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803Y1 - 탄두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탄두 고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1803Y1 KR200151803Y1 KR2019970008199U KR19970008199U KR200151803Y1 KR 200151803 Y1 KR200151803 Y1 KR 200151803Y1 KR 2019970008199 U KR2019970008199 U KR 2019970008199U KR 19970008199 U KR19970008199 U KR 19970008199U KR 200151803 Y1 KR200151803 Y1 KR 2001518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rhead
- support
- pin
- adjustment lever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6—Packages or containers for a plurality of ammunition, e.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탄두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탄두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탄두를 지지하는 다수의 탄두지지대와, 상기 탄두 지지대를 장착하며 탄두의 하면을 지지하고 탄두의 이동을 유도하는 탄두안내대와, 상기 다수의 탄두지지대를 일체로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두지지대 연결축과, 상기 탄두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탄두 지지대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채용함으로써, 급제동 및 긴급 상황시에 발생되는 포탄의 상하요동과, 좌우 흔들림 및 전방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탄 적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두를 고정하여 급제동 및 긴급상황시 발생되는 포탄의 상하 요동과, 좌우 흔들림 및 전방이동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탄두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투장비로서 사용되는 자주포는 각종 포탄을 적재한 상태로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한 후 신속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전투 지원을 위해 운행되는 포탄 적재 차량은 다수의 포탄을 적재하고 전투지역을 운행한다. 이러한 전투용 차량에 적재되는 포탄등은 항상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승무원이 이를 취급함에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포탄 적치 장치 자체가 승무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전투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적치 장치에 구비된 기구의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하며, 승무원의 기구 조작에 최대한의 편의성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전투용 차량에 적용된 포탄 적치 장치는 차량이 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포탄을 보호하기 위한 포탄 고정 기구와, 포탄 추출 위치로 포탄을 이송하기 위한 포탄 이송 기구와, 승무원 및 자동 송탄 장치가 포탄을 집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포탄 추출 기구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포탄 적치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포탄 적치 장치(10)는 수직의 칼럼(11)에 전후방 프레임(12')(12)을 평면상으로 연결하고, 다시 평면 프레임을 한층 이상 적층시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전후방 프레임(12')(12)을 두 개층으로 적층함으로써, 3개의 선반형 공간이 형성되었다. 선반형 공간층에 1층과 2층 공간에는 포탄(16)이 고정 또는 이송되고, 3층에는 장약통(14)이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3 으로 지시된 것은 포탄이 구름운동을 발생시키는 롤러 체인 기구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탄 적치 장치의 일부를 분해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후방 프레임(12)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1)가 고정되며, 그 상부에는 포탄 안내 레일(22)이 배치된다. 상기 안내 레일(22)과 평행하게 탄두안내대(23)가 전후방 프레임(12)(12')의 상호 연결부 상부의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포탄의 원통형 몸체는 상기 안내 레일(22)위에 고정되거나 그 위를 굴러서 이동하며, 탄두는 탄두안내 지 지대(23)의 상부에서 안내된다. 추출기(24)는 추출기 레일(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여 포탄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전방 프레임(12')의 전면에는 포탄 이송용 롤러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 모타 조립체(25)가 설치되며, 포탄 고정 기구를 작동시키는 수동 핸들(26)이 설치된다.
