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030B1 - 단자대용 쇼트 바 - Google Patents

단자대용 쇼트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030B1
KR101693030B1 KR1020160050151A KR20160050151A KR101693030B1 KR 101693030 B1 KR101693030 B1 KR 101693030B1 KR 1020160050151 A KR1020160050151 A KR 1020160050151A KR 20160050151 A KR20160050151 A KR 20160050151A KR 101693030 B1 KR101693030 B1 KR 10169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short bar
connecting rod
bod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문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모 filed Critical 문성모
Priority to KR102016005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대용 쇼트 바에 관한 것으로, 제1 단자수단; 제2 단자수단; 제3 단자수단; 및 몸체수단; 을 포함하여, 3상 전기장치의 동일 라인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자에 배선할 수 있고, 배선라인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 바를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어 비용 소모를 줄이며, 쇼트 바가 배선된 장치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대용 쇼트 바{SHORT BAR FOR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단자대용 쇼트 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상 전기장치의 동일 라인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자에 배선할 수 있고, 배선라인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 바를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어 비용 소모를 줄이며, 쇼트 바가 배선된 장치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단자대용 쇼트 바에 관한 것이다.
단자대(Terminal Block, Terminal Strip)는 도체의 접속이나 분기를 목적으로 설치하며 여러개의 단자를 나열하여 고정한 기구로, 이러한 단자대의 동일한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쇼트 바(Shot Bar)를 사용한다.
쇼트 바는 커먼 바(Common Bar)라고도 불리우는데, 종래의 쇼트 바는 피복된 와이어의 양쪽말단에 각각 단자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쇼트 바의 단자를 단자대 동일 라인의 여러 단자 중 두 개의 단자에 배선하는 식으로 작업하여 단자대의 단자 개수에 따라 다수의 쇼트 바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쇼트 바는 와이어에 의해 배선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단자대에 쇼트 바가 다수 배선되는 경우 서로 엉켜 있어서 보기에 좋지 않아 제품의 이미지가 나빠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단자대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자를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단자대의 단자에 대응되는 개수의 단자가 형성된 쇼트 바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쇼트 바는 모든 단자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단지 단자대의 여러 단자를 쇼트시켜 사용하는데 적합할 뿐 3상의 전기장치, 예를 들어 회로보호기와 같은 장치에 배선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단자대용 쇼트 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270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상 전기장치의 동일 라인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자에 배선할 수 있는 단자대용 쇼트 바를 제공함에 있다.
또, 배선라인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단자대용 쇼트 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쇼트 바를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어 비용 소모를 줄이며, 쇼트 바가 배선된 장치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단자대용 쇼트 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1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수단;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연결대와, 상기 제2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2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수단;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연결대와, 상기 제3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3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3 단자수단; 및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대, 상기 제2 연결대, 상기 제3 연결대가 배치되는 몸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쇼트 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나란히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다수 배열되는 3상 전기장치의 R, S, T상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수단은 제1 연결대, 제2 연결대 및 제3 연결대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전기장치의 동일 라인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자에 배선할 수 있는 단자대용 쇼트 바가 제공된다.
또한, 배선라인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또한, 쇼트 바를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어 비용 소모를 줄이며, 쇼트 바가 배선된 장치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결합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자대용 쇼트 바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자대용 쇼트 바의 내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결합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자대용 쇼트 바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자대용 쇼트 바의 내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크게 제1 단자수단(10)과 제2 단자수단(20), 제3 단자수단(30) 및 몸체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단자수단(10)은 제1 연결대(12)와, 제1 연결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1 단자(14)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제1 연결대(12)는 막대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14)는 제1 연결대(12)로부터 돌출되어 단자대의 단자와 배선되는 부분이 집게 형상을 갖는다.
