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50Y1 -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50Y1
KR200146750Y1 KR2019960012793U KR19960012793U KR200146750Y1 KR 200146750 Y1 KR200146750 Y1 KR 200146750Y1 KR 2019960012793 U KR2019960012793 U KR 2019960012793U KR 19960012793 U KR19960012793 U KR 19960012793U KR 200146750 Y1 KR200146750 Y1 KR 200146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ire
pillar
t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893U (ko
Inventor
박남순
Original Assignee
박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순 filed Critical 박남순
Priority to KR2019960012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50Y1/ko
Publication of KR970063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시계탑 기둥에 선전문이나 구호문 따위의 내용을 담은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계탑의 기둥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봉과, 현수막의 상측 지지대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균형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으며 일단부가 상기 균형대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구멍의 내측에 위치되는 와이어와, 기둥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의 유동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력을 갖도록 형성된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바람 등에 의한 물리적 힘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현수막과 균형대의 연결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깨끗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제1도는 시계탑에 현수막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수막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균형대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5a도는 제3도의 와이어 고정구가 와이어를 일 방향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b는 제3도의 와이어 고정구가 와이어를 고정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시계탑 12 : 시계
14 : 기둥 16 : 현수막
18 : 머리부 20 : 받침부
22 : 구멍 24 : 지지봉
28 : 내측 고리 30 : 외측 고리
32,44 : 균형대 34 : 상측 지지대
35 : 하측 지지대 36 : 나일론 끈
37 : 매듭 38 : 지지 고리
42 : 와이어 45 : 와이어 클립
46 : 와이어 고정구 48 : 롤러
50 : 호이스트 51 : 레버
52 : 고정 브라켓 54 : 볼트
56 : 몸체 58 : 테이퍼부
60 : 지지판 62 : 하측 밀핀
63 : 상부 단턱 64 : 코일 스프링
66 : 강구 68 : 상측 밀핀
69 : 하부 단턱
본 고안은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시계탑 기둥에 선전문이나 구호문 따위의 내용을 담은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 또는 공공 장소 등에 현재의 시간을 확인하도록 하는 시계탑이 설치되고, 이들 시계탑은 공공 구조물로서 심미감을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시계탑의 기둥에는 선전문이나 구호문 등의 내용을 담은 현수막이 설치된다.
이러한 시계탑에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시계탑(10)의 구성은 시계(12)가 설치되는 머리부(18)와, 이 머리부(18)를 지지하며 외측 부위에 현수막(16)이 설치되는 기둥(14) 및 상기 기둥(14)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받침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18)와 근접한 기둥(14)의 상단 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2)의 사이에 소정 굵기를 갖는 지지봉(24)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받침부(20) 상면에는 상기 구멍(22)이 형성된 기둥(14)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기둥(14)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위에 내측 고리(28)가 형성되어 있고, 기둥(14)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위에 두 개의 외측 고리(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내측 고리(28)에는 나일론 끈(36)의 소정 부위가 묶여져 있고, 이 나일론 끈(36)의 일단부는 기둥(14)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고리(38)를 통과하여 상기 구멍(2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나일론 끈(36)은 매듭(37)을 이루고, 다시 연장된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소정 길이를 갖는 균형대(32)의 양 끝단에 묶여져 있으며, 이 균형대(32)는 나일론 끈(36)의 묶여진 상태로 지지봉(24)에 지지되어 기둥(14)의 상단부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균형대(32)는 상기 기둥(14)의 내측에 있게 되는 나일론 끈(36)의 유동에 의해 지지봉(24)에 지지되어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현수막(16)은 선전문이나 구호문 등의 내용이 표현되어 있고, 길이 방향 양단에는 현수막(16)의 내용이 잘 보이게끔 넓게 펼쳐지도록 하는 상·하측 지지대(34, 35)의 중심 부위가 감싸여져 재봉되어 있다.
이러한 현수막(16)의 상측 지지대(34)는 상기 균형대(32)에 나란하게 나일론 끈(36)으로 고정되고, 현수막(16)의 하측 지지대(35)는 받침부(20)의 외측 고리(30)에 나일론 끈(36)으로 묶여져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시계탑(10)에 현수막(16)이 설치되는 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내측 고리(28)에 묶여 있는 나일론 끈(36)을 풀어 균형대(32)를 하측으로 위치시키고, 이 균형대(32)에 현수막(16)의 상측 지지대(34)를 근접시켜 나일론 끈(36)으로 묶어 고정하게 된다.
