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461Y1 -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461Y1
KR200151461Y1 KR2019950037435U KR19950037435U KR200151461Y1 KR 200151461 Y1 KR200151461 Y1 KR 200151461Y1 KR 2019950037435 U KR2019950037435 U KR 2019950037435U KR 19950037435 U KR19950037435 U KR 19950037435U KR 200151461 Y1 KR200151461 Y1 KR 200151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ring gear
excavator
detect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003U (ko
Inventor
박맹로
Original Assignee
토니 헬삼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 헬삼,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 헬삼
Priority to KR2019950037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461Y1/ko
Publication of KR970025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인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개량된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센서취부구조는, 굴삭기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며 선회링기어를 포함한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는 센서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회링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숫자를 카운트함에 의해 상기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를 상기 굴삭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제1도는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가 적용된 굴삭기의 작업장치 제어계통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회각 검출용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선회링기어
21a,21b,21c : 선회각 검출센서 및 선회방향 검출센서-제1,제2 및 제3감지부
22,24 : 선회링기어 고정용 고정볼트 23 : 센서고정용 브라켓
본 고안은 무인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개량된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용 중장비의 작업장치와 선회장치 등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의 내구성 판단기준은, 이들을 설계, 제작한 후, 보통 연구실 규모에서의 모의시험 또는 실차상태로 시험한 결과에 의존하여 왔다.
본원인은 본출원과 동일자로 특허출원 제95-45112호에 의해 무인자동제어에 의한 건설용 중장비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특허출원 제95-45112호에 의한 기술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움(3), 아암(4), 버킷(5) 등의 작업장치와 선회링기어(6)를 포함한 선회장치, 운전자에 의해 전술한 작업장치의 작업지령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소정의 신호압을 발생시키는 리모트콘트롤밸브(8)와, 이 리모트콘트롤밸브(8)와 파일럿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전술한 작업지령에 따라 제어됨에 의해 유압펌프로부터 전술한 작업장치의 유압엑츄에이터로의 유압력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밸브(7)를 구비한 건설용 중장비에 적용되어, 전술한 작업장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한 컴퓨터(9)와, 이 컴퓨터(9)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제어되며 소정의 신호압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10) 및 리모트콘트롤밸브(8)와 메인콘트롤밸브(7) 사이의 전술한 파일럿라인 중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10)로부터 발생된 신호압을 메인콘트롤밸브(7)로 보내 리모트콘트롤밸브(8)가 제어되도록 하는 셔틀밸브(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무인자동제어에 의한 내구성 시험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컴퓨터의 제어프로그램에 내장된 선회장치의 목표값(즉, 선회링기어의 선회각 변위 목표치)과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실측값(즉, 선회링기어의 현재 선회각 변위)을 비교하여 이를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선회장치의 선회각이 반드시 검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선회링기어 등의 회전부위에 각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야 했다.
종래의 이러한 센서 취부구조는 내구성이 취약하여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게 되고 전 선회범위에 걸쳐 센싱부위를 구성하여야 했으므로 원가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가가 절감되고 내구성이 크게 증진될 수 있는 개량된 센서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굴삭기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며 선회링기어를 포함한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는 센서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회링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숫자를 카운트함에 의해 상기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를 상기 굴삭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된 제2 및 제3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및 제3감지부가 상기 고정볼트를 검출하는 순차에 따라 선회방향을 검출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회장치 선회각 검출센서(21)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굴삭기의 선회링기어(6) 부위(A)에 설치된다. 이 선회각 검출센서(21a-제1감지부)는 선회링기어(6)를 고정하기 위해 선회링기어(6)의 외주연을 따라 장착된 고정볼트(22)의 숫자를 카운트함에 의해 선회링기어(6)의 선회각변위를 검출한다. 