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334Y1 -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334Y1
KR200149334Y1 KR2019960066978U KR19960066978U KR200149334Y1 KR 200149334 Y1 KR200149334 Y1 KR 200149334Y1 KR 2019960066978 U KR2019960066978 U KR 2019960066978U KR 19960066978 U KR19960066978 U KR 19960066978U KR 200149334 Y1 KR200149334 Y1 KR 200149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stock
coupled
main body
machining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788U (ko
Inventor
박보선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66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3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18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comprising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6Fluid-pressur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 형태를 달리하며 작업 할 때, 테일 스톡 바디와 공구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기능 향상과 함께 가공 영역이 확장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복합 가공 선반을 구성하는 베드상에 설치되면서 지지 역할을 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전, 후진과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함께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공작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테일 스톡 센터가 구비된 테일 스톡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테일 스톡 바디에 착, 탈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설치되면서 회전을 단속하는 한쌍의 커플링으로 구성된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를 제공 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
본 고안은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tail stock)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 형태를 달리하며 작업 할 때, 테일 스톡 바디와 공구 사이에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기능 향상과 함께 가공 영역이 확장될 수 있게 한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 가공 선반에 사용되는 테일 스톡은 주축에 결합된 공작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공작물이 자중에 의하여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테일 스톡은 복합 가공 선반을 구성하는 베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 테일 스톡 바디에 공작물의 일단부를 지지 하도록 된 센터가 전, 후로 작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 상부에 지지 역할을 하면서 이송을 안내하는 새들이 설치되고, 이 새들 상부에 슬라이드가 칼럼을 수직되게 결합하면서 전, 후로 작용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칼럼에 공구 주축이 회전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베드 일측에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도록 된 주축이 위치하고, 타측에는 작업 상황에따라 선택적으로 공구를 공급하는 공구 교환장치가 테일 스톡 바디 외측에 위치하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축에 공작물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복합 가공선반을 작동시키게 되면, 공구 주축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서 작업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가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작업은 공작물의 일측단에서 타측단 까지 공구가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공작물에 대하여 특정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공구 주축을 칼럼에서 회전시켜 작업위치를 향하게 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가공작업 상황에따라 롱 타입을 한 공작물을 설치하여 가공하거나 특정작업을 하기 위하여 공구 주축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공구 주축에 구비된 공구가 레일 스톡 바디로부터 간섭을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이 곤란한 동시에 가공 영역이 제한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 형태를 달리하며 작업 할 때, 테일 스톡 바디와 공구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기능 향상과 함께 가공 영역이 확장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합 가공 선반을 구성하는 베드상에 설치되면서 지지 역할을 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전, 후진과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함께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공작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테일 스톡 센터가 구비된 테일 스톡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테일 스톡 바디에 착, 탈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설치되면서 회전을 단속하는 한쌍의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A - 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베드 4:주축 6:공구 교환장치
8:새들 10:슬라이드 12:공구 주축
14:칼럼 16:메인 바디 18:제 1 홈
20:제 2 홈 22:홀 24:제 3 홀
26:제 4 홀 28:실린더 30:스토퍼
32:피스톤 34:커버 36:핀
38:제 1 센서 40:제 2 센서 42:피니언
44:베어링 46:메인 샤프트 48:래크
50:피스톤 52:상부 커버 54:하부 커버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가공 선반을 구성하는 베드(2) 상부 양측에 공작물을 고정하도록 된 주축(4)과 공구 교환장치(6)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2) 상부에 새들(8)과 슬라이드(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면서 상호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10) 상부에 공구를 고정하도록 된 공구 주축(12)을 회전되게 결합한 칼럼(14)이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드(2) 일측에 메인 바디(16)가 설치되는데, 그 구조를 도 2 와 도 3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바디(16) 상부 양측에 제 1, 2 홈(18, 20)이 내측을 향하여 각각 형성되고, 이 제 1, 2 홈(18, 20) 사이에 상호 연통이 가능하도록 된 홀(2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홈(18) 위치에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제 3, 4 홀(24, 26)이 수직되게 관통되면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2 홈(20)과는 수직된 위치에 실린더(28)가 상기 메인 바디(16)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18) 내부에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30)가 고정되게 위치하고, 이 스토퍼(30) 배면에 유체에 의하여 전, 후로 이동하는 피스톤(32)이 제 3, 4 홀(24, 26) 사이에 위치하면서 설치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32)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커버(34)가 상기 제 1 홈(18) 입구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때 피스톤(32)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된 핀(36)이 상기 커버(34) 전면에 고정되게 결합을 이루되 상기 피스톤(32) 배면에 삽, 탈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34) 배면에는 이동 위치를 감지하도록 된 제 1, 2 센서(38, 40)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설치된다.
