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586Y1 - 유전체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586Y1
KR200150586Y1 KR2019950038395U KR19950038395U KR200150586Y1 KR 200150586 Y1 KR200150586 Y1 KR 200150586Y1 KR 2019950038395 U KR2019950038395 U KR 2019950038395U KR 19950038395 U KR19950038395 U KR 19950038395U KR 200150586 Y1 KR200150586 Y1 KR 200150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dielectric filter
filter
input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705U (ko
Inventor
김진덕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50038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586Y1/ko
Publication of KR970047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의 노이즈 감쇄용으로 사용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2개이상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의 본체부(2) 전방 양측으로 피복된 도체면(4)이 ㄷ자 형상으로 박리된 에어갭(3)(3')을 서로 대향 설치토록 하며, 상기 2개의 공진기 본체부(2)의 하측으로 고주파용 입,출력 커패시터(5)(6)를 착설하여 인쇄회로기판(7) 상에 실장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2개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의 내부에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에어갭과 유전체 필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고주파용 커패시터를 인쇄회로기판에 형성하여 유전체 필터의 표면실장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소형화에 기여토록 함은 물론, 필터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유전체 필터의 제작 및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 질수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제1도는 종래의 유전체 필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동축형 유전체 필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인 유전체 필터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공진기 2 : 본체부
3, 3' : 에어갭 4 : 도체면
5, 6 : 고주파용 커패시터 7 : 인쇄회로기판
본 고안의 고주파의 노이즈 감쇄용으로 사용되는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의 내부에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고, 그 하측에는 고주파용 커패시터를 각각 기판 실장하여 접속시킨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2개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의 내부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에어갭을 형성시키어 커플링을 형성시키고, 유전체 필터의 하측으로 입력 및 출력부가 되는 커패시터를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여 공진기와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수지봉 및 단자판과 같은 단자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의 원가절감은 물론, 부품 소형화가 용이하여 유전체 필터의 기판 실장작업이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부품 조립성이 향상되는 한편, 필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되며, 유전체 필터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구조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1)의 본체부(12) 일측면 외측중앙에 에어갭(19)을 두어 커플링(Coupling)을 형성하고, 상기 공진기 본체부(12)의 전 후측 개방면(13)에는 전극이 형성된 관통홀(14)이 천설되어, 이에 입출력 단자편(15)후방으로 연설된 수지봉(16)을 각각 삽입하고, 상기 입출력 단자편(15)에는 수지봉(16)과 연설되는 입력 및 출력 단자(17)(18)가 각각 연설되어 유전체 필터를 완성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전체 필터는, 2개의 구성되는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1)의 외측중앙에 에어캡(19)을 두어 커플링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진기 본체부(12)의 전방 개방면(13)으로 천설된 관통홀(14)내에 내측으로 도선이 삽입되는 수지봉(16)이 삽입토록 하며, 상기 수지봉(16)은 입출력 단자편(15)을 개재하여 입력 및 출력단자(17)(18)를 각각 연설시켜 인쇄회로기판상에 접속함함으로서 유전체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1)를 결합하고, 이에 에어갭(19)를 별도로 형성시킨후, 유전체 필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수지봉(16)을 입출력 단자편(15)에 결합하여 이를 별도로 입력 및 출력단자(17)(18)에 연설해야 하는 다단계의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이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복잡하고 다수부품이 필요하여 유전체 필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부품 소형화가 어렵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은 개선 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수지봉 및 단자판과 같은 단자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의 원가절감은 물론, 부품 소형화가 용이하여 유전체 필터의 기판 실장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됨으로써, 부품 조립성이 향상되는 한편, 필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되어, 유전체 필터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2개 이상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의 본체부 전방 양측으로 피복된 도체면이 ㄷ자 형상으로 박리된 에어갭을 서로 대향 형성시키며, 상기 2개의 공진기 본체부의 하측으로 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를 이루는 고주파용, 입,출력 커패시터를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 