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039Y1 -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039Y1
KR200147039Y1 KR2019930031459U KR930031459U KR200147039Y1 KR 200147039 Y1 KR200147039 Y1 KR 200147039Y1 KR 2019930031459 U KR2019930031459 U KR 2019930031459U KR 930031459 U KR930031459 U KR 930031459U KR 200147039 Y1 KR200147039 Y1 KR 200147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fixing
convergence cup
barrel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290U (ko
Inventor
우병학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30031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039Y1/ko
Publication of KR950021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the discharge tube
    • H01J2209/185Machines therefor, e.g. electron gun assemb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관 네크부에 설치되는 전자총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비드글라스에 고정지지된 다수의 그리드전극과 히터가 설치된 캐소드전극, 그리고 스템부가 조립된 전자총구체에 콘버전스컵(Convergence Cup)을 용접고정하는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장치에 전자총구체를 고정할 때에 전자총구체가 조립장치의 끼움부에 안정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상태에서 그리드전극 상단부에 콘버전스컵 얹어 수직작동수단을 작동시켰을 경우에는 고정구의 고정돌기가 그리드전극과 콘버전스컵의 전자비임통과공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콘버전스컵 하면에 부딪혀 전자총구체의 파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설령 전자총구체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이와 콘버전스컵이 용접되었다 하더라도 그리드전극과 콘버전스컵의 전자비임통과공이 동심축선상에 일치하지 않아서 전자비임의 특성불량을 초래하여 스크린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는 조립장치에 전자총구체를 안정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형성설치함으로써,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간의 용접불량을 최소화하여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한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는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합장치의 받침대 측면에 마련된 끼움부 측방으로 전자총구체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형성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발췌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발췌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 장치 10 : 작동구
20 : 수직 작동수단 30 : 고정구
40 : 받침대 41 : 끼움부
50 : 고정수단 51 : 실린더
52 : 고정구 100 : 전자총구체
200 : 콘버전스컵
본 고안은 수상관 네크부에 설치되는 전자총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비드글라스에 고정지지된 다수의 그리드전극과 히터가 내설된 캐소드전극, 그리고 스템부가 조합된 전자총구체에 콘버전스컵(Convergence Cup)을 용접고정하는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수상관의 네크부에는 전자를 방출하여 이를 집속, 가속한 후 스크린에 해당하는 형광면상에 작은 휘점을 형성시키는 전자총이 설치되며, 이 전자총은 전압을 인가하는 리드핀을 고정하는 스템부와, 히터가 내설된 캐소드전극과, 전자비임통과공이 설치된 다수의 그리드전극과, 이 그리드전극 단부에 전자비임을 집속하도록 고정설치된 콘버전스컵 등으로 구성되는데, 비드글라스에 그리드전극과, 히터가 내설된 캐소드전극, 그리고 스템부가 조립고정된 전자총구체에 전술한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기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와 같이 소정형상의 작동구(10)와, 이의 하방에 설치되어 전술한 작동구(10)를 수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같은 수직작동수단(20)과, 전술한 작동구(10)의 전방 적소에서 하방으로 전자총구체(100)에 고정지지된 그리드전극(110)의 양측 전자비임통과공(111) 및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201)에 대응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단부에 마련된 고정구(30)와, 이의 직하방에 설치되면서 전자총구체(100)를 안정되게 고정지지하는 끼움부(41)가 일측면에 형성고정된 받침대(40) 등으로 구성된 조립장치(1)를 형성하여 이의 받침대(40)에 마련된 끼움부(41)가 그리드전극(110)간의 틈새에 위치하도록 전자총구체(100)를 밀어 고정지지한 후 그리드전극(110) 상단부에 상호간의 전자비임통과공(111)(201)이 일치하도록 콘버전스컵(200)을 얹은 상태에서 수직작동수단(20)을 하방으로 작동시켜 고정구(30)의 고정돌기(31)가 그리드전극(110)과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111)(201)내로 삽입되어 전자총구체(100)와 콘버전스컵(200)을 고정한 다음에 이들을 용접고정토록 한 것인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장치(1)에 전자총구체(100)를 고정할 때에 전자총구체(100)가 조립장치(1)의 끼움부(41)에 안정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상태에서 그리드전극(110) 상단부에 콘버전스컵(200)을 얹어 수직작동수단(20)을 작동시켰을 겅우에는 고정구(30)의 고정돌기(31)가 그리드전극(117)과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111)(201)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콘버전스컵(200) 하면에 부딪혀 전자총구체(100)의 파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설령 전자총구체(100)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이와 콘버전스컵(200)이 용접되었다 하더라도 그리드전극(110)과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111)(201)이 동심축선상에 일치하지 않아서 전자비임의 특성불량을 초래하여 스크린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는 조립장치에 전자총구체를 안정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형성설치함으로써,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간의 