이와 함께 작용력을 전달받는 피니언(42)이 홀(22)에 설치되는 베어링(44)에 결합을 이루되 상기 제 2 홈(20)에 위치하면서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피니언(42)에 메인 샤프트(46)가 결합을 이루되 피스톤(32)과 커버(34)를 관통하면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42)에 작용력을 전달하는 래크(48)가 치차 결합되며 실린더(28)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래크(48) 상, 하부에 피스톤(50)이 결합을 이루되 상기 실린더(28) 내부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8) 상, 하부에 상부 커버(52)와 하부 커버(54)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 상부 커버(52)와 하부 커버(54)에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제 1, 2 홀(56, 5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홈(20) 전면에 먼지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지지 역할을 하는 더스트 커버(60)가 메인 샤프트(46)와 결합하며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더스트 커버(60) 전면에 회전을 단속하도록 된 한 쌍의 커플링(62)이 고정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메인 샤프트(46) 선단부에 테일 스톡 바디(64)가 고정되게 결합을 이루되 함께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테일 스톡 바디(64)에 상기 커플링(62) 전면이 고정되게 결합되면서 메인 샤프트(46)가 관통된 중앙부를 지나게 하며 위치한다.
상기 메인 스톡 바디(64) 상단부에 피어싱 홀(piercing hole)(66)이 형성되고, 이 피어싱 홀(66)에 전, 후로 작용되게 샤프트(68)가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샤프트(68) 선단부에 주축(4)에 결합된 공작물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된 테일 스톡 센터(70)가 분리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축(4)에 공작물을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미도시한 조작반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면, 가공하고자 하는 형태로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공구 주축(12)이 전, 후진 또는 회전하며 공작물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작물의 일단부에서 타측단까지 가공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구 주축(12)이 회전하게 되면, 공구가 레일 스톡 바디(64)의 간섭을 간헐적으로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범위가 제한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가 간섭을 받게 되면 메인 바디(16)에 형성된 제 3 홀(24)을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면서 피스톤(32)을 전진시켜 스토퍼(30) 위치까지 메인 샤프트(46)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메인 샤프트(46)는 결합하고 있는 피니언(42)과 더스트 커버(60)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동시에 테일 스톡 바디(64)를 이동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테일 스톡 바디(64)와 더스트 커버(60)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커플링(62)이 상호 분리되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테일 스톡 바디(64)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34)에 형성된 제 1 홀(56)을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50)이 밀려지면서 래크(48)가 하향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치차 결합된 피니언(42)이 회전하며 메인 샤프트(46)를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샤프트(46)가 회전하게 되면 메인 바디(16) 내부에 있는 피스톤(32)과 테일 스톡 바디(64)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커버(34)와 더스트 커버(60)에서는 메인 샤프트(46)가 헛돌게 되는데, 이때 맞물린 한 쌍의 커플링(62)이 분리되어 있는 관계로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테일 스톡 바디(64)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가 되면, 공구의 간섭이 해소되어 공작물 가공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가공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테일 스톡 바디(64)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하부 커버(54)에 형성된 제 2 홀(58)을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는데, 이로 인하여 하향한 래크(48)가 유체에 의하여 상향하는 피스톤(5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크(48)에 치차 결합된 피니언(42)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피스톤(50)과 테일 스톡 바디(64)가 함께 역 방향으로 회전하되 메인 바디(16)의 제 1, 2 홈(18, 20) 입구에 결합된 커버(34)와 더스트 커버(60)와는 헛돌게 된다.
