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292Y1 -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 Google Patents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292Y1
KR200149292Y1 KR2019950019185U KR19950019185U KR200149292Y1 KR 200149292 Y1 KR200149292 Y1 KR 200149292Y1 KR 2019950019185 U KR2019950019185 U KR 2019950019185U KR 19950019185 U KR19950019185 U KR 19950019185U KR 200149292 Y1 KR200149292 Y1 KR 200149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pe
broadcast
selection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014U (ko
Inventor
곽효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19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292Y1/ko
Publication of KR970007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 방송 방식별로 영상 신호를 녹화 및 재생할 수 있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방송 방식에 해당하는 컬러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 스위치(1)의 스위칭 및 방송 방식을 선택하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의한 영상 처리의 일치 즉, 컬러 변환 스위치(1)에 의해 컬러가 변환되고 변환된 컬러 방식에 해당하는 방송 방식으로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이 이루어져 영상 처리 방식이 일치하는가를 판별부(3)에서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제어부(4)로 제공한다. 이 때, 제어부(4)는 판별 결과에 따른 OSD 제어 신호 및 표시 신호,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따른 방식별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즉, 영상 처리부(6)는 제어부(4)에서 제공되는 방식별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재생 및 기록 처리하여 OSD부(7)로 출력한다. 이 때, OSD부(7)는 제어부(4)에서 제공되는 OSD 제어 신호 그리고, 표시부(9)는 표시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6)의 영상 신호의 처리 방식 즉, 컬러 변환 방식 및 방송 방식의 일치 여부를 알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러 변환 스위치 2 :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
3 : 판별부 4 : 제어부
5 : 데크 6 : 영상 처리부
7 : OSD부 8 : 모니터
9 : 표시부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방송 방식별로 영상 신호를 녹화 및 재생할 수 있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VCR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방송 방식으로는 NTSC, PAL 및 SECAM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VCR 역시 NTSC, PAL 및 SECAM 방식으로 구분되어 진다.
여기서 NTSC 방식은 R,G,B 신호를 하나의 휘도 신호(Y)와 두 개의 색차(I,Q)로 행렬 변환한 다음 두 개의 색차 신호로 영상 대역 안에서 3.58㎒의 주파수를 갖는 부 반송파를 변조한다. 변조된 색차 신호와 휘도 신호를 합하여 얻은 복합 신호는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525개의 주사선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PAL 방식은 NTSC 방식과는 상이하게 색차 신호 B-Y와 R-Y로 색 부반송파를 직각 2상 변조하여 휘도 신호에 더하여 전송하는데 얻은 신호는 주사선 마다 극성을 반전시켜 전송한다. 그리고, 수상기에서는 색차 신호의 합과 차로 색차 신호를 재생한다. 이러한 PAL 방식은 주사선 수가 625임에 반하여 주사선수사 525인 것을 PAL-M방식이라 한다.
SECAM 방식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방식으로서, 각 주사선마다 두 개의 색차신호로 번갈아 색 부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한 다음, 변조한 색차 신호를 휘도 신호에 중첩시켜 전송하는 색채 텔레비젼 시스템이다. 이러한 SECAM 방식에서는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채널에서 발생하는 진폭 일그러짐이나 위상 일그러짐에 강한 특성을 가지나, 인터리빙(Interleaving)효과가 없어서 흑백 텔레비젼으로 받아 보았을 때 화질이 좋지않으며 색 신호의 수직 해상도가 절반으로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TSC, PAL 및 SECAM 방식은 그 영상 처리 방식이 각각 상이한 바, VCR에서도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하여는 해당하는 영상 처리 방식으로 처리하여 기록 및 재생하여야 한다. 즉, NTSC용 VCR로는 NTSC 방송 방식의 영상 신호만을 기록 및 재생하여야 정상적으로 영상신호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되며, PAL또는 SECAM용 VCR로는 PAL 또는 SECAM 방송 방식의 영상 신호만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하여야 정상적으로 영상 신호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VCR은 해당 방송 방식의 영상 신호만을 정상적으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어 다양한 방송 방식이 행하여 지는 지역에서는 각 방송 방식별로 VCR을 구입하여야 하는 각 방송 방식의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VCR로서 다양한 방송 방식 즉, NTSC 및 PAL 방식의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다방식 VCR이 개발되었다.
