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04Y1 -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04Y1
KR200150904Y1 KR2019950050034U KR19950050034U KR200150904Y1 KR 200150904 Y1 KR200150904 Y1 KR 200150904Y1 KR 2019950050034 U KR2019950050034 U KR 2019950050034U KR 19950050034 U KR19950050034 U KR 19950050034U KR 200150904 Y1 KR200150904 Y1 KR 200150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flector
cooking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131U (ko
Inventor
박형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50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04Y1/ko
Publication of KR970044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4Aspects relating to lighting devices in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램프의 빛을 통풍구로 반사시키도록 램프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형의 반사판이 설치되며, 반사판의 내면에 램프의 빛을 난반사시키도록 다수의 굴곡면이 형성되고, 반사판의 일측에 마그네트론을 통과한 온풍이 통풍구로 유도되도록 유도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형의 반사판이 구비되어 높은 휘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실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밝아져 사용자가 조리도중에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조리상태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며, 크기가 작은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램프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제거되고, 램프의 고장이 거의 없어 수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은 마그네트론을 냉각하면서 발생되는 온풍을 통풍구로 유도하는 흡기덕트의 기능을 행할 수 있어 부품의 추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제1도는 종래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리실 12 : 구동실
13 : 내부패널 15 : 통풍구
19 : 마그네트론 40 : 램프
50 : 반사판 51 : (반사판의) 굴곡면
52 : (반사판의) 유도구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며 관찰할 수 있도록 조명하는 전자렌지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내부에 조리실 및 구동실이 마련된 상자형의 캐비닛과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캐비닛의 내측에는 내부패널이 설치되어 조리실과 구동실을 분리구획하게 된다. 또한, 도어는 인체에 유해한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칫장치에 의해서 캐비닛에 확실하게 로크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도어의 테두리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틈새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λ/4(λ:고주파의 파장)의 폭으로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상태는 일련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전자렌지의 조리동작이 개시되어 대량의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에도, 도어의 투명창에는 고주파 차단막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고주파의 누설량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조리실의 바닥에는 음식물을 올려놓는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 트레이는 고정식일 수도 있고, 트레이모터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식일 수도 있다. 조리실의 천정에는 고주파 도입구가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고주파 도입구에는 스터러(stirrer)를 설치하여 고주파가 조리실 내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실에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이 마그네트론에 고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고압트랜스가 설치되고,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한 냉각팬이 방음판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마그네트론은 도파관을 통해서 조리실과 연통됨으로써 전원 인가시 다량의 고주파를 조리실 내로 공급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캐비닛의 전면패널에는 전자렌지의 작동시간, 조리모드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각종 기능선택버튼이 배열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능선택버튼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전자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렌지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시나 조리의 진행시 사용자가 조리실 내의 음식물 조리상태를 관찰하도록 되어 있는 바, 전자렌지에는 음식물은 적절히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도에는 이러한 종래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구성을 도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전자렌지의 캐비닛(10)은 조리실(11)과 구동실(12)이 내부패널(13)에 의해 분리구획되고, 내부패널(13)의 한쪽에 조리실(11)과 구동실(12)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풍구멍(14)으로 이루어진 통풍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실(12)에는 통풍구(15)의 외측에 인접되게 조리시나 도어(16)의 개방시에 점등되는 램프(20)가 설치된다. 램프(20)는 조리의 진행시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도어(16)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 및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11) 내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물(30)의 조리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20)는 대개 흡기덕트(17)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흡기덕트(17)는 냉각팬(18)에 의해 외부로부터 송풍되는 찬 공기가 고열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론(19)을 냉각하면서 온도가 올라가 온풍으로 바뀌게 되면 이 온풍을 통풍구(15)측으로 유도하여 조리실(11)내로 보내주게 된다.
그런데, 전자렌지의 도어(16)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6) 자체가 스크린이나 투시창 등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므로 광투과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조리의 진행중에 사용자가 도어(16)를 통해서 음식물(30)의 조리상태를 정확히 관찰하기란 거의 불가능하여 음식물(30)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리중에 수시로 도어(16)를 개방한 뒤 확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조명장치는 전자렌지의 조리효율 및 사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램프(20)의 밝기를 높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전력이 과다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램프(20)의 구동으로 고열이 발생하여 흡기덕트(17)의 취부부위가 녹아 화재 발생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또한, 휘도가 높은 램프(20)는 크기가 커서 구동실(12) 내부의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며, 램프(20)의 필라멘트가 자주 끊어져 수리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등 고휘도의 램프(20)는 전자렌지에 적합하지 않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한편, 램프(20)를 취부하기 위한 흡기덕트(17)는 마그네트론(19)를 지난 온풍을 조리실(11) 내로 유도하는 역할과 램프(20)가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램프(20)의 빛중 통풍구(15)의 반대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흡기덕트(17) 내면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간접 조명의 효과가 거의 없어져 램프(20)의 정격 휘도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램프(20)의 빛이 통풍구(15)를 통하여 조리실(11) 내를 부분적으로 비쳐주기 때문에 조리실(11)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리의 진행중에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조리실 내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조리실의 내부를 밝게 비쳐주는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은 크기의 램프로도 높은 광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팬에 의해 마그네트론을 통과한 온풍을 통풍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조리실과 구동실을 분리구획하는 내부패널의 일단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이 통풍구에 근접하여 구동실이 내부에 램프가 구비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램프의 빛을 통풍구로 반사시키도록 램프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형의 반사판이 설치되며, 반사판의 내면에 램프의 빛을 난반사시키도록 다수의 굴곡면이 형성되고, 반사판의 일측에 마그네트론을 통과한 온풍이 통풍구로 유도되도록 유도구가 형성되는 전자렌지의 조명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렌지의 조명장치는 조리될 음식물(30)이 안치되는 조리실(11)의 일측에 통풍구(15)가 형성되는데, 이 통풍구(15)는 빛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조리실(11) 내로부터 전자파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해 다수의 미세한 통풍구멍(14)으로 구성된다.
