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355Y1 -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 Google Patents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355Y1
KR200152355Y1 KR2019960026319U KR19960026319U KR200152355Y1 KR 200152355 Y1 KR200152355 Y1 KR 200152355Y1 KR 2019960026319 U KR2019960026319 U KR 2019960026319U KR 19960026319 U KR19960026319 U KR 19960026319U KR 200152355 Y1 KR200152355 Y1 KR 200152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receiving
control signal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739U (ko
Inventor
임지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26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3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수신소자(1)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벽부(3)와 상기 원통벽부(3)를 둘러싸고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 1, 2원통벽부(5, 7)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가 리모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투명판(9)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11)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환형의 고리판(13)이 돌출되어 있는 버튼(15)과, 상기 제 1, 2 원통벽부(5, 7)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몸체부(17)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7)에 대해 일측방향으로 직각절곡되어 있는 전원단자(19)가 구비된 전원단자부(21) 및,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가 수용되는 리이드수용단자부(23)가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의 양측으로 상기 전원단자(19)가 수용되는 전원단자수용부(25)가 형성된 수용판(27)으로 이루어져, 전원 스위칭 기능과 리모콘 신호 수신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전기기의 전면에 실장될 외장물의 설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A structure for switching an electric power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signal)
본 고안은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함으로써, 전원 스위칭 기능과 리모콘 신호 수신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 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등의 각종 가전기기에는 가전기기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갖추고 있는 바, 사용자는 상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소정의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다가가서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야함에 따라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이 개발 사용되어져 왔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리모콘에서 출력된 원격 제어 신호가 가전기기의 리모콘수신부에 수신되고, 이 리모콘수신부에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가전기기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가전기기(50)의 전면 하부에는 가전기기의 전원 스위칭 조작 버튼(51)을 비롯하여 가전기기(5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조작 버튼(52)들과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수신부(53)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가전기기의 기능이 다양화해짐에 따라 이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각종 기능조작버튼도 늘어나게 되어, 상기 버튼(51, 52)들과 리모콘수신부(53)등과 같은 외장물이 가전기기의 제한된 면적에 고루 실장되는 데에는 디자인 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전면에서 리모콘수신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 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수신소자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벽부와 상기 원통벽부를 둘러싸고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 1, 2원통벽부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수신소자가 리모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투명판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환형의 고리판이 돌출되어 있는 버튼과, 상기 제 1, 2 원통벽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일측방향으로 직각절곡되어 있는 전원단자가 구비된 전원단자부 및, 상기 리모콘수신소자의 리이드가 수용되는 리이드수용단자부가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의 양측으로 상기 전원단자가 수용되는 전원단자수용부가 형성된 수용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버튼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거나 리모콘 신호의 수신 가능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라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고, 리모콘신호가 수신 가능 상태에 있게 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라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고, 리모콘신호가 수신 가능 상태에 있게 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라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고, 리모콘신호가 수신 불능 상태에 있게 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가전기기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리모콘수신소자 3-원통벽부
5,7- 제 1,2 원통벽부 9-투명판
11-몸체 13-고리판
15-버튼 17-몸체부
19-전원단자 21-전원단자부
23-리이드수용단자부 25-전원단자수용부
27-수용판 31-원통리브
33-버튼덮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수신소자(1)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벽부(3)와 상기 원통벽부(3)를 둘러싸고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 1, 2원통벽부(5, 7)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가 리모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투명판(9)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11)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환형의 고리판(13)이 돌출되어 있는 버튼(15)과, 상기 제 1, 2 원통벽부(5, 7)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몸체부(17)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7)에 대해 일측방향으로 직각절곡되어 있는 전원단자(19)가 구비된 전원단자부(21) 및,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가 수용되는 리이드수용단자부(23)가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의 양측으로 상기 전원단자(19)가 수용되는 전원단자수용부(25)가 형성된 수용판(2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버튼(15)의 선단은 가전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29)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몸체(11)는 가전기기의 전면 내측부에 상기 관통구멍(29)의 중심을 동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리브(31)의 내측공간에서 좌우이동가능하게 끼워진 후, 상기 버튼(15)이 상기 원통리브(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환형의 버튼덮개(33)가 상기 원통리브(31)의 양측에 형성된 단형보스(35)에 스크류(37)를 매개로 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판(27)은 상기 단형보스(35)의 양측에 형성된 장형보스(39)에 스크류(41)를 매개로 하여 체결된다. 