즉, 종래의 NTSC/PAL 겸용 VCR에서는 컬러 변환 스위치를 구성하고, 영상처리 회로에서는 컬러 변환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NTSC의 컬러 신호를 PAL 방식으로 또는 PAL 방식의 컬러 신호를 NTSC 방식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NTSC/PAL 겸용 VCR에서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를 구성하고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영상 처리 회로 및 데크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는 하나의 VCR로서 NTSC 및 PAL 방식의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어 편리성이 증진되었으나, 상술한 컬러 변환 스위치 및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이 잘못된 경우 즉,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이 열화되어 사용자가 시청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예컨데, 컬러 변환 스위치의 스위칭은 NTSC 방식의 신호를 PAL 방식의 컬러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스위칭되었으나,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는 NTSC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스위칭된 경우에는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영상 신호의 처리 방식의 상이로 인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컬러 신호의 이상등으로 인하여 화면이 열화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VCR에서는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가 일치되어야 영상 신호를 정상적으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으나,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일치 여부를 표시하여 주는 방법이 없어 상기한 바와 같이 VCR 재생중에 화면이 열화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컬러 변환 스위치,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이 불일치로 되어 화면이 열화되었는지 또는 VCR 자체의 이상에서 화면이 열화된 지를 알 수 없어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영상 처리의 일치 여부를 표시하여 주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VCR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VCR은, 방송 방식을 선택하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를 기록 및 독출하는 데크,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대응하도록 처리하여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에 있어서, 방송 방식에 따른 컬러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 스위치와; 상기 컬러 변환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신호 처리 방식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대응하는 방송 방식별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판별부의 판별 신호에 따라 OSD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OSD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컬러 변환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의한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신호의 처리방식의 일치 여부를 알리는 문자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와 혼합하여 모니터에 제공하는 OSD부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VCR의 개략 블록도로서, 컬러 변환 스위치(1),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 판별부(3), 제어부(4), 데크(5), 영상 처리부(6), OSD부(7), 모니터(8)를 구비한다. 여기서 컬러 변환 스위치(1)는 컬러 변경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칭 상태에 따라 NTSC 방식의 컬러 신호를 PAL 방식으로 또는 PAL 방식의 컬러 신호를 NTSC 방식으로 변경시키라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는 방송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스위칭 상태에 따라 영상 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으로 처리하라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컬러 변환 스위치(1) 및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는 판별부(3)에 연결되어 있으며, 판별부(3)는 컬러 변환 스위치(1)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시에 처리 방식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판별부(3)는 컬러 변환 스위치(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하여 후술하는 영상 처리부(6)가 변경시킨 컬러 신호의 방식과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의하여 영상 처리부(6)가 처리하는 방송 방식이 서로 일치하는 가를 판별하여 이에 따른 판별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 및 판별부(3)는 제어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4)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방식별 즉, NTSC 또는 PAL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판별부(3)의 판별 신호에 따른 OSD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4)에는 데크(5)가 연결되어 있으며, 데크(5)는 제어부(4)의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 또는 독출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에는 영상 처리부(6)가 연결되어 있으며, 영상 처리부(6)는 제어부(4)의 방송 방식별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영상 처리부(6)는 제어부(4)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NTSC 방식으로 구동하라는 신호이면 데크(5) 및 외부의 영상 신호를 NTSC 방식으로 재생 처리하여 데크(5)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는 컬러 변환 스위치(1)의 스위칭에 따라 데크(5)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NTSC 방식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를 PAL 방식으로 변환시켜 출력하거나 또는 PAL 방식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를 NTSC 방식으로 처리하여 데크(5) 또는 OSD부(7)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상 처리부(6)에는 OSD부(7)가 연결되어 있으며, OSD부(7)는 제어부(4)의 OSD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6)의 영상 신호에 소정의 OSD 문자 신호를 혼합하여 모니터(8)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VCR에서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영상 처리부(6)는 영상 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으로 처리하므로 사용자는 NTSC 및 PAL 방식의 방송 신호 또는 자기 테이프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로 시청하거나 자기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VCR에서는 컬러 변환 스위치(1)의 스위칭에 의하여 영상처리부(6)는 PAL 방식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를 NTSC 방식의 컬러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NTSC 방식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를 PAL 방식의 컬러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PAL 방식의 영상 신호를 NTSC 방식으로 전환시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모니터(8)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변환 스위치(1)의 스위칭과 테이프/방송 선택스위치(2)의 스위칭 상태가 서로 합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예컨데 컬러 변환 스위치(1)는 NTSC 방식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를 PAL 방식으로 전환시키도록 스위칭되어 있으나,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는 영상 신호를 NTSC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스위칭되어 있는 경우에 영상 처리부(6)는 스위치 즉, 컬러 변환스위치(1) 및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 상태가 서로 접촉되는 바 영상신호를 PAL 또는 NTSC 방식으로 정확하게 처리할 수 없게 되어 화면이 흔들리거나, 컬러 신호의 이상등으로 인하여 화면이 열화된다.
