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482Y1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482Y1
KR200152482Y1 KR2019970012459U KR19970012459U KR200152482Y1 KR 200152482 Y1 KR200152482 Y1 KR 200152482Y1 KR 2019970012459 U KR2019970012459 U KR 2019970012459U KR 19970012459 U KR19970012459 U KR 19970012459U KR 200152482 Y1 KR200152482 Y1 KR 200152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girder
lattice material
deck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842U (ko
Inventor
이문곤
Original Assignee
조세훈
해동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훈, 해동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세훈
Priority to KR2019970012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482Y1/ko
Priority to JP10000400A priority patent/JPH10196027A/ja
Publication of KR19980067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에서 보와 보사이에 가설한 후 상부로 콘크리트를 배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축조작업과 마감작업이 동시에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데크 패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철근(11)과 하부철근(12)상에 래티스재(15) 접합하여 구성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 설치하여된 데크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크거어더(10)는 상하부철근(11)(12)상에 단일의 래티스재(15)가 지그재그로 연장되는 지지부(16)(16')와 푸트(17)(17')가 좌우로 엇갈리게 대향되면서 접합되되 상기 지지부(16)(16')는 상하부철근(11)(12)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게 접합되어 이루어져 단일의 래티스재에 의한 재료절감과 부재상호간의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이 동시에 제공되므로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본 고안은 일반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slab) 구조물에서 보와 보사이에 가설한 후 상부로 콘크리트를 배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축조작업과 마감작업이 동시에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데크 패널(deck panel)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구조로서 이는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가설하고 이 거푸집상에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합판, 각재등으로 거푸집을 가설하고 이에 철근 등의 배근 작업을 수행하는 축조공사와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해체공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로인해 상당한 공기가 소요되게 된다.
특히 상기 구조물은 콘크리트 표면과 거푸집의 부착이 용이하여 거푸집의 해체작업시 이를 분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구조물 표면의 불량발생으로 별도의 표면마감공사가 요구되고 또한 내구력이 약한 재질의 상기 거푸집을 해체작업시의 손상으로 재사용이 곤란하게 되어 다량의 폐자재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한 개선방안의 하나로서 상기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 즉 콘크리트의 외면형성에 사용했던 구조물을 그대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는 데크플레이트를 보사이에 걸치는 것만으로 그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가설 및 해체의 불필요, 하부의 굴곡에 전기, 공고설비 등의 배선 및 배관의 설치용이, 별도의 마감공사 불필요,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별도의 안전망 설치 불필요 등에 의해 그 전체적인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최근 대형 빌딩의 슬래브(slab) 바닥의 축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법은 종래기술에 비해 단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공사가 불필요할뿐 평할명인 데크플레이트의 표면과 콘크리트간에 강한 정착을 위해 별도의 배근이 요구되어 부가적인 공수의 투입이 불가결할 뿐 아니라 배근과정이 일반적인 거푸집 공정에서와 다를바 없이 많은 공수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이러한 데크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배근구조에 따른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기술들이 다수개시되고 있는 바, 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철근(11)(12)(12')의 외측으로 경사연장되는 두래티스재(15)(15')를 대향 구비하여 구성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 구성하여서 데크패널을 이루게 되므로 데크패널을 보상에 설치한 뒤 망철근을 얹음으로써 그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콘크리트의 양생후 데크플레이트(20)이 그대로 마감재가 되어 슬래브 구조 축조의 공기단축(별도의 배근공정이 불필요)과 시공에 따른 원가절감을 이루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데크패널은 이를 구성하는 데크거어더(10)가 상부철근(11)과 복수의 하부철근(12)(12')을 지지하는 래티스재(15)(15')를 대향되게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래티스재(15)(15')의 과다소모에 따른 재료손실과 이를 용접하는 용접공수의 증가로 작업성이 떨어져 그 제작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데크거어더(10)의 대향된 래티스재(15)(15') 사이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콘크리트 주입시 골재의 유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철근(11)(12)의 사이에 래티스재(15)를 상하로 절곡하여 접합하되 상부절곡부(15a)는 상부철근(12) 하부에 접합하고 하 부절곡부(15b)는 하부철근 상부에 접합하여 구성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구성하여서 데크패널을 이루게 되므로 제1도의 데크패널과 비교하여볼때 래티스재의 재료절감 및 콘크리트 배설작업의 용이성이 제공되나 이는 상하부철근(11)(12) 사이에 래티스재(15)를 접합하는 작업이나, 상기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시 그 접합면적이 작아 접합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접합견고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데크거어더(10)는 이를 지지하는 보조래티스재(5)에 의해 접합설치해야 되므로 결국, 보조래티스재(5)에 의한 재료손실,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의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상에 데크거어더를 접합구성하되 상기 데크거어더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상에 단일의 래티스재를 좌,우로 지그재그 절곡한 형태로 접합하여 이루어져 래티스재의 재료절감과 동시에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이 우수하게 되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데크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종래의 데크패널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정면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 데크패널에 적용된 데크거어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데크패널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데크거어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크거어더 11,12 : 상,하부철근
15 : 래티스재 16,16' : 지지부
17,17' : 푸트 20 : 데크플레이트
24 : 비드부
다음은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철근콘크리트슬래브용 데크패널은, 데크플레이트(20)상에 데크거어더(10)가 결합구성되는바, 상기 데크거어더(10)는 상부철근(11)과 하부철근(12)상에 단일의 래티스재(15)가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지지부(16)(16')와 푸트(17)(17')가 좌,우로 엇갈리게 대향되면서 접합되되 상기 지지부(16)(16')는 상하부철근(11)(12)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게 접합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푸트(17)(17')는 하부철근(14)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이에 대향측방향으로 절곡되게 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2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골(21)과 산(22)을 연이어 형성하며 이루어져 상기골(21)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비드부(24)에 데크거어더(10)가 접합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20)는 두 인접하는 골(21)(21)의 저면간에 길이방향으로 수납판(25)을 고정설치하여 그 사이로 내부에 각종 배관을 설치하는 배관공간(25')을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크거어더(10)의 푸트(17)(17')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합면적을 크게하기 위해 절곡부(17a)를 형성하며 이 절곡부(17a)가 데크플레이트(20)의 접합부위에 형성된 비드부(24)를 감싸는 형태로 접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제5도에서는 상기 데크플레이트(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차를 갖는 단차부(26)와 비드부(24)를 형성하여 상기 비드부(24)에 데크거어더(10)의 푸트(17)(17')가 접합구성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30,31는 인접하는 데크플레이트(20) 상호간을 연결하는 랩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데크패널은, 상기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거어더(10)가 상,하부철근(11)(12)상에 단일의 래티스재(15)를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접합하되 지지부(12a)(12a')가 상하부철근(13)(14)을 감싸는 형태로 좌,우측에서 접합되어 상하부철근(11)(12)과 래티스재(15)간의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과 이에 따른 용접견고성이 우수하게 됨과 단일의 래티스재(15)의 사용에 따른 재료절감을 동시에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시 푸트(17)(17')에 의해 데크플레이트(20)의 용접부위에 형성된 비이드(24)상에 용접하게 되므로 데크거어더(10)와 데크플레이트(20)간의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과 이에따른 용접견고성이 우수하게 되므로 제2도의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볼 때 보조래티스재(5)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데크거어더(10)의 푸트(17)(17')는 제5도에서와 같이 절곡부(17a)를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20)의 비이드(24)를 감싸는 형태로 접합하게 하므로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데크거어더(10)를 견고한 상태로 접합한 데크플레이트(20)를 건축물의 보사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망철근을 설치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므로 슬래브를 축조하게 되는데 상기 견고상 접합상태를 갖는 데크거어더(10)와 데크플레이트(20)에 의해 그 작업을 우수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데크패널은 데크거어더가 상,하부철근상에 단일의 래티스재로 접합형성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래티스재의 재료를 절감하게 됨과 동시에 상,하부철근과 래티스재의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이 제공되고 또한 상기 데크거어더와 데크플레이트간의 접합면적확보에 따른 용접작업성 및 용접견고성이 제공되어 재료절감, 견고성, 용접작업성을 동시에 구현하게 되므로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철근(11)과 하부철근(12)상에 래티스재(15)를 접합하여 구성된 데크거어더(10)를 데크플레이트(20)상에 접합설치하여 된 데크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크거어더(10)는 상하부철근(11)(12)상에 단일의 래티스재(15)가 지그재그로 연장되는 지지부(16)(16')와 푸트(17)(17')가 좌우로 엇갈리게 대향되면서 접합되되 상기 지지부(16)(16')는 상하부철근(11)(12)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거어더(10)는 그 푸트(17)(17')에 절곡부(17a)을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20)의 접합부위에 형성된 비드부(24)를 감싸는 형태로 상호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은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2019970012459U 1997-05-29 1997-05-29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KR200152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459U KR200152482Y1 (ko) 1997-05-29 1997-05-29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JP10000400A JPH10196027A (ja) 1997-05-29 1998-01-05 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デッキパネ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459U KR200152482Y1 (ko) 1997-05-29 1997-05-29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42U KR19980067842U (ko) 1998-12-05
KR200152482Y1 true KR200152482Y1 (ko) 1999-07-15

