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572Y1 -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572Y1
KR200151572Y1 KR2019960041462U KR19960041462U KR200151572Y1 KR 200151572 Y1 KR200151572 Y1 KR 200151572Y1 KR 2019960041462 U KR2019960041462 U KR 2019960041462U KR 19960041462 U KR19960041462 U KR 19960041462U KR 200151572 Y1 KR200151572 Y1 KR 20015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ontact
alarm
rotating body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446U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2019960041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57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otating cutt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2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gea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필의 절삭 완료시에 이를 외부에 경보하기 위한 연필깎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회전동체(50)의 연필 제지턱(53)에는 접지용 접점(101)을 부착하고, 연필삽입구(23)의 외주연에는 양극용 접점(102)의 링접점(103)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링접점(103)과 접촉되는 양극용 접점(102)을 상기 회전동체(50)의 내주연(50A)에 부착하여 연필(30)이 다 깍여졌을 경우 연필심(30A)의 끝단부가 상기 양극용 접점(102)을 밀어 상기 양극 접점(102)이 접지용 접점(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접점(101),(102)에는 건전지(110)와 경보수단(120)을 직렬 연결하여 연필(30)이 다 깎여졌을 경우 상기 경보수단(120)에 의한 경보가 발생토록 한 것인데 여기에서 경보수단(120)은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램프나 청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 또는 음성IC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연필갈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본 고안은 연필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심의 절삭시에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연필심이 불필요하게 깎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필깎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래의 연필깎이(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는바, 연필을 깎기 위해서는 전면커버(10)를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잡아당겨 걸림쇠(12)의 걸림돌기(12A)가 본체(20)에 형성된 브라켓(21)에 걸리도록 한 뒤 전면커버(10)에 형성된 2개의 연필홀더(11)(제1도에는 1개만을 도시하였음)를 누른 뒤 연필(30)을 연필삽입구(13),(23)에 삽입하고 나서 전면커버(10)의 반대측에 있는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40)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동체(50)에 설치한 절삭날(51)의 기어(51A)가 링기어(52)의 내주연을 따라 회동되어 절삭날(51)이 회전되고 이때 절삭날(51)의 일부분이 걸림쇠(12)의 끝단부(12B)를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걸림쇠(12)의 걸림돌기(12A)가 브라켓(21)으로부터 이탈되어 전면커버(10)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제1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연필(30)은 절삭날(51)에 의해 절삭되는 것이고, 절삭된 연필 부스러기는 수집통(60)에 수거된다.
이러한 연필의 절삭시에 연필이 어느 정도 절삭되면(거의 절삭 완료되면), 연필심(30A)은 회전동체(50)의 제지턱(53)에 걸리게되고 이 경우 전면커버(10)를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밀어 넣지 않는 한 연필(30)은 더 이상 회전동체(50)를 향해 진행하지 않게 되고 이때 손잡이(40)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연필(30)은 더 이상 깎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필깎이에 있어서, 연필(30)이 다 깎였음에도 불구하고, 연필(30)을 연필삽입구(23)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필(30)을 강제적으로 밀어넣으면서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연필(30)은 계속적으로 깎이게 되므로 연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연필이 다 깎였을 경우 이를 시각적인 경보램프나, 청각적인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필이 불필요하게 깎여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필깎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연편깎이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 절삭완료 경보장치가 구비된 연필깎이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3 : 연필삽입구
30 : 연필 50 : 회전동체
50A : 회전동체의 내주연 51 : 절삭날
51A : 기어 52 : 링기어
101, 102 : 접점 103 : 링접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필삽입구가 형성되고 기어 및 절삭날을 설치하여 회동케 한 회전동체를 본체 내에 수납시킨 공지의 연필깎이에 있어서; 회전동체의 연필 제지턱에는 접지용 접점을 부착하고, 연필삽입구의 외주연에는 양극용 접점을 고정 설치하여 연필이 다 깎여졌을 경우 연필심의 끝단부가 양극용 접점을 밀어 양극 접점이 접지용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접점에는 건전지와 경보수단을 직렬 연결하여 연필이 다 깎여졌을 경우 경보수단에 의한 경보가 발생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경보수단은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램프나 청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나 음성IC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 절삭완료 경보장치가 구비된 연필깎이(100)의 작동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제2도에 있어서 제1도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동체(50)의 연필 제지턱(53)에는 접지용 접점(101)을 부착하고, 연필(30)의 끝단부와 접촉하는 회전동체(100)의 내주연(50A)에는 양극용 접점(102)을 고정설치하고, 이 양극용 접점(102)은 링접점(103)과 접촉하는데, 여기에서 링접점(103)은 연필삽입구(23)의 외주연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접점(101),(102)에는 본체(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건전지(110)와 경보수단(120)을 직렬 연결하여 연필이 다 깎여졌을 경우 경보수단(120)에 의한 경보가 발생토록 한다. 