또한, 통풍구(15)로는 구동실(12)의 배면에 설치된 냉각팬(18)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송풍되는 찬 공기가 마그네트론(19)을 냉각시킨 후 생기는 온풍이 조리실(11) 내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동실(12)에는 통풍구(15)와 인접되게 조리실(11) 내에서 조리되는 음식물(30)의 조리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이를 조명하는 램프(40)가 설치된다. 이 램프(40)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램프(40)의 후방을 감싸도록 곡면형태의 반사판(50)이 설치된다. 반사판(50)의 내면은 알루미늄을 진공증착시켜 형성한다.
따라서, 램프(40)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판(50)에 의해 전방측으로 반사되면서 통풍구(15)를 통과하는 광속수가 많아지게 되어 조리실(11) 내부가 밝게 비쳐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조리의 진행중에 도어(16)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조리실(11) 내의 음식물(30) 조리상태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며, 높은 휘도를 얻기 위해 큰 크기의 램프(4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램프(40)의 조명에 의해 조리실(11)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밝아질 수 있도록 반사판(50)의 내면이 다수의 굴곡면(51)이 형성되고, 굴곡면(51)은 측단면도에서 볼 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체적으로 볼 때에는 단위 굴곡면이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방으로 연속해서 배열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빛이 조사되면 램프(40) 후방측으로 조사되는 빛이 굴곡면(51)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통풍구(15)를 통과하여 조리실(11)의 내부 전체를 밝혀주게 된다. 즉, 반사판(50)의 굴곡면(51)은 램프(40)의 빛을 통풍구(15)쪽으로 난반사시켜 통풍구(15)를 통과한 빛의 조사 면적을 넓혀 주므로, 조리실(11)의 내부 전체가 밝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사판(50)의 일측에 적당히 개방되는 유도구(52)가 형성되고, 이 유도구(52)는 냉각팬(18)에 의해 마그네트론(19)을 통과한 온풍을 통풍구(15)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온풍을 유도하기 위한 흡기덕트(17)를 사용할 필요없이 조명효과를 높이는 반사판(50)에 의해 흡기덕트(17)의 기능을 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반사판(50)의 사용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명장치에 의하면, 조리실과 구동실을 구분하는 내부패널의 일단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풍구에 근접하여 구동실의 내부에 램프가 구비되어 있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램프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형의 반사판이 구비되어 높은 휘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실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밝아져 사용자가 조리도중에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조리상태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며, 크기가 작은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램프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제거되고, 램프의 고장이 거의 없어 수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은 마그네트론을 냉각하면서 발생되는 온풍을 통풍구로 유도하는 흡기덕트의 기능을 행할 수 있어 부품의 추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리실과 구동실을 분리구획하는 내부패널의 일단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이 통풍구에 근접하여 구동실의 내부에 램프가 구비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램프(40)의 빛을 상기 통풍구(15)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램프(40)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형의 반사판(50)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50)의 내면에 상기 램프(40)의 빛을 난반사시키도록 다수의 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50)의 일측에 마그네트론(19)을 통과한 온풍이 상기 통풍구(15)로 유도되도록 유도구(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KR2019950050034U 1995-12-28 1995-12-28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KR200150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034U KR200150904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034U KR200150904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131U KR970044131U (ko) 1997-07-31
KR200150904Y1 true KR200150904Y1 (ko) 1999-07-15

Family

ID=1944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034U KR200150904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23A (ko) * 1999-03-02 2000-10-05 구자홍 그릴 전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23A (ko) * 1999-03-02 2000-10-05 구자홍 그릴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13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543B1 (ko)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EP2372251A2 (en) Household broiling and/or baking oven
US4621180A (en) Cavity illumination means for microwave oven
JP6488177B2 (ja) 加熱調理器
KR200150904Y1 (ko) 전자렌지의 조명장치
KR100608134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394419B1 (ko) 가열조리기
KR19990010444U (ko) 전자렌지의 전장실
KR200142131Y1 (ko) 전자렌지의 스트러팬에 내설된 조명등
KR20023252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JP2005098601A (ja) 加熱調理器
JP2017003153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2001193936A (ja) 加熱調理器
JPH09196388A (ja) 調理器
EP0790755A2 (en) Light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KR200213188Y1 (ko) 전자렌지용 램프 조도향상을 위한 측판구조
JP2692930B2 (ja) 調理器
KR200152015Y1 (ko) 오버 더 전자렌지의 고내 램프 설치 구조
KR20240034621A (ko) 조리 기기
KR20240035304A (ko) 조리 기기
JPH04110520A (ja) 調理器
JPH0552355A (ja) 調理器
KR200143522Y1 (ko) 전자렌지의 조명불빛 반사장치
JP202306109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