제2 단자수단(20)은 제1 연결대(12)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연결대(22)와, 제2 연결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2 단자(24)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단자수단(20)은 전술한 제1 단자수단(10)과 동일하게 구성되나 제2 단자(24)가 제1 단자수단(10)의 제1 단자(14)와 겹치지 않는 위치, 즉 도 2나 도 3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가 서로 떨어져 배열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3 단자수단(30)은 제1 및 제2 연결대(22)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연결대(32)와, 제3 연결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3 단자(34)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제3 단자수단(30) 역시 제1 단자수단(10)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만 도 2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자수단(30)의 제3 단자(34)가 제1 단자수단(10)의 제1 단자(14)나 제2 단자수단(20)의 제2 단자(24)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단자수단(10), 제2 단자수단(20), 제3 단자수단(30)은 금속, 예를 들어 황동(Brass) 재질에 니켈도금(Nickel Plating)을 한 금속 등 다양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몸체수단(40)은 내측에 제1 연결대(12)와 제2 연결대(22), 제3 연결대(32)가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제1 연결대(12)에 형성된 제1 단자(14)와 제2 연결대(22)에 형성된 제2 단자(24), 제3 연결대(32)에 형성된 제3 단자(34)는 몸체수단(4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몸체수단(40)은 외부 접촉에 의한 쇼트 또는 감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 재질, 예를 들어 나일론계 플라스틱인 폴리아미드(PA66)나 염화비닐수지(PVC)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이한 배선작업을 위해 흑색이나 적색, 청색, 황색 등의 색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단자수단(10)의 제1 단자(14)와 제2 단자수단(20)의 제2 단자(24), 그리고 제3 단자수단(30)의 제3 단자(34)는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이 외에 도 4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단자수단(10)의 제1 연결대(12)와 제2 단자수단(20)의 제2 연결대(22), 그리고 제3 단자수단(30)의 제3 연결대(32) 또한 서로 전기적 연결 및/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약 1~3mm 정도 떨어지도록 하여 평행하게 배치한다.
또한 몸체수단(4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연결대, 제2 연결대 및 제3 연결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절연 재질로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몸체수단(4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단자(14), 제2 단자(24), 제3 단자(34)가 도 3과 같이 몸체수단(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번 배열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단자대 동일 라인의 여러 단자에 배선되는 것으로, 단자대의 단자들이 동일선 즉, 수평선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므로 단자대용 쇼트 바(100)의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 역시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어 구성되며, 또한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가 몸체수단(4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도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에, 도 4와 같이 제1 단자수단(10)의 제1 연결대(12)와 제2 단자수단(20)의 제2 연결대(22), 제3 단자수단(30)의 제3 연결대(32)가 서로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가 동일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면서 몸체수단(4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하기 위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단자수단(10)으로부터 도면상 중앙에 위치하는 제2 단자수단(20), 그리고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제3 단자수단(30)으로 갈수록 각각의 연결대(12, 24, 34)로부터 각각의 단자(14, 24, 34) 사이 부분의 꺾여지는 각도가 심해지게 된다.
물론,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가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가 제1 단자수단(10)에 가까운 부분에서 몸체수단(4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며,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가 몸체수단(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 따라 해당 부분의 꺾여지는 각도나 방향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몸체수단(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다수 배열되는 3상 전기장치, 예를 들어 둘 이상의 회로보호기(Circuit Protector; CP)에 배선된다.
즉, 단자대용 쇼트 바(100)에 마련되는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는 각각 회로보호기의 R상이나 S상, T상에 배선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도면상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제1 단자(14) 중 어느 하나를 회로보호기의 R상에 배선한 상태에서, 실수 등의 이유로 도면상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1 단자(14) 중 다른 하나를 회로보호기의 S상이나 T상에 배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단자(14)와 제2 단자(24), 제3 단자(34)를 서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단자(14, 24, 34)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제1 단자(14)의 경우 집게 형상 중 도면상 집게 좌측의 크기를 집게 우측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제2 단자(24)의 경우 집게 형상을 모두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제3 단자(34)의 경우 제1 단자(14)와는 반대로 도면상 집게 좌측의 크기가 집게 우측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도 5와 같이 3상의 전기장치, 예를 들어 회로보호기에서 단자대(200)의 동일한 라인을 연결하도록 단자대(200)에 배선되게 된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와 거의 유사하며, 다만 제1 내지 제3 단자(14, 24, 34)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2대의 3상의 전기장치, 즉 회로보호기에 배선하게 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3대의 회로보호기에 배선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단자(14, 24, 34)가 각각 3개씩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의 경우 제1 내지 제3 단자(14, 24, 34)가 각각 4개씩 형성되어 4대의 회로보호기에 배선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자대용 쇼트 바(100)는 배선하고자 하는 회로보호기의 대수 등에 따라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를 혼합, 예를 들어 회로보호기를 5대 사용할 경우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쇼트 바(100)를 1개씩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제1 단자수단 12: 제1 연결대