도 4는 탄두안내대(23)에 안착된 탄두(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탄의 머리부분이라 할 수 있는 탄두(30)의 하면이 탄두안내대(23)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탄두안내대(23)는 금속 빔(beam)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만들어지며, 탄두(30)의 하면에 점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탄이 적치대내에 적치되고, 탄두(30)가 탄두안내대(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예컨대,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탄이 탄두안내대(23) 같은 고정된 구성품을 이탈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탄이 제자리를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자동 이송/적치의 기능저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강력한 충격, 예컨대, 자주포 몸체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충격시에는 탄의 이탈량이 커지고, 좌우방향으로 흔들림도 커져 탄두안내대를 포함한 구성품의 파손 및 수명단축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제동 및 긴급상황시에도 탄의 상하 요동과, 좌우 흔들림 및 전방이동을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탄두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포탄 적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포탄 적치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탄두안내대에 포탄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의 탄두안내대에 포탄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에 안착된 포탄의 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를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X-IX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탄두지지대 41...탄두지지대의 내주면
42...탄두고정나사 43...토션 스프링
44...볼트 46, 48...브라켓
30, 50...탄두 23, 60...탄두안내대
47...탄두지지대 연결축 71...탄두지지대 조정레버
72...하우징 72a...핀홀
73...레버조정핀 74...핀조정레버
75...압축코일 스프링 80...탄두지지대 해제블록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는 탄두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탄두를 지지하는 다수의 탄두지지대와, 상기 탄두지지대를 장착하며 탄두의 하면을 지지하고 탄두의 이동을 유도하는 탄두안내대와, 상기 다수의 탄두 지지대를 일체로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두지지대 연결축과, 상기 탄두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탄두지지대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탄두지지대는 탄두의 곡면과 탄두지지대간의 틈새가 발생되어 잠금, 해제시 접촉이 없도록 탄두의 곡면과 동일 형상의 반원형 내주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두지지대는 회전축에 삽입되어 탄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두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탄두의 소정부위 외주면을 지지하는 탄두고정나사를 더 구비하여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그 양단부가 탄두 지지대의 양측에 걸쳐져 탄성바이어스된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핀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핀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조정핀과, 상기 레버조정핀과 일체로 연결된 핀조정레버와, 상기 탄두지지대를 연결한 연결축과 결합되며 상기 레버조정핀의 착탈에 따라 탄두지지대의 운동을 제한하는 탄두지지대 조정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핀홀에 삽입된 해제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레버조정핀의 분리시 역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상기 탄두지지대 조정레버와 핀조정레버는 일시에 파지 가능하도록 근접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의 탄두지지대에 포탄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50)의 외주면이 그 내주면에 안착되어 탄두(50)를 지지하는 탄두지지대(40)를 구비한다. 상기 탄두 지지대(40)의 내주면은 탄두(50)의 곡면과 탄두지지대간의 틈새가 발생되어 잠금, 해제 운용시 접촉이 없도록 탄두의 곡면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두지지대(40)는 탄두 안내대(6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탄두지지대(40)의 하면은 탄두 안내대(60)의 상면에 결합된 브라켓(46)(48)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48)은 탄두안내대(60)와 볼트(44)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두안내대(60)의 일부는 탄두(50)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탄두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브라켓(46)(48)에 탄두 지지대 연결축(47)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46)(48)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된 연결축(47)에는 탄성부가 감싸고 있어 탄두(5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데, 상기 탄성부 예컨대, 토션스프링은 그 양단부가 탄두지지대(40)의 양측에 걸쳐져 탄성바이어스된다. 탄두(50)가 안착되는 탄두지지대(40)의 내측 양단부에 탄두고정나사(42)가 설치되어 탄두(50)의 소정부위 외주면을 지지하고 있다.
도 6은 탄두(50)와 탄두지지대(40)의 운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충격으로 인한 적치대의 진동으로 탄두(50)는 R1의 곡률을 가지고 탄두 전방의 상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두지지대는 그에 조립된 탄두고정나사(42)가 탄두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탄두지지대 연결축(47)을 중심으로 R2의 곡률을 가지고 반시계방향으로 운동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탄과 탄두지지대의 운동성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R곡률의 접점에서 상대적인 쐐기작용을 받아 포탄이 전방으로 이탈을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탄두지지대(4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채용한 탄두 고정 장치를 도 3 에 도시하였다. 이 제어부는 다수개의 탄두지지대(40)를 일시에 제어하여 복수개가 적치된 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제어부는 핀홀(72a, 도 10)이 형성된 하우징(72)을 구비하며, 이 핀홀에 레버조정핀(73)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72)은 탄두 안내대(60)상에 고정되는데, 탄두 지지대 연결축(47)을 감싸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레버조정핀(73)은 핀조정레버(74)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탄두지지대(40)를 연결하는 연결축(47, 도 5)에는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가 결합된다. 탄두 지지대 조정 레버(71)가 회동하면 연결축(47)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탄두지지대(40)도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조정핀(73)은 하우징(72)의 핀홀(72a, 도 10)내로 삽입됨으로써 연결축(47, 도 5)과 탄두지지대(40)의 회동 운동을 제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홀(72a)에 삽입된 레버조정핀(73)의 외주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75)이 설치되어 레버조정핀(73)이 핀홀(72a)로부터 이탈되면 역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와 핀조정레버(74)는 일시에 파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3의 VII-VII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인데, 탄두지지대 연결축(47)에 결합된 탄두지지대(40)를 나타내고 있다. 탄두지지대(40)의 하부에 형성된 부위를 연결축(47)이 관통하며 연결축(47)의 외주면에는 토션스프링(43)이 설치된다. 토션스프링(43)은 양쪽으로 구성되고, 양쪽의 토션스프링(43) 사이에는 해제블록(80)이 설치되어, 레버 조정 핀의 해제시 조정 레버(71) 및 연결축(47)과 연결된 상태로 탄두지지대(40)를 탄두지지상태에서 해제시킨다. 이 작동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탄두지지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잠금 및 해제에 따라 탄두지지대(40)와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잠금상태는 탄두지지대(40)가 지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부터 탄의 몸체 방향으로 15도 정도 회동된 상태(①)이며, 해제상태는 상기 탄두지지대(40)를 지면과 거의 수평에 가깝게 ②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이다.
