시이트(220)의 후단에 밀착결합되는 역류방지판(230)과; 상기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 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호스(240)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시이트(220)는 그 재질이 고무재로 구성되어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 내벽에 끼움결합되고 그 하단은 경사면(260)으로 구성되어 이 경사면(260)에 역류방지판(230)이 밀착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역류방지판(23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시이트(220)의 경사면(26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실내에 수납된 오염된 식기를 세척하거나 또는 세척완료된 식기를 헹굼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세척수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식기세척기(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순환펌프(110)가 작동하여 그 토출압력에 의해 오염된 세척수가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와 배수호스(240)를 통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110)의 토출압력에 의해 밸브시이트(220)의 경사면(260)에 밀착되어 있던 역류방지판(230)은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세척수가 배수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됨으로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될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순환펌프(110)가 작동되어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실내에 담수된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되게 되면 상기 순환펌프(110)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순환펌프(110)의 작동이 중지되게 되면 그와 동시에 역류방지판(230)에 세척수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상기 역류방지판(230)이 그 자체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밸브시이트(220)의 경사면(260)에 밀착됨으로서 유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역류방지판(230)에 의해 밸브시이트(220)의 유로가 차단되어짐에 따라 순환펌프(110)의 토출압력으로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 밖으로 배출되어 나온 오염된 세척수는 상기 밸브시이트(220)의 경사면(260)에 밀착되어진 역류방지판(230)에 의해 순환펌프(110)내로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110)내로 오염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서 이와 연결되는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실내로 오염된 세척수의 유입이 없어 항상 재급수되어진 깨끗한 세척수로 식기를 세척시키거나 헹굼시킬수 있어 식기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일측하단에 장착되는 순환펌프에 배수역지밸브를 결합시키되, 이 배수역지밸브는 순환펌프의 토출구내벽에 삽입결합되는 밸브시이트와; 상기 밸브시이트의 후단에 밀착결합되는 역류방지판과;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구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호스로 구성되어 상기 밸부시이트의 하단에 밀착되는 역류방지판을 통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된 세척수가 세척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기의 세척효율을 배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식기세척기(100)의 일측하단에 장착되는 순환펌프(110)에 배수역지밸브(200)를 결합시키되, 이 배수역지밸브(200)는 순환펌프(110)의 토출구(210)내벽에 삽입결합되는 밸브시이트(220)와; 상기 밸브시이트(220)의 하단에 형형된 경사면(260)에 밀착결합되는 역류방지판(230)과; 상기 토출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호스(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KR2019970002250U 1997-02-14 1997-02-14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KR200152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50U KR200152826Y1 (ko) 1997-02-14 1997-02-14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50U KR200152826Y1 (ko) 1997-02-14 1997-02-14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25U KR19980057925U (ko) 1998-10-26
KR200152826Y1 true KR200152826Y1 (ko) 1999-07-15

Family

ID=1949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250U KR200152826Y1 (ko) 1997-02-14 1997-02-14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8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160B1 (ko) * 2001-11-20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25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JPH02228929A (ja) 皿洗器
KR200152826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JPH07189324A (ja) 水洗便器
KR0134356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역지밸브
US20050115592A1 (en) Water guide of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1241458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홀더 결합 구조
US6829789B1 (en) Massaging tub having automatic washing function
KR940001046Y1 (ko) 식기세척기의 오수(汚水) 역류방지장치
KR19980010170U (ko) 식기 세척기
KR20060085782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064085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46413B1 (ko)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밸브
JP2001275918A (ja) 食器洗浄機
KR940001045Y1 (ko) 식기세척기의 오수(汚水) 역류방지장치
KR100640906B1 (ko) 식기 세척기
JPH07301A (ja) 自動洗浄浴槽におけるバッファ装置
JP2951136B2 (ja) 食器洗い機
KR19990040591A (ko)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밸브
KR100307817B1 (ko)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KR100808160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배수장치
KR0124463Y1 (ko) 세탁기의 세탁배수 역류방지장치
KR890008082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