이때,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와 상기 전원단자(19)는 상기 수용판(27)의 리이드수용단자부(23)와 전원단자수용부(25)에 각각 끼워지거나 끼워질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의 선단에는 상기 리이드(1a)가 끼워진 후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서로 대향하며 오목하게 휘어진 한쌍의 접촉편(23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전원단자수용부(25)에는 일측면에 오목홈(25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상기 전원단자(19)가 접촉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판(25b)이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와 상기 전도판(25b)은 각각 전선(43, 45)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에 상기 리이드(1a)가 끼워지거나 상기 전도판(25b)에 상기 전원단자(19)가 접촉되면 각각 전류가 흐르는 폐회로가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원 스위칭 및 리모콘신호 수신의 작동을 도 2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상기 버튼(15)을 눌러 상기 고리판(13)이 상기 버튼덮개(33)의 내측면에 닿을 때 까지 민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단자(19)의 선단에 오목하게 구부러져 형성된 단자편(19a)은 상기 오목홈(25a)에 수용되어 상기 전도판(25b)과 분리된 상태에 있는 한편,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는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에 접촉된 상태에 있어, 전원스위칭을 오프 동작 상태에 있게 하고, 리모콘신호는 수신 가능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상기한 도 2a의 상태에서 상기 버튼(15)을 반 쯤 당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단자(19)의 단자편(19a)은 상기 전도판(25b)과 접촉된 상태에 있고, 상기 리모콘 수신소자(1)의 리이드(1a)도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에 접촉된 상태에 있어, 전원스위칭을 온 동작 상태에 있게 하고, 리모콘신호는 수신 가능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c는 상기한 도 2b의 상태에서 상기 버튼(15)을 완전히 당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단자(19)의 단자편(19a)은 상기 전도판(25b)에 접촉된 상태에 있는 한편,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는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 전원스위칭을 온 동작 상태에 있게 하고, 리모콘신호는 수신 불능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버튼(15)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거나 리모콘 신호의 수신 가능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에 의하면,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전면에서 리모콘수신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전원스위칭은 온 동작 상태에 있게 하고, 리모콘 신호는 수신 불능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가 장난으로 리모콘 조작을 하더라도, 물리적으로 가전기기가 리모콘 수신을 받지 못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수신소자(1)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벽부(3)와 상기 원통벽부(3)를 둘러싸고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 1, 2원통벽부(5, 7)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가 리모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투명판(9)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11)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환형의 고리판(13)이 돌출되어 있는 버튼(15)과, 상기 제 1, 2 원통벽부(5, 7)의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의 몸체부(17)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7)에 대해 일측방향으로 직각절곡되어 있는 전원단자(19)가 구비된 전원단자부(21) 및, 상기 리모콘수신소자(1)의 리이드(1a)가 수용되는 리이드수용단자부(23)가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의 양측으로 상기 전원단자(19)가 수용되는 전원단자수용부(25)가 형성된 수용판(27)으로 이루어진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수용단자부(23)의 선단에 상기 리이드(1a)가 끼워진 후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서로 대향하며 오목하게 휘어진 한쌍의 접촉편(2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수용부(25)의 일측면에 오목홈(25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상기 전원단자(19)가 접촉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판(25b)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KR2019960026319U 1996-08-28 1996-08-28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KR200152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319U KR200152355Y1 (ko) 1996-08-28 1996-08-28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319U KR200152355Y1 (ko) 1996-08-28 1996-08-28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739U KR19980012739U (ko) 1998-06-05
KR200152355Y1 true KR200152355Y1 (ko) 1999-07-15

Family

ID=1946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319U KR200152355Y1 (ko) 1996-08-28 1996-08-28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739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4799A1 (en) Switch/volume control assembly
KR200152355Y1 (ko) 리모콘신호 수신 겸용 전원 스위칭 구조
US5957272A (en) Push button for control panels
KR100652733B1 (ko) 키기능을 갖는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A2457929A1 (en) Intelligent line switch
KR200188883Y1 (ko)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스위치
KR200231567Y1 (ko) 회전식 스위치 플러그
JP3144940B2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CN212570787U (zh) 智能开关
KR100191171B1 (ko) 다기능버튼
JP4448969B2 (ja) ボタンスイッチ
CN218830912U (zh) 手控器及具有其的电动沙发椅
KR200268857Y1 (ko) 적외선 리모콘으로 제어하는 멀티콘센트 장치
JPH07302651A (ja) コンセント
KR930002678Y1 (ko) 버튼이 달린 도어
JP2001118469A (ja) 操作装置
KR200258586Y1 (ko) 다기능 리모콘
KR200189076Y1 (ko) 전원제어가 용이한 멀티콘센트
KR0140962B1 (ko) 다기능 리모콘의 복합키 장치
JPH0517490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コンセント装置
KR0126177Y1 (ko) Tv 전원 버튼의 스프링 장착구조
KR200192636Y1 (ko) 콘센트
KR200353012Y1 (ko) 전자렌지의이중스위치구조
KR960001309Y1 (ko) 콘센트용 전원차단장치
JPH04506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