상기한 탄두지지대(40)의 잠금 및 해제의 작동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와 레버조정핀(73)과 핀조정레버(74)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도 3의 IX-IX 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 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탄두안내대(60)에 결합된 하우징(72)내에는 핀홀(7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홀(72a)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레버조정핀(73)이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를 통과하여 설치된다. 상기 레버조정핀(73)은 핀홀(72a)에 삽입되어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를 잠금상태로 고정시킨다. 반면에 레버조정핀(73)이 핀홀(72a)로부터 분리되면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가 하우징(72)에 대하여 자유상태가 되기 때문에 지면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레버조정핀(73)은 압축코일 스프링(75)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하우징(72)의 핀홀(72a)에 삽입되어 있다. 그래서, 이 탄성력에 반하여 레버조정핀(73)을 끌어당겨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핀조정레버(74)가 담당하고 있다. 핀조정레버(74)는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와 힌지결합되며,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와 동시에 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탄두 지지대 조정레버(71)와 핀 조정 레버(74)를 일시에 파지하면 레버 조정핀(73)이 끌어당겨져 핀홀(72a)로부터 이탈되고,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탄두 지지대 조정 레버(71)를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켜서 핀조정레버(74)를 파지상태에서 떼면, 압축코일 스프링(75)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하여 하우징(72)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다른 핀홀(72b)에 삽입되어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가진 탄두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의 진동을 방지한다.
외부의 충격과 급정거시 발생되는 자주포 몸체의 진동으로 인해 탄두안내대(60)에 나란하게 적치된 탄이 요동을 하게 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탄두지지대(40)의 작동으로 진동이 상쇄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와 힌지결합된 핀조정레버(74)를 파지하면 레버조정핀(73)이 잠금 위치의 핀홀(72a)로부터 이탈되어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다음, 파지한 레버들(71)(74)을 떼어놓으면 레버 조정핀(73)은 핀홀(72b)에 삽입됨으로써 탄두지지대(40)가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탄두지지대(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 및 소정각도 예컨대, 15도의 각도로 탄두(50)의 몸체를 향하여 회전하게 되면 레버조정핀(73)은 하우징(72)의 핀홀(7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두지지대(40)는 탄두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3)의 작동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탄두지지대(40)의 내면에 얹혀지는 탄두(50)를 지지하게 된다. 자주포 몸체의 진동으로 탄두(50)는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며, 이를 저지하는 모멘트는 토션스프링(43)의 탄성력의 작용과 더불어 탄두지지대 연결축(4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함으로써 상호 쐐기작용에 의해 탄두(50)는 진동이 방지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둘째, 탄의 진동으로 야기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한다.