일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유전체필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동축형 유전체 필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인 유전체 필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 구조도로서, 2개 이상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의 본체부(2) 전방 양측으로 피복된 도체면(4)이 ㄷ자 형상으로 박리(에칭공정으로 벗겨지는)된 에어갭(3)(3')을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형성시키며, 상기 2개의 공진기 본체부(2)의 하측으로 유전체 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를 이루는 고주파용 입,출력 커패시터(5)(6)를 인쇄회로기판(7) 상에 실장하여 전기적으로 일체로 접속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유전체 공진기(1)의 자체내에 에어갭(3)(3')을 형성하고, 그 하측 개방면에는 입력 및 출력용 고주파 커패시터(5)(6)을 일체로 형성하여 전자계적인 회로를 구성시킬 경우, 상기 2개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의 본체부(2) 전방 일측으로 피복된 도체면(4)을 ㄷ자 형상으로 박리(피복된 도체면을 에칭 공정으로 벗겨내어)하여, 제3도에서와 같이, 이를 결합하여 커플링을 형성시키어 분포 정수형 커플링값을 얻을수 있는 에어갭(3)(3')을 각각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공진기 본체부(2)에 서로 대향하도록 에어캡(3)(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공진기 본체부(2)의 하측 개방면에는 유전체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를 이루는 고주파용 커패시터(5)(6)를 인쇄회로기판(7)상에 실장하면서 상기 공진기 본체부(2)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일체로 접속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기(1)의 개방면 하측이 고주파용 커패시터(5)(6)를 통한 입력 및 출력부가 되어 각각 입력 및 출력 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1)는, 2개의 공진기 본체부(2)에 에어갭(3)(3')을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시키고, 그 하측 개방면에는 고주파용 커패시터(5)(6)를 인쇄회로기판(7)에 실장 일체로 전기적으로 접속토록 함으로 인하여, 유전체 필터 자체의 전기적인 회로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종래에서와 같이 입력 및 출력부를 이루기 위한 수지봉 및 단자편등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품 소형화가 용이하며, 부품 소형화가 용이하며, 부품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 의하면, 별도의 수지봉 및 단자판과 같은 단자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의 원가절감은 물론, 부품 소형화가 용이하여 유전체 필터의 기판 실장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됨으로써, 부품 조립성이 향상되는 한편, 필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되며, 유전체 필터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2개 이상의 동축형 유전체 공진기(1)의 본체부(2) 전방 양측으로 피복된 도체면(4)이 ㄷ자 형상으로 박리된 에어갭(3)(3')을 서로 대향 형성시키며, 상기 2개의 공진기 본체부(2)의 하측으로 필터의 입력 및 출력부를 이루는 고주파용, 입,출력 커패시터(5)(6)를 인쇄회로기판(7)상에 실장하여 상기 공진기본체(2)와 일체로 접속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필터.
KR2019950038395U 1995-12-05 1995-12-05 유전체 필터 KR200150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395U KR200150586Y1 (ko) 1995-12-05 1995-12-05 유전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395U KR200150586Y1 (ko) 1995-12-05 1995-12-05 유전체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705U KR970047705U (ko) 1997-07-31
KR200150586Y1 true KR200150586Y1 (ko) 1999-07-01

Family

ID=194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395U KR200150586Y1 (ko) 1995-12-05 1995-12-05 유전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5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70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2972A (en) Microwave device employing coaxial resonator
US5062811A (en) Capacitive coupled connector for PCB grounding
KR102040689B1 (ko) 캐비티 필터
US4276525A (en) Coaxial resonator with projecting terminal portion and electrical filter employing a coaxial resonator of that type
KR900010677Y1 (ko) 유전체 필터
JPS62180973A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法
US5083132A (en) Planar antenna with active circuit block
JP2001257511A (ja) 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
KR200150586Y1 (ko) 유전체 필터
JP3405783B2 (ja) 誘電体フィルタ装置
KR200153873Y1 (ko) 일체형 유전체 공진기로 형성된 유전체 필터
KR0177670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KR0177671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CN115149231B (zh) 基于基片集成悬状线的小型化双模带阻滤波器
KR200153872Y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JPH0134402B2 (ko)
KR0177672B1 (ko)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KR0123080B1 (ko) 마이크로파 트랜지스터의 장착구조
JP3505765B2 (ja) 誘電体フィルタ
KR100199330B1 (ko) 유전체 필터
JPS6169202A (ja) 誘電体フイルタ
KR0151998B1 (ko) 유전체 공진기
US6254433B1 (en) Multiple pole connector with shield plate
JP2762877B2 (ja) 光マイクロ波共鳴器用キャビティ
JP2661006B2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