14: 제1 단자 20: 제2 단자수단
22: 제2 연결대 24: 제2 단자
30: 제3 단자수단 32: 제3 연결대
34: 제3 단자 40: 몸체수단
100: 단자대용 쇼트 바 200: 단자대

Claims (5)

  1. 3상 전기장치에 배선되는 단자대용 쇼트 바에 있어서,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1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수단;
    상기 제1 연결대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연결대와, 상기 제2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2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수단;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로부터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연결대와, 상기 제3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제3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3 단자수단; 및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대, 상기 제2 연결대, 상기 제3 연결대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몸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번 배열되고,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의 각각은 집게 형상이며, 상기 제1 단자의 집게 형상은 좌측 집게의 크기가 우측 집게의 크기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단자의 집게 형상은 좌우 집게가 같은 크기이며, 상기 제3 단자의 집게 형상은 좌측 집게의 크기가 우측 집게의 크기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쇼트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나란히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쇼트 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몸체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다수 배열되는 3상 전기장치의 R, S, T상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쇼트 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은 제1 연결대, 제2 연결대 및 제3 연결대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쇼트 바.


  5. 삭제
KR1020160050151A 2016-04-25 2016-04-25 단자대용 쇼트 바 KR10169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51A KR101693030B1 (ko) 2016-04-25 2016-04-25 단자대용 쇼트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51A KR101693030B1 (ko) 2016-04-25 2016-04-25 단자대용 쇼트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030B1 true KR101693030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151A KR101693030B1 (ko) 2016-04-25 2016-04-25 단자대용 쇼트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0805A1 (ja) * 2021-03-08 2022-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短絡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01Y1 (ko) 1997-04-01 1999-07-15 오석춘 단자대 쇼트바
JP2007209057A (ja) * 2006-01-31 2007-08-16 Toyo Giken Kk 短絡板
JP2009110868A (ja) * 2007-10-31 2009-05-21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短絡板
JP2011159404A (ja) * 2010-01-29 2011-08-18 Nikkiso Co Ltd 端子台の端子を短絡するための短絡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01Y1 (ko) 1997-04-01 1999-07-15 오석춘 단자대 쇼트바
JP2007209057A (ja) * 2006-01-31 2007-08-16 Toyo Giken Kk 短絡板
JP2009110868A (ja) * 2007-10-31 2009-05-21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短絡板
JP2011159404A (ja) * 2010-01-29 2011-08-18 Nikkiso Co Ltd 端子台の端子を短絡するための短絡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0805A1 (ja) * 2021-03-08 2022-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短絡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928B2 (en) Expanding space saving power strip
US20110308857A1 (en) Insulated multi-wire electrical connector
EA201890580A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ядовая клемма
AT279705B (de) Zange zum Verpressen von Kabelschuhen, Kabelverbindern od.dgl. mit elektrischen Leitern, insbesondere isoliertem Litzendraht
KR101693030B1 (ko) 단자대용 쇼트 바
US2585770A (en) Polarized power take-off for bus duct systems
EA201791842A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ядовая клемма
US2955147A (en) Bus duct
MX2017008910A (es) Sistema electrico, aparato disyuntor y conjunto de proteccion para los mismos.
RU2014104510A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диагности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сложных 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GB2084811A (en) Electrical connecting cable
RU2015136597A (ru) Узел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зъема
CN104184008B (zh) 短接端子和短接端子排
MX2017010781A (es) Alambre electrico con particulas conductoras.
RU2016137745A (ru) Штекерный блок
JP6408714B2 (ja) バスバーを有する端子デバイス
US3510824A (en) Wiring chain of indefinite length
US2727086A (en) Solderless electrical wiring connector
RU2018130007A (ru) Отвод размещенной в корпусе сборной шины
GB2552999A (en) A connector device
US2086090A (en) Adjustable wire lug
KR101694442B1 (ko) 테스트 단자 장치
US1678467A (en) Connecting device
CN105429064A (zh) 绝缘线套
FR3042071B1 (fr) Bloc distributeur avec indicateur de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