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289Y1 - 경운기용 예취기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289Y1
KR200147289Y1 KR2019970006740U KR19970006740U KR200147289Y1 KR 200147289 Y1 KR200147289 Y1 KR 200147289Y1 KR 2019970006740 U KR2019970006740 U KR 2019970006740U KR 19970006740 U KR19970006740 U KR 19970006740U KR 200147289 Y1 KR200147289 Y1 KR 20014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ler
drive shaft
cultivator
co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412U (ko
Inventor
최봉균
Original Assignee
허정숙
최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숙, 최봉균 filed Critical 허정숙
Priority to KR2019970006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2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운기 후방에 장설된 출력기어 박스의 출력을 이용하여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경운기용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경운기 후방에 직교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기체의 상면 일측에 전동축을 장설하고, 상기 커버의 내저부에는 다수의 절단도를 장착한 구동축을 장설시켜, 상기 전동축과 구동축을 플리로 연동되게 하며, 상기의 기체의 커버상면 일측에 경운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을 장착하여 기체를 경운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경운기의 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기체가 한쪽으로 편향 연결되어 초목절단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기체의 후방측에 승차대를 탈부착 하도록 하여 초목절단 작업시에 승차대에 승차하여 작업하도륵 하므로서, 장시간 작업을 하더라도 피로함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경운기용 예취기
본 고안은 경운기의 후방에 연결하여 경운기의 동력을 연동시켜 초목 절단작업을 하기 위한 경운기용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취기는 주로 트랙터의 전후방에 연결하여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초목을 절단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평탄한 넓은 지형의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것이며, 지형이 좁고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 좁은 지역의 초목절단기로는 일반 소형에진을 이용한 것들이 있으나 이는 절단날이 작은형이어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보행용이어서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좁은지역의 초목절단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승차용으로 구성하여 피로감이 없이 오래 작업을 할 수 있도록한 경운기용 예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경운기용 예취기는 경운기의 후방에 연결하는 기체를 경운기에 연결하기위한 연결판의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으로 길게 편향되게 연결하여 지형이 좁거나 굴곡진 지형이라 하여도 작업을 초목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하고, 상기 기체이 후방에 승차대를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구동축의 일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경운기 후방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요부중 승차대를 연결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11 : 커버
12 : 연동축 13 : 구동축
15 : 커플링 18,18' : 커터
20 : 연결판 21 : 연결핀
23 : 사각관 24 : 승차대
26 : 연결대 27 : 의자
28 : 수직관 29 : 핸들
30 : 승강스크류 31 : 바퀴
기체(10)를 리루는 커버(11)의 상면 일측에 연동축(12)을 장설하고 상기 커버(11)의 내저면에는 구동축(13)을 장설하여 연동축(12)과 구동축(13)의 일단에 플리(14)(14')를 삽착하여 연동축(12)의 구동력으로 구동축(13)을 회전시키도록하며, 상기 연동축(12)은 그 끝단부에 커플링(15)을 연결하여 경운기(100) 후방부에 마련된 기어박스(101)의 출력축(102)에 상기 커플링(15)을 스플라인 연결방식으로 연결시켜 출력축(102)의 동력으로 구동축(13)을 구동시키도록하며, 상기의 구동축(13)은 그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편(16)을 연결하여 이 연결편(16)의 구멍(16')에 볼트(17)를 끼우고 이 볼트(17)에 커터(18)(18')의 연결공(19)을 끼워 구동축(13) 외주에 다수의 커터(18)(18')를 유동되게 연결하며, 또한 상기의 커버(11) 상면 일측에 연결판(10)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판(20)을 경운기(100)의 출력기어박스(101)에 연결하여 기체(10)를 경운기(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판(20)과 기체(10)의 연결상태는 연결판(20)의 중심선(A)에 대하여 기체(10)를 한쪽으로 편향되게 연결하여 연결판(20)을 중심으로 커버(11)의 좌측부(B)가 우측부(C) 보다는 더 길게 경운기(100)에 연결되도록 하여 길이가 긴 좌측부(B)에 의하여 지형이 좁거나 굴곡진 곳의 초목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하고, 또한 커버(11)상면에 연결핀(21)을 꽂는 연결공(22)을 천공한 사각관(23)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 사각관(23)에 승차대(24)를 연결하는데 상기 승차대(24)는 구멍(25)을 천공한 연결대(26)의 상면에 의자(27)를 설치하고 연결대(26) 후단에는 수직관(28)을 연결하여 이 수직관(2a)내에 핸들(29) 조작으로 승강되는 승강스크류(30)를 나사끼움하고, 상기 승강스크류(30)를 하단에는 바퀴(31)를 연결시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연결판(20)을 경운기(100)의 출력기어박스(101)에 연결한 상태에서 커플링(15)을 출력축(102)에 스플라인 이음하여 출력축(102)의 동력을 연동축(12)에 전동시켜 플리(14)(14')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13)을 회전시켜 커터(18)(18')로 초목을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서, 기체(10)의 좌측부(b)가 경운기(100)의 좌측으로 길게 편향되게 연결되어 있어 지형에 맞추어 작업하기에 편리하며 , 연동축(12)을 커버(11)의 상면 일측에 장설하여 커플링(15)으로 출력축(102)에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한 것이므로 종래 베벨기어 등으로 출력축(103)의 동력을 전달 받도록 한 것보다는 그 구성이 간편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이 없고 수리가 용이하며, 또한 승차대(24)를 조립 분해가 가능하게된 것이어서 지역이 경사진곳이나 좁은곳에서의 보행작업은 물론 지역이 넓은 곳에서는 사각관(23)에 연결대(26)를 끼운다음 상하 일치되는 연결공(22)과 구멍(25)에 연결핀(21)을 꽂아 승차대(24)를 기체(10)에 연결하여 의자(27)에 승차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을 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2)

