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24Y1 -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24Y1
KR200151224Y1 KR2019970019403U KR19970019403U KR200151224Y1 KR 200151224 Y1 KR200151224 Y1 KR 200151224Y1 KR 2019970019403 U KR2019970019403 U KR 2019970019403U KR 19970019403 U KR19970019403 U KR 19970019403U KR 200151224 Y1 KR200151224 Y1 KR 200151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refrigerator
air discharge
discharge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989U (ko
Inventor
박용종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9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24Y1/ko
Priority to JP10061556A priority patent/JP2918530B2/ja
Priority to CN98106217A priority patent/CN1116571C/zh
Priority to US09/057,489 priority patent/US6032480A/en
Priority to EP98302898A priority patent/EP0872696A3/en
Publication of KR19990005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는, 냉장실(2)의 후벽 중앙에 설치되어 고내에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토출공(21)을 갖는 냉기 토출 제어부(20)와,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내부의 가이드 레일(22)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토출공(21)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커버(23)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를 냉기 토출 제어부(20)에서 승하강 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를 승하강시키는 모터(2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냉장고가 제상 운전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공의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에 따른 고내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상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에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고내(냉장실 및 냉동실)에는 증발기와 팬(fan)이 설치된다. 증발기는 압축기가 작동되어 증발기의 내부에 있는 액상의 냉매가 증발할 때 냉매의 열교환으로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고, 팬은 증발기 주위에서 냉각된 공기를 고내로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증발기의 표면에는 주위의 수분이 얼어 붙음으로써 성에가 끼이게 되는데, 이와같은 성에는 증발기의 냉각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고, 부하 운전율을 높이는 주 요인이 되므로 적절하게 제거를 해 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증발기에는 성에를 녹이기 위하여 전기 발열되는 제상용 히터가 냉매관과 함께 배선되어 있으며, 냉장고의 운전시에는 고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 모드 이외에도 제상용 히터를 작동시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모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구조로 된 냉장고 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냉동실(4)과 냉장실(2)이 구획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냉동실(4)과 냉장실(2)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 도어(5)(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냉장실(2)은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6)들에 의해 다층으로 구분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1)하단 일측의 기계실(9)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되고, 응축기와 감압기(도시는 생략함)는 냉장고 본체(1)에 매설되거나, 기계실(9)에 설치된다. 또, 압축기(10)가 작동될 때 냉매의 열교환으로 주변 공기를 냉각시켜 고내에 냉기를 생성시키기 위한 증발기(11)는 냉동실(4)과 냉장실(2)의 후벽에 설치되어 이들이 냉매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써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증발기(11)의 상부에는 냉각팬(12)이 설치되어 증발기(11)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4)과 냉장실(2)로 공급되도록 강제 송풍시키며, 냉장실(2)의 후벽 중앙에는 냉장실(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냉기 유로와 냉기를 분배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13)가 설치됨에 따라, 냉장고의 작동시 회전 날개(13)가 회전하여 냉기를 고내에 골고루 분배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에 빙결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운전에서는, 그 운전조작의 형태나 성에를 녹이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제상 운전이 비교적 긴 시간 지속되므로 인해, 이동안 고내 온도는 계속 상승되는 반면, 압축기(10)와 냉각팬(12)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되므로, 고내의 온도 상승에 의해 고내에 보관되는 식품이 손상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상 운전중 고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식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상 모드에 돌입전 일정 시간(수십분) 동안 압축기(10)와 냉각팬(12)을 연속 작동시켜서 고내 온도를 충분히 냉각시키는 예비 냉각(Pre - cool) 모드를 먼저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예비 냉각모드를 수행한 다음 곧 바로 제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제상 운전시 증발기(11)는 예비 냉각에 의하여 그 온도가 상당히 낮아진 상태로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상용 히터(도시는 생략함)를 작동시키게 되면, 증발기(11)에 빙결된 성에를 녹이는 시간, 즉 제상 시간이 그 만큼 길어지게 된다. 상기의 이유로, 제상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고내로 흐르게 되어 고내온도가 상승하게 되었다. 이는, 제상용 히터의 작동에 소요되는 순수 제상을 위한 소비전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예비 냉각을 위한 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 전력을 포함하여, 전체 제상에 소요되는 사용 소비전력이 많이 들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주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냉장실 도어(3)를 개방시킬 경우 냉장실(2)내의 냉기가 냉장고 밖으로 유출됨과 동시에 밖의 더운 공기가 냉장실(2) 및 증발기(11)의 내부로 유입되어 고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제상 운전시 전술한 사용 소비전력의 상승 뿐만 아니라 냉장실 도어(3)와 가까운 곳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손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제상 운전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고내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냉기 순환계통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순환계통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기 토출 제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냉장실
3 ; 냉장실 도어 4 ; 냉동실
5 ; 냉동실 도어 11 ; 증발기
20 ; 냉기 토출 제어부 21 ; 토출공
22 ; 가이드 레일 23 ; 슬라이딩 커버
24 ; 토출공 25 ; 래크
26 ; 피니언 27 ; 모터
27a ; 모터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냉장실의 후벽 중앙에 설치되어 고내에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토출공을 갖는 냉기 토출 제어부와,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공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냉기 토출 제어부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그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토출공을 개폐토록 하므로써, 냉기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냉장고의 제상 운전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고내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의 후벽 중앙에 설치되어 고내에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토출공(21)을 갖는 냉기 토출 제어부(20)와,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 내부의 가이드 레일(22)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토출공(21)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커버(23)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를 냉기 토출 제어부(20)에서 승하강 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를 승하강시키는 모터(27)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23)는,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내의 가이드 