이때, 본 고안의 판별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2)들의 영상 신호 처리 방식이 서로 상이한 것을 판별하여 이를 제어부(4)에 인가하게 되며, 제어부(4)는 이를 OSD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OSD부(7)는 영상 처리부(6)의 영상 신호에 제어부(4)의 OSD 제어신호에 따른 소정의 문자신호를 혼합하여 모니터(8)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OSD부(7)가 영상 신호에 삽입하는 문자 신호는 상술한 스위치(1,2)들의 스위칭 상태에 의한 영상 처리 방식이 서로 합치되지 않는 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신호이므로 사용자는 스위치(1,2)들의 스위칭 상태에 의한 영상 처리 방식이 서로 합치되지 않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가 판별부(3)의 판별 신호에 따라 OSD 제어 신호만을 출력하게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만을 하고, 모니터(8)를 통하여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에 표시부(9)를 더 구성하면 될 것이다. 즉, 제어부(4)는 판별 신호에 따라 표시 신호를 출력케하고, 표시부(9)는 표시 신호에 따라 구동케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모니터(8)외에 표시부(9)를 통하여도 스위치(1,2)들의 스위칭 상태에 의한 영상 처리 방식이 서로 합치되지 않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9)는 통상의 디지트론 또는 발광 다이오드등의 소자로서 구현이 가능함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방식이 상호 일치하는 지를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이를 OSD 문자로서 표시하여 주므로써, 사용자가 컬러 변환 스위치와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의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송 방식을 선택하는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를 기록 및 독출하는 데크(5),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대응하도록 처리하여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6)를 구비하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에 있어서, 방송 방식에 따른 컬러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 스위치(1)와; 상기 컬러 변환 스위치(1)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처리부(6)의 영상 신호 처리 방식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3)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대응하는 방송 방식별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판별부(3)의 판별 신호에 따라 OSD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OSD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컬러 변환 스위치(1)와 상기 테이프/방송 선택 스위치(2)의 스위칭에 의한 상기 영상 처리부(6)의 영상 신호의 처리 방식의 일치 여부를 알리는 문자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와 혼합하여 모니터(8)에 제공하는 OSD부(7)를 더 구비하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는 상기 판별부(3)에서 제공되는 판별 신호에 따라 표시 신호를 출력케하고, 상기 표시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표시부(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2019950019185U 1995-07-28 1995-07-28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200149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185U KR200149292Y1 (ko) 1995-07-28 1995-07-28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185U KR200149292Y1 (ko) 1995-07-28 1995-07-28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14U KR970007014U (ko) 1997-02-21
KR200149292Y1 true KR200149292Y1 (ko) 1999-06-15

Family

ID=1941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185U KR200149292Y1 (ko) 1995-07-28 1995-07-28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2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14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171A (en) Video tape recorder/player
JPS59225684A (ja) ビデオテキスト信号の記録部を有するビデオレコ−ダ
KR920000884B1 (ko)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 및 컬러텔레비젼 수상기를 접속하는 시스템
KR200149292Y1 (ko) 방식별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100424768B1 (ko) 재생된 영상신호의 종류에 대한 식별신호를 출력하는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0123254Y1 (ko) 방식별 녹화가 가능한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US4223338A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and VTR system
EP0691792B1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kind of video signal
KR10022060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스큐 보정 방법
US6226042B1 (en) Color encoder
US7110660B2 (en) Video apparatus process for a video apparatus and video recorder
JP2692256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195978B1 (ko) 멀티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에서 영상방식에 따른 모드선택 방법
JP2532649B2 (ja) Vtrの変換装置
KR19990025379A (ko) 멀티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구동 방법
JP273027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40005476Y1 (ko) 브이씨알의 자기기록재생장치
JPH01264490A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KR19980058802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모듈레이터 자동 절환 방법
KR20000008973A (ko) 티브이에서의 색 변환장치 및 방법
JPH06303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S59156094A (ja) デイジタルカラ−情報の記録装置
KR20010064559A (ko) 티브이씨알의 2영상 동시 기록장치
KR19980029487U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컬러킬러 제어 장치
JPH02195783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