용접불량을 최소화하여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한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는 조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장치의 받침대 측면에 마련된 끼움부 측방으로 전자총구체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형성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발췌도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소정형상의 작동구(10)와, 이의 하방에 설치되어 전술한 작동구(10)를 수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실린더와 같은 수직작동수단(20)과, 전술한 작동구(10)의 전방 적소에서 하방으로 전자총구체(100)에 고정지지된 그리드전극(110)의 양측 전자비임통과공(111) 및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201)에 대응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단부에 마련된 고정구(30)와, 이의 직하방에 설치되먼서 전자총구체(100)를 안정되게 고정지지하는 끼움부(41)가 일측면에 형성고정된 받침대(40) 등으로 구성된 조립장치(1)를 형성함에 있어서 , 조립장치(1)의 받침대(40) 측면에 마련된 끼움부(41) 측방으로 전자총구체(100)를 받침대(40) 쪽으로 밀착고정하도록 실린더(51)에 의해수평작동하는 고정구(52)가 마련된 고정수단(50)을 형성설치하되, 이 고정수단(50)의 고정구(52)가 받침대(40)의 끼움부(4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위에서 든 조립장치(1)의 고정수단(50) 구조는 본 고안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고정구(52)를 수평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실린더(51)를 설치하였으나, 고정구(52)를 작동시킬 수만 있다면 다른 어떤 수단, 즉 구동모터를 이용한 전기적 작동수단을 설치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전자총구체(100)의 그리드전극(110)과 접촉하는 고정수단(50)의 고정구(52) 단부에 탄성력이 양호한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고정구(52)에 의해 이와 접촉하는 그리드전극(110)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60은 전술한 고정수단(50)을 소정높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받침판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조립장치(1)에 또하나의 고정수단(50)을 형성설치하여 전자총구체(100) 상단부에 콘버전스컵(200)을 용접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40) 일측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부(41)에 스템부, 캐소드전극, 그리드전극(110)들이 조립된 전자총구체(100)를 일차고정한 후 이 전자총구체(100)의 그리드전극(110) 상단부에 전자비임통과공(111)(201)이 상호 일치하도록 콘버전스컵(200)을 얹는 것과 동시에 작동구(10)가 하강토록 수직작동수단(20)을 작동시켜 고정구(30)의 고정돌기(31)가 그리드전극(110)과 콘버전스컵(200)의 전자비임통과공(111)(201)에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전술한 고정수단(50)의 실린더(51)를 작동시켜 전자총구체(100)가 받침대(40)에 밀착되도록 고정구(52)이용하여 안정되게 고정시킨 후 그리드전극(110)과 콘버전스컵(200)을 용접고정함으로써,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간의 용접불량을 최소화하여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자총구체와 콘버전스컵을 용접고정하는 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조립장치(1)의 받침대(40) 측면에 마련된 끼움부(41) 측방으로 전자총구체(100)를 받침대(40) 쪽으로 밀착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50)을 형성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KR2019930031459U 1993-12-31 1993-12-31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KR200147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459U KR200147039Y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459U KR200147039Y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290U KR950021290U (ko) 1995-07-28
KR200147039Y1 true KR200147039Y1 (ko) 1999-06-15

Family

ID=1937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459U KR200147039Y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0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290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039Y1 (ko) 전자총의 콘버전스컵 조립장치
KR930004531Y1 (ko) 음극선관용 마운트 조립 지그
KR0133646Y1 (ko) 전자총의 캐소드용접장치
KR100334064B1 (ko) 칼라음극선관의게터플레싱장치
KR20019398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전극 및 그 비딩지그
KR19990027808A (ko) 웰딩너트 용접 장치
KR960007553Y1 (ko) 전자총의 컨버전스컵 용접 장치용 센터안내장치
KR950003541Y1 (ko) 전자총의 컨버전스 컵 구조
KR92000455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조립방법 및 그 조립치구
KR100451929B1 (ko) 편향요크
KR011433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KR200147266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KR100541981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950000406Y1 (ko) 칼라 음극선관의 고압도통장치
KR0126544B1 (ko) 칼라브라운관의 게타스프링
KR200198841Y1 (ko) 음극선관의전극조립용치구
KR0118756Y1 (ko) 게터 지지 스프링
KR200157142Y1 (ko) 전자총의 벌브 스페이서 검사장치
KR100192458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 제작라인의 패널 얼라이먼트장치
KR0130322Y1 (ko) 전자총
KR20018717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04050Y1 (ko) 음극선관용 전자시일드 용접장치
KR940000247Y1 (ko) 형광표시관
KR0131376Y1 (ko) 새도우마스크/프레임의 용접장치
KR960003242Y1 (ko) 에이징공정용 이송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