  1. 기체(10)의 커버(11) 상면 일측에는 연동축(12)을, 커버(11)의 내저부에는 커터(18)(18')를 외주면에 다수 연결한 구동축(13)을 장설하여 풀리(14)(14')로 연동축(12)과 구동축(13)을 연동되게하며, 상기 기체(10)를 경운기(100)의 출력기어박스(101)에 연결하기 위하여는 상기 연결판(20)의 중심선(a)에 대하여 기체(1)의 좌측부(B)가 우측부(C)보다는 더 길도록 연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예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11) 상면에 연결핀(21)을 꽂는 연결공(22)이 천공된 사각관(23)과, 상기 사각관(23)에 끼워져 연결핀(21)으로 연결되는 구멍(25)이 천공된 연결대(26)와, 상기 연결대(26) 상면에 의자(27)를, 후단에는 수직관(28)을 연결하여 승강스크류(30) 하단에 바퀴(31)를 연결하여 승차대(24)를 상기 사각관(23)에 조립분해가 가능하도록한 경운기용 예취기.
KR2019970006740U 1997-04-02 1997-04-02 경운기용 예취기 KR20014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40U KR200147289Y1 (ko) 1997-04-02 1997-04-02 경운기용 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40U KR200147289Y1 (ko) 1997-04-02 1997-04-02 경운기용 예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12U KR19980062412U (ko) 1998-11-16
KR200147289Y1 true KR200147289Y1 (ko) 1999-06-15

Family

ID=1949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740U KR200147289Y1 (ko) 1997-04-02 1997-04-02 경운기용 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2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12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3201A (en) Narrow profile power handle for line trimmer and the like
EP2407021A1 (en) Hand-held powered working machine and power transmission joint therefor
US20010032447A1 (en) Implement having engine and transaxle module
US4640366A (en) Cultivator
US20160014957A1 (en) Quick-coupling for mower blades
JP3554356B2 (ja) 草刈り機械
JP2004041058A (ja) 草刈り機
JP5531847B2 (ja) 草刈機及び草刈用装着具
GB2059236A (en) Mowing machine
KR200147289Y1 (ko) 경운기용 예취기
CN110199673A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US8196623B1 (en) Stump grinder
US3042434A (en) Portable, man-carried, power-driven tool
CN107371582B (zh) 一种稳定型锄草机
KR101374886B1 (ko) 농산물 수확기
JPH0513144Y2 (ko)
KR200387593Y1 (ko) 트랙터용 제초기
EP2916639B1 (en) Counter-rotating cultivation device
CN108934225A (zh) 一种除草松土一体机
US111974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nd clearing and preparation
JP3928008B2 (ja) 隔離栽培用耕耘機
CN216292184U (zh) 一种刀片可与行走组件脱离的除草机装置
CN208480237U (zh) 一种除草松土一体机
CN213404166U (zh) 一种山地用割草机
CN209527180U (zh) 一种割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