자주포 몸체의 진동으로 탄두안내대(60)에 안치된 탄두(50)가 상하로 요동을 하고, 좌우로 흔들리며,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된 부품들에 충격이 가해져 부품이 파손되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탄두 고정 장치는 탄두지지대(40)의 하부를 관통결합하여 복수의 탄두지지대(40)를 연결하는 탄두지지대 연결축(47)과, 브라켓(46)(48)사이에 설치되고 연결축(47)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탄성바이어스된 토션스프링(43)과, 상기 연결축(47)에 베어링 결합되며 핀홀(72a)이 형성된 하우징(72)과, 핀홀(7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조정핀(73)과, 이 레버조정핀(73)과 일체로 형성되어 착탈을 제어하는 핀조정레버(71)와, 이 핀조정레버(71)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축(47)과 결합된 탄두지지대 조정레버(71)를 구비함으로써, 자주포 몸체의 진동으로 인해 탄두(50)에 가해지는 진동을 상쇄시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탄의 진동으로 야기되는 충격력이 부품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종래에 비해 수명이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두 고정 장치는 탄두에 가해지는 진동을 상쇄하여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탄의 진동으로 야기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종래에 비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른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 포탄의 탄두에 대하여 점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탄두의 구름 운동을 안내하는 탄두 안내대와;상기 탄두 안내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두의 외주면이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다수의 탄두 지지대와;다수의 탄두 지지대가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두 지지대의 회전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탄두 지지대 연결축과;상기 탄두 외주면이 상기 탄두 지지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탄두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탄두 지지대 연결축에 대하여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탄두 고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두 지지대는 상기 탄두가 잠금 상태에 있는 동안 그 안에 삽입된 탄두와의 틈새를 확보하고, 그리고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에 이르는 동안 탄두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탄두의 곡면과 같은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고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탄두 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탄두의 소정 부위 외주면이 그에 대하여 안착되는 탄두고정나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고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지지대를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제어 가능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상기 탄두 지지대 연결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며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탄두 지지대 조정 레버와;상기 탄두 지지대 조정 레버에 대하여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핀 조정 레버와;상기 탄두 안내대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핀홀이 형성된 하우징과;상기 핀 조정 레버의 일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레버의 통공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의 핀홀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 레버 조정 핀과;상기 레버 조정 핀을 상기 하우징의 핀 홀에 탄성적으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핀 조정 레버와 상기 탄두 지지대 조정 레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고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탄두지지대 조정레버와 핀조정레버는 일시에 파지 가능하도록 근접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고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8199U KR200151803Y1 (ko) | 1997-04-18 | 1997-04-18 | 탄두 고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8199U KR200151803Y1 (ko) | 1997-04-18 | 1997-04-18 | 탄두 고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3658U KR19980063658U (ko) | 1998-11-25 |
KR200151803Y1 true KR200151803Y1 (ko) | 1999-07-15 |
Family
ID=1949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8199U KR200151803Y1 (ko) | 1997-04-18 | 1997-04-18 | 탄두 고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180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205B1 (ko) * | 2001-12-21 | 2008-01-29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포탄 홀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8666B1 (ko) * | 2001-03-22 | 2004-02-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대전차 미사일 적재 장치 |
-
1997
- 1997-04-18 KR KR2019970008199U patent/KR2001518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205B1 (ko) * | 2001-12-21 | 2008-01-29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포탄 홀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3658U (ko) | 1998-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44916B2 (en) | Modular weapon station system | |
EP1485668B1 (en) | Deployment mechanism for stowable fins in missiles | |
US9649903B2 (en) | Weapons platform, military vehicle comprising a weapons platfor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eapons platform | |
US11112202B2 (en) | Firearm securement system | |
US4391179A (en) | Combat vehicle | |
US4619181A (en) | Ammunition and magazine for an automatic loading arrangement | |
KR101930105B1 (ko) | 차량 상의 소형화기용 포지셔닝 구조물 | |
KR200151803Y1 (ko) | 탄두 고정 장치 | |
CN113237395B (zh) | 基于杠杆机构的固弹装置 | |
US4381693A (en) | Military equipment comprising a turret carrying an external large caliber gun | |
US9777976B2 (en) | Spent cartridges router | |
KR100591348B1 (ko) | 자주포 | |
US5095803A (en) | Armored turret having an auxiliary weapon | |
US5880395A (en) | Gun turret assembly for an armored vehicle | |
KR0136523Y1 (ko) | 탄이송장치 | |
EP0168735B1 (de) | Munitionshalterung für senkrechtstehende Hülsenmunition | |
JPS60501621A (ja) | 軽量軍用車両用砲塔装置 | |
US4735307A (en) | Projectile holder with extractor and locking assembly | |
US7059567B1 (en) | Small weapons shield for helicopters | |
KR20110112651A (ko) | 화기 거치 장치 | |
KR20210002513A (ko) | 자동 장전기 및 자동 장전기를 포함하는 차량 | |
JP2011247578A (ja) | 信管取り付け用の機構 | |
NO328174B1 (no) | Ammunisjonsmagasin | |
US5679917A (en) | Breech plug support mechanism | |
US20230003489A1 (en) | Movable protection device for military vehicles with a distance-active prot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