레일(22)을 타고 승하강되며,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토출공(21)과 대응되도록 토출공(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3)의 하단에 형성되는 래크(rack ; 25)와, 그 래크(25)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27)의 구동력을 래크(25)에 전달하기 위해 모터(27)의 모터축(27a)에 설치되는 피니언(pinion ; 2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27)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므로써, 상기 슬라이딩 커버(23)가 냉기 토출 제어부(20)에서 승하강되게 되고 이를 통해, 제상시에 냉장고의 냉기 토출 통로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냉기 토출 제어장치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장실(2)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고내에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토출공(21)과, 그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커버(23)에 형성된 토출공(24)이 일치되면, 토출공(21)(24)를 통해 냉기를 고내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증발기(11)에 빙결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장고가 제상 운전을 하게 되면,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 수단이 감지함과 동시에 모터(27)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27)가 구동하게 되면, 그 모터(27)의 모터축(27a)에 결합된 피니언(26)에 모터(27)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피니언(26)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피니언(26)에 치합된 래크(25)에도 모터(27)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23)의 하단부에 설치된 래크(25)에 모터(27)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되면, 래크(25)가 상승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는 냉기 토출 제어부(20)상에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23)가 상승됨에 따라 슬라이딩 커버(23)가 냉기 토출 제어부(2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공(21)을 폐쇄시키게 되어 제상 운전시, 제상용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내부를 거쳐 고내로 흐르게 되는 것을 차단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냉장고의 제상 운전이 끝나게 되면, 상기 모터(27)가 구동하게 되어 슬라이딩 커버(23)의 하단부에 설치된 래크(25)에 모터(27)의 회전력이 전달됨과 동시에 모터(27)의 회전력으로 래크(25)가 하강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3)는 냉기 토출 제어부(20)상에서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23)가 하강됨에 따라 슬라이딩 커버(23)가 냉기 토출 제어부(2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공(21)을 개방시키게 되면, 그 각각의 토출공(21)(24)이 일치하게 되어 냉기를 고내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냉장실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고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그 더운 공기가 개방된 냉기 토출 제어부(20)의 토출공(21)을 통해 증발기(11)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때에도, 별도의 감지수단이 고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술한 동작을 행하도록 하므로써, 증발기(11)내부로 더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3)의 내부에 회전 날개(13)를 설치하여 사용하므로써 보다 강력한 냉기를 냉장실(2)의 내부에 토출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제상 운전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 고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정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수 있고, 제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어서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으며, 고내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이 고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최대 한도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냉장고가 제상 운전시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제상시 고내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장고 사용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고, 고내에 보관되는 식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냉장실의 후벽 중앙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내에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토출공을 갖는 냉기 토출 제어부와,
    상기 냉기 토출 제어부의 토출공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냉기 토출 제어부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냉기 토출 제어부내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승하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이 슬라이딩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는 래크와, 그 래크와 치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래크에 전달하기 위해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19970019403U 1997-04-18 1997-07-23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0151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403U KR200151224Y1 (ko) 1997-07-23 1997-07-23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JP10061556A JP2918530B2 (ja) 1997-04-18 1998-03-12 冷気吐出口の開閉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98106217A CN1116571C (zh) 1997-04-18 1998-04-08 带有开关冷空气排放口的装置的冰箱
US09/057,489 US6032480A (en) 1997-04-18 1998-04-09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opening/closing cool air discharge ports
EP98302898A EP0872696A3 (en) 1997-04-18 1998-04-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403U KR200151224Y1 (ko) 1997-07-23 1997-07-23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89U KR19990005989U (ko) 1999-02-18
KR200151224Y1 true KR200151224Y1 (ko) 1999-07-15

Family

ID=1950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403U KR200151224Y1 (ko) 1997-04-18 1997-07-23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89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72298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JP4902296B2 (ja) 冷蔵庫
KR101993089B1 (ko) 제상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KR200151224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19428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0154124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장치
KR100219429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2035133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0208080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29642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방법
KR200162117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 장치
KR100229639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방법
KR200151227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08083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08081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13719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29638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100208082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0151229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0151228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KR200151232Y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JP3851246B2 (ja) 可燃性冷媒冷蔵庫の制御方法
KR100438952B1 (ko) 냉각장치의 냉기공급방법
KR100229640B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방법
KR19990008622U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