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01Y1 - 단자대 쇼트바 - Google Patents

단자대 쇼트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01Y1
KR200152701Y1 KR2019970006683U KR19970006683U KR200152701Y1 KR 200152701 Y1 KR200152701 Y1 KR 200152701Y1 KR 2019970006683 U KR2019970006683 U KR 2019970006683U KR 19970006683 U KR19970006683 U KR 19970006683U KR 200152701 Y1 KR200152701 Y1 KR 200152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bar
terminal block
terminal
wir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247U (ko
Inventor
오석춘
Original Assignee
오석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춘 filed Critical 오석춘
Priority to KR2019970006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01Y1/ko
Publication of KR970047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에 있어서, 상기 쇼트바는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과, 상기 단자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단자가 연결되는 부위에 코팅되고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피복층으로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대에서 단자가 컷팅되게 하여, 단자대에 쇼트바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선되고, 배선된 쇼트바는 깨끗하게 정리 정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자대 쇼트바
본 고안은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대에 쇼트바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선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배선된 쇼트바는 깨끗하게 정리 정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대 쇼트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는 제1도에서와 같이 쇼트바(3)의 양단부에는 단자(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5)의 중간에는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4)가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쇼트바(3)가 배서되는 단자대(1) 상부에는 다수의 쇼트바(3)가 배선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지부(2)가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쇼트바(3)를 단자대(1)에 배선하고자 할때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먼저 단자대(1)에배선하고자 하는 접지부(2)의 위치를 확인한 후 쇼트바(3)의 양 단자(5)를 접지부(2)에 각각 위치시켜 배선하고, 또 다른 쇼트바(3)를 단자대(1)에 배선하고자 하는 접지부(2)가 선택되면 선택된 접지부(2)에 쇼트바(3)의 단자(5)를 각각 위치시켜 배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쇼트바(3)는 단자(5)의 양단부가 와이어(4)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대(1)에 쇼트바(3)를 배선시 와이어(4)에 의해 배선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이에따라 작업속도가 저하되었으며, 특히 단자대(1)에 쇼트바(3)가 다수 배선될시에는 와이어(4)가 서로 엉켜 있어보는 이로 하여금 지저분한 느낌을 주어 제품의 이미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자대에 쇼트바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선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단자대에 배선된 쇼트바는 깨끗하게정리 정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대 쇼트바를 제공 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단자대에 쇼트바가 배선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쇼트바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쇼트바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대 2 : 접지부
10 : 쇼트바 20 : 단자
30 : 피복층 40 : 연결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에 있어서, 상기 쇼트바는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과, 상기 단자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단자가 연결되는 부위에 코팅되고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피복층으로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대에서 단자가 컷팅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대에 다수 배열된 쇼트바는 필요에 따라 연결대에서 선택적으로 단자가 컷팅(배선되지 않는 필요없는 단자)되어 사용됨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쇼트바가 단자대에 배선되고, 단자대에 배선된 쇼트바는 연결대에 의해 단자대에 단자가 배선되기 때문에 제품의 깨끗한 이미지를 부각시킬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라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쇼트바의 사시도 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쇼트바가 단자대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도 제4도에서와 같이 단자대(1)에 쇼트바(10)가 배선될 수 있도록 단자대(1)의 상부 전후면에는 다수의 접지부(2)가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종래 단자대(1)에 배선되는 쇼트바(10)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선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3도에서와 같이 쇼트바(10)는 단자(20)들과, 이 단자(2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40)와, 이 연결대(40)와 단자(20)들이 연결되는 부위에 코팅되는 피복층(3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단자(20)들은 동일선 즉, 수평선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고, 배열되는 단자(20)의 하단부는 하나의 연결대(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대(30)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20)들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대(40)에서 컷팅된다.
이때 연결대(40)상에 다수 형성되는 단자(20)의 갯수는 도면에서와 같은 갯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많거나 적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피복층(30)은 연결대(40)와 단자(20)들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코팅되어 외부의 접촉에 의한 쇼트 또는 감전등을 방지하고, 색상은 쇼트바(10)가 단자대(1)에 배선시 용이하게 배선될 수 있도록 적색, 청색, 황색, 흑색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제3도에서와 같이 하나의 연결대(40)에 다수의 단자(20)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고, 단자(20)와 연결대(40)가 연결되는 부위에 피복층(30)이 피복된 상태에서 단자대(1)에 쇼트바(30)를 배선하기 위해서는 제4도에서와 같이 배선하고자 하는 한쌍의 단자(20a),(20b)는 놔두고 나머지 단자(20c)들은 컷팅한 후, 쇼트바(30)를 단자대(1)의 접지부(2a),(2b)에 배선한다.
즉, 단자대(1)의 처음 접지부(2a)와 마지막 접지부(2b)를 서로 배선하고자 할때에는 쇼트바(30)의 처음 단자(20a)와 마지막 단자(20b)만을 놔두고 나머지 단자(20c)들은 연결대(40)에서 컷팅한다.
이후, 상기 단자대(1)의 처음 접지부(2a)와 마지막 접지부(2b)에 쇼트바(30)의 처음 단자(20a)와 마지막 단자(20b)를 각각 위치시켜 쇼트바(30)를 단자대(1)에 배선하면 되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자대(1)의 처음 접지부(2a)와 다음 접지부(2)를 배선하고자 할때에는 쇼트바(30)의 처음 단자(20a)와 다음 단자(20)만을 놔두고 나머지 단자(20c)들은 연결대(40)에서 컷팅하고 단자대(1)에 상기 쇼트바(30)를 배선하면 쉽게 쇼트바(30)가 단자대(1)에 배선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단자들이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고, 배열된 단자들은 하나의 연결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단자대에 쇼트바를 배선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단자를 연결대에서 컷팅하여 쇼트바를 단자대에 배선함으로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쇼트바가 단자대에 배선된다.
한편, 단자대에 배선된 쇼트바는 연결대에 의해 배선라인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단자대에 배선되는 쇼트바에 있어서, 상기 쇼트바는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과, 상기 단자들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단자가 연결되는 부위에 코팅되고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피복층으로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대에서 단자가 컷팅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쇼트바.
KR2019970006683U 1997-04-01 1997-04-01 단자대 쇼트바 KR200152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83U KR200152701Y1 (ko) 1997-04-01 1997-04-01 단자대 쇼트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83U KR200152701Y1 (ko) 1997-04-01 1997-04-01 단자대 쇼트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247U KR970047247U (ko) 1997-07-31
KR200152701Y1 true KR200152701Y1 (ko) 1999-07-15