즉, 예를 들어, 제2도에 계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선회링기어(6)에는 선회링기어(6)를 고정하기 위해 선회링기어(6)의 외주연을 따라 9°간격으로 40개의 고정볼트(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술한 선회각 검출센서(21a)가 10개의 고정볼트의 숫자를 카운트하였다면 선회장치의 선회각은 90°가 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선회각 검출센서(21a)에 의해 선회각 변위를 검출하는 것 외에도, 선회방향 및 선회의 기준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를 구성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링기어(6)의 측면외주연에 장착된 고정볼트(22)와 대향되도록 전술한 선회각 검출센서(21a)를 센서고정용 브라켓(23)상에 장착하고, 선회링기어(6)의 하면외주연에 장착된 고정볼트(24)와 대향되도록 전술한 센서고정용 브라켓(23)상에 소정 간격으로 2개의 센서(21b 및 21c-제2 및 제3감지부)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먼저 센서(21b)에서 고정볼트(24) 검출신호가 발생한 후 센서(21c)에서 고정볼트(24) 검출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이는 특정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의 선회가 이루어짐을 의미하고, 반대의 경우, 즉 센서(21c)에서 먼저 고정볼트(24) 검출신호가 발생한 후 센서(21b)에서 검출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이는 반대방향(에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의 선회가 이루어짐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특정 고정볼트(24)의 위치검출에 의해 선회의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센서취부구조는, 선회링기어에 원래 장착되어 있는 선회링기어 고정용 고정볼트의 숫자를 카운트함에 의해 선회각 및/또는 선회방향 등을 검출하는 것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원가가 크게 절감되며, 내구성도 크게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굴삭기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며, 선회링기어를 포함한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는 센서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회링기어(6)에 대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굴삭기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킷(23); 상기 선회링기어(6) 외주연에 장착되는 고정볼트(22)와 대향되도록 상기 고정브라킷(23)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볼트(22)의 개수를 카운트함에 의해 상기 선회링기어(6)의 선회각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선회장치의 선회각을 검출하게 되는 제1감지부(21a); 및 상기 선회링기어(6)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볼트(24)와 대향되도록 상기 고정브라킷(23)에 소정간격으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볼트(24)를 검출하는 순차에 따라 상기 선회장치의 선회방향을 검출하게 되는 제2 및 제3감지부(21b,21c)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KR2019950037435U 1995-11-30 1995-11-30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KR200151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435U KR200151461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435U KR200151461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03U KR970025003U (ko) 1997-06-20
KR200151461Y1 true KR200151461Y1 (ko) 1999-07-15

Family

ID=1943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435U KR200151461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03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710B2 (en) Linkage control system with position estimator backup
KR970048612A (ko) 솔라 어레이를 이용한 태양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0805A (ko) 유압 실린더의 스트로크 동작 진단 지원 장치
KR200151461Y1 (ko)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 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선회각 검출용 센서취부구조
US11840826B1 (en) Hydraulic health system
CN103115785A (zh) 混凝土泵车减振系统的故障诊断方法和系统与混凝土泵车
EP0718593B1 (en) Device for sensing the displacement of moving members in industrial equipment
EP4042044B1 (en) A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blocking element in a valve, a sensor system and use of a sensor system
JPH0216821B2 (ko)
KR200147407Y1 (ko) 자동제어를 통한 굴삭기의 작업장치 내구성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센서취부구조
CN105539579B (zh) 转向保护装置和方法以及举升类起重设备
CN113339358B (zh) 一种液压控制阀的阀芯卡滞检测方法、装置及高空作业车
KR980009676A (ko) 2피스 붐형 건설기계의 스트로크 엔드 쇼크 완화장치
JPH1111869A (ja) ジョイスティック
JP3491048B2 (ja) ロボットの回転位置検出装置
JPH06294150A (ja) 超小旋回パワーショベルの作業機干渉防止装置
KR940002437A (ko) 건설중장비의 상부 선회체 회전각도 검출제어방법과 장치
EP4086394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haking function of a bucket for a work vehicle
KR100221590B1 (ko) 유.공압 실린더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JPH04137164U (ja) シリンダエンド位置検出装置
JP2001140809A (ja) 油圧シリンダの故障診断装置
JPH0330400Y2 (ko)
KR100227578B1 (ko) 굴삭기의 회전각 제어장치
JPH038977Y2 (ko)
JP2875065B2 (ja) 油圧ショベルの旋回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