여기에서 접점(101)은 금속제의 회전동체(50)에 접지되도록 하고 건전지(110)로부터 나오는 결선(도시하지 않았음)을 전기적으로 회전동체(50)에 통상의 방식으로 접지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양극접점(102)은 회전동체(50)의 내주연에 가느다란홈을 내고 절연체(예컨대 플라스틱)내에 동판을 몰딩한 도선을 제2도와같이 설치함으로써 접지용 접점(101)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링접점(103)에는 경보수단(120)의 일측과 도선으로 연결하는데 경보수단(120)은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램프나 청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연필을 깎기 위해 전면커버(10)를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잡아당겨 걸림쇠(12)의 걸림돌기(12A)가 본체(20)에 형성된 브라켓(21)에 걸리도록 한 뒤 전면커버(10)에 형성된 2개의 연필홀더(11)를 누른 뒤 연필(30)을 연필삽입구(13),(23)에 삽입하고 나서 전면커버(10)의 반대측에 있는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40)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동체(53)에 설치한 절삭날(51)이 회전되고 이때 절삭날(51)의 일부분이 걸림쇠(12)의 끝단부(12B)를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걸림쇠(12)의 걸림돌기(12A)가 브라켓(21)으로부터 이탈되어 전면커버(10)가 제2도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연필(30)은 절삭날(51)에 의해 절삭되는데, 이러한 연필의 절삭시에 연필심(30A)이 양극접점(102)을 밀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접점(101)이 접점(102)과 연결되고 회전동체(53)의 회전시 양극접점(102)의 일측끝단부가 링접점(103)과 접속되어 경보수단(120)에는 건전지(110)에 의한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가 발생하게된다. 여기에서 경보수단(120)에 의한 경보의 상태는 예컨대 적색램프의 점등에 의한 시각적인 표시나, 스피커 또는 부저와 같은 청각적인 경보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필(30)이 다 깎여져서 연필심(30A)이 접점(102)을 밀어 이 접점(102)이 접점(101)과 접촉하게 되면 경보가 발생되므로 사용자는 연필이 다 깎여졌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연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필이 다 깎였을 경우 이를 시각적이나 청각적인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필이 불필요하게 깎여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경보수단은 멜로리나 소정의 음성(예컨대 연필이 다 깎였음!, 아야! 아야! , 그만 깎아!)을 발생하는 음성IC로 대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연필삽입부(23)가 형성되고 기어(51A) 및 절삭날(51)을 설치하여 회동케 한 회전동체(50)를 본체(20)내에 수납시킨 공지의 연필깎이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체(50)의 연필 제지턱(53)에는 접지용 접점(101)을 부착하고, 연필삽입구(23)의 외주연에는 양극용 접점(102)의 링접점(103)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링접점(103)과 접촉되는 양극용 접점(102)을 상기 회전동체(50)의 내주연(50A)에 부착하여 연필(30)이 다 깎여졌을 경우 연필심(30A)의 끝단부가 상기 양극용 접점(102)을 밀어 상기 양극 접점(102)이 접지용 접점(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접점(101), (102)에는 건전지(110)와 램프나 청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부저 또는 음성 IC로 된 경보수단(120)을 직렬 연결하여 연필(30)이 다 깎여졌을 경우 상기 경보수단(120)에 의한 경보가 발생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KR2019960041462U 1996-11-22 1996-11-22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KR20015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62U KR200151572Y1 (ko) 1996-11-22 1996-11-22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62U KR200151572Y1 (ko) 1996-11-22 1996-11-22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46U KR19980028446U (ko) 1998-08-05
KR200151572Y1 true KR200151572Y1 (ko) 1999-07-15

Family

ID=1947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462U KR200151572Y1 (ko) 1996-11-22 1996-11-22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5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87B1 (ko) * 2011-01-10 2013-04-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과학 완구용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4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7585B2 (ja) 電線端末部の防水処理構造
US4329612A (en) Brushholder
US4075523A (en) Plug-in brush cartridge
US4366403A (en) Brush assembly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tool
HUP9901959A2 (hu) Csatlakozó hegesztőpisztoly csatlakoztatásához
KR200151572Y1 (ko) 연필깍이의 절삭완료 경보장치
US20040221456A1 (en) [cable stripping and boring tool]
US5052453A (en) Structure of pencil sharpener
US5906515A (en) Conductive plug device
CN2112217U (zh) 保险电刷
US5824984A (en) Portable electric wire cutter
US1842471A (en) Electrically illuminated tool device
CA1142599A (en) Electrolysis hair removal apparatus
US4877924A (en) Electric wire connector with built-in stripper and strip gauge
WO2001050964A3 (en) Cutting and cauterizing surgical tools
JPH04208019A (ja) 帯状電線に対する導線露出穴加工具および加工方法
CN211516340U (zh) 自动松拉刀放电加工主轴
JPH076664Y2 (ja) 電線被覆剥取工具
US2128799A (en) Electrode holder
JP2782204B2 (ja) 充電式小型電気機器
CN217338814U (zh) 肝胆外科专用的弧形电刀
KR200433710Y1 (ko) 충전장치가 구비된 전동 연필깍기
JPH0218945Y2 (ko)
US4051360A (en) Lamp an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GB1577925A (en) Cord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