Family

ID=1949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683U KR200152701Y1 (ko) 1997-04-01 1997-04-01 단자대 쇼트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030B1 (ko) 2016-04-25 2017-01-05 문성모 단자대용 쇼트 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030B1 (ko) 2016-04-25 2017-01-05 문성모 단자대용 쇼트 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24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818Y2 (ko)
GB9416331D0 (en) Stranded electrical wire for use with IDC
IE820891L (en) Connecting element for use on telecommunication lines
ATE196387T1 (de) Modularer verbinder mit loesbarem drahthalter
KR200152701Y1 (ko) 단자대 쇼트바
US5372521A (en) Electrical connection bar for terminals
BR9201477A (pt) Pontas de pinos terminais eletricos
DE3579053D1 (de) Drahtelektrode fuer drahtfunkenerodierbearbeitung.
US4169649A (en) Connectors for use in frames for holding circuit cards
JP3236078B2 (ja) 連鎖端子の形成方法
CA1287893C (en) Multiple junction device
USD286039S (en) Integrally formed insulator assembly
RU94012552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JPS6251679U (ko)
JPS5939845B2 (ja) テ−プ電線
KR200311490Y1 (ko) 전선과 단자가 일체로 형성된 전선용 접속단자
JPS614318U (ja) ワイヤ−ハ−ネス組立具
JP329963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ターミナル接続構造
DE20117317U1 (de) RJ45 Modul-Stecker
KR960002133Y1 (ko) 콘센트 접속단자의 결선구조
JPS6433863A (en) Formation of extracting wire
KR19980032360U (ko) 자동차의 배터리 연결용 컨넥터
JPH0446384Y2 (ko)
JPH05299133A (ja) 端子台
CN2095488U (zh) 电脑连接器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