상기 테일 스톡 바디(64)가 역 방향으로 회동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메인 바디(16)에 형성된 제 4 홀(26)을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면서 피스톤(32)을 커버(34) 전면에 밀착되게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메인 샤프트(46)가 함께 이동하며 테일 스톡 바디(64)를 당기게 된다.
이때 분리된 한 쌍의 커플링(62)이 결합되면서 상기 테일 스톡 바디(64)가 고정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커버(34) 전면에 설치된 핀(36)이 피스톤(32) 배면과 결합하면서 회전을 단속하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테일 스톡 바디와 공구가 상호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공 기능 향상과 함께 가공 영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합 가공 선반을 구성하는 베드(2)상에 설치되면서 지지 역할을 하는 메인 바디(16)와,
    상기 메인 바디(16)에 결합되어 전, 후진과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메인 샤프트(46)와,
    상기 메인 샤프트(46)에 함께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공작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테일 스톡 센터(70)를 구비한 테일 스톡 바디(64)와,
    상기 메인 바디(16)와 테일 스톡 바디(64)에 착, 탈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설치되면서 테일 스톡 바디(64)의 회전을 단속하는 커플링(62)으로 구성된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6) 내부에 제 1 홈(18)이 형성되고, 이 제 1 홈(18)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3, 4 홀(24, 26)이 각각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홈(18)에 유체에 의하여 전, 후로 이동하는 피스톤(32)이 메인 샤프트(46)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6) 내부에 제 2 홈(20)이 형성되고, 이 제 2 홈(20)에 피니언(42)이 메인 샤프트(46)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며, 또한 상기 피니언(42)에 작용력을 전달하는 래크(48)가 치차 결합되어 설치된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6)에 제 2 홈(20)과는 수직되게 실린더(28)가 형성되고, 이 실린더(28)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상, 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래크(48)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28) 상, 하부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1, 2 홀(56, 58)을 각각 형성한 상부 커버(52)와 하부 커버(54)가 결합되는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 스톡 구조.
KR2019960066978U 1996-12-31 1996-12-31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KR200149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78U KR200149334Y1 (ko) 1996-12-31 1996-12-31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78U KR200149334Y1 (ko) 1996-12-31 1996-12-31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88U KR19980053788U (ko) 1998-10-07
KR200149334Y1 true KR200149334Y1 (ko) 1999-06-15

Family

ID=1948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978U KR200149334Y1 (ko) 1996-12-31 1996-12-31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3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36B1 (ko) * 2011-08-23 2013-09-12 (주)대성하이텍 실리콘잉곳 가공기용 실리콘잉곳의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8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289B2 (en) Machine tool apparatus and method
US4656726A (en) Drilling machine tool
CA1242869A (en) Automatic tool exchange apparatus
KR200149334Y1 (ko) 복합 가공 선반용 테일스톡 구조
JP3255756B2 (ja) ターンヘッド付工作機械
US6484611B1 (en) Lathe
US3523469A (en) Tool carriage with turret
US3551984A (en) Tool-changing mechanism for a machine tool
JPH09295177A (ja) レーザ加工機
US5072636A (en) Tool-carrying slide for lathes
US3383958A (en) Boring or drilling machine
JP4047983B2 (ja) ターニングセンタとその刃物台
TWI815878B (zh) 工作機械
US3429205A (en) Machining device having selectively controlled feed speeds
KR0135083Y1 (ko) Cnc 선반의 심압대 스트로크 조정장치
US4813315A (en) Multi-spindle lathe
JPS58181504A (ja) 多軸ギヤ−ヘツドスピンドル切換装置
CN213497931U (zh) 数控机床用液压变向装置
JP2002011601A (ja) 旋 盤
JP2002200534A (ja) 手動ツール交換機能付きマシニングセンタ
JPS6037209Y2 (ja) 工作物加工ユニツトの位置決め装置
JPS62152642A (ja) 切削水供給ノズル装置
JPS62259735A (ja) 複合工作機械
KR0114275Y1 (ko) 공작기계의 헤드 회전방지장치
JPH04164533A (ja) 多様切削用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