Family

ID=1950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459U KR200152482Y1 (ko) 1997-05-29 1997-05-29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96027A (ko)
KR (1) KR2001524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30B1 (ko) * 2000-09-16 2003-03-26 유한회사 가가건설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20030031716A (ko) * 2001-10-16 2003-04-23 인텔철강(주) 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729279B1 (ko) * 2006-07-04 2007-06-15 이창남 입체 나선형 사재 평면트러스
JP7427231B2 (ja) * 2020-01-31 2024-02-05 株式会社クギン 鉄筋トラス及びデッキ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96027A (ja) 1998-07-28
KR19980067842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480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KR100646666B1 (ko) 슬림플로어를 위한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구조
KR100927344B1 (ko)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KR100646661B1 (ko) 슬림플로어를 위한 변형단면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슬림플로어 구조
JPH0424306A (ja) プレハブ床版の設置工法
KR20010005431A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200152482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JPH0919543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建物の補強構造
KR200317407Y1 (ko) 트러스데크 패널
KR100461000B1 (ko)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합성빔의 종방향 연결시공방법
KR200323006Y1 (ko)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20015248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KR200210971Y1 (ko) 건축용 데크패널
KR200186307Y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20060066285A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JPH0248497Y2 (ko)
KR20029695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KR0178690B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어더 및 데크 패널
KR200305991Y1 (ko) 건축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패널
KR20020041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CN219863582U (zh) 装配式自承力预应力叠承板
CN219196452U (zh) 装配式自承力预应力板
JP2707966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梁側型枠とする床工法
KR20020016727A (ko) 건축용 데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08

Effective date: 200209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