이후, 기둥(14) 내측에서 나일론 끈(36)을 잡아 당기게 되면, 균형대(32)는 지지봉(24)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매듭 부위가 지지봉(24)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현수막(16)이 기둥(14)의 상단부에 드리워지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기둥(14) 내측에 있는 나일론 끈(36)을 잡아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나일론 끈(36)을 내측 고리(28)에 묶어 고정하고, 현수막(16)의 하측 지지대(35)를 외측 고리(30)에 묶어 고정 시킴으로써 현수막(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수막(16)을 해체할 때에는 상기 내측 고리(28)에 있는 나일론 끈(36)을 풀어 서서히 균형대(32)를 하측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현수막(16)의 상·하측 지지대(34, 35)를 고정하고 있는 나일론 끈(36)을 풀음으로써 현수막(16)이 해체되며, 이후 균형대(32)를 상측으로 올리거나 외측 고리(30)에 고정하고, 기둥(14)의 내측에 있는 나일론 끈(36)을 내측 고리(28)에 묶어 고정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현수막을 설치 및 해체할 때마다 상기 나일론 끈을 잡아 당긴 상태에서 내측 고리에 묶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나일론 끈으로 현수막을 설치 고정함에 따라 바람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일론 끈과 균형대와의 매듭 부위가 지지봉에 걸려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므로 나일론 끈과 균형대와의 연결 부위가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막을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바람등의 물리적 힘에도 충분히 견디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현수막을 고정함에 있어 심미감을 주도록 하는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계탑의 기둥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봉과, 현수막의 상측 지지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균형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균형대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구멍의 내측에 위치되는 와이어와, 기둥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의 유동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력을 갖도록 형성된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통과한 잔여분의 와이어를 감아두도록 하는 호이스트를 부가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열전대 보호관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4도는 균형대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제5a도와 제5b도는 제4도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5a, b도의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수막(16)의 상측 지지대(34)를 고정하게끔 형성된 균형대(44)의 중심 부위에 와이어(42)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부위를 와이어 클립(45)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와이어(42)의 다른 일단부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22)을 통하여 기둥(14)의 내측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균형대(44)는 지지봉(24)에 지지되어 기둥(14)의 상단부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있게 된다.
한편, 기둥(14)의 내측에 위치된 와이어(42)는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지지 고리(38)를 통과하여 기둥(14)의 내측벽 소정 위치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구(46)를 관통하고, 이어서 롤러(48)에 지지되어 호이스트(50)에 감겨진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기둥(14)의 내측벽 소정 위치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구(46)에 대하여 제5a도 및 제5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둥(14)의 내측벽 소정 위치에 고정 브라켓(52)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 브라켓(52)에는 소정 형상의 몸체(56)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몸체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56) 내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지지판(60)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판(60)의 중앙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단관 형상의 하측 밀핀(62)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측 밀핀(62)의 내부로는 와이어(42)가 관통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측 단부는 둘레에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상부단턱(63)을 이루며, 이 상부 단턱(63) 부위와 상기 지지판(60)의 사이에는 하측 밀핀(62)을 밀어 올리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6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밀핀(62)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강구(66)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하측 밀핀(62)이 승강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강구(66)는 상측으로 이동시에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6)의 테이퍼부(58)와 접촉하며 와이어(42)를 압착 고정하게 되는 화살표 A-A' 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
한편, 이 강구(66)의 상측에는 단관 형상의 상측 밀핀(68)이 테이퍼부(58)의 상측단부에 관통 삽입되어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밀핀(68)의 내부로는 와이어(42)가 관통되어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측 밀핀(68)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하부 단턱(69)을 이루고 있어 이 하부 단턱(69)의 하측면은 승강하는 강구(66)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밀핀(68)을 누르게 되면 강구(66)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58)의 넓은 쪽으로 이동하여 화살표 B-B' 방향으로 벌어져 와이어(42)를 고정하는 힘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 밀핀(68)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42)가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강구(66)는 와이어(42)와 접촉됨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측 밀핀(62)를 누르며 테이퍼부(58)의 넓은 쪽으로 이동하며 와이어(42)를 고정하는 힘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42)의 상측으로 이동시 강구(66)는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하측 밀핀(62)의 승강 운동 및 와이어(42)의 접촉에 의해 테이퍼부(58)의 좁은 쪽으로 이동하여 와이어(42)를 압착 고정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46)는 와이어(42)의 일방향 유동에 대해 고정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46)를 설치한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의 현수막(16)의 설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기둥(14)의 내측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구(46)의 상측 밀핀(68)을 소도구(도시 안됨)로 누르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42)를 고정하고 있던 와이어 고정구(46)의 고정력이 해제되며, 이어서 호이스트(50)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42)를 레버(51)를 통해 풀게 되면, 균형대(44)는 지지봉(24)에 지지되어 자체 하중으로 기둥(14) 하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측 밀핀(68)을 누르고 있는 소도구를 떼어내면 와이어 고정구(46)는 와이어(42)의 일방향에 대한 고정력을 갖게 되며, 이때 호이스트(50)의 레버(51)를 통하여 와이어(42)를 감도록 함으로써 현수막(16)은 균형대(44)와 함께 기둥(14)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균형대(14)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봉(24)에 걸리게 되면, 와이어 고정구(46)는 지지봉(24)과 균형대(44)에 의한 와이어(42)의 상측 방향 유동을 저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현수막(16)은 기둥(14)의 상단부에 매달린 형태로 있게 되며, 이어서 현수막(16)이 하측 지지대(35)를 외측 고리(30)에 고정함으로써 현수막(16)의 설치를 마치게 된다.
그리고, 현수막(16)의 해체시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46)의 상측 밀핀(68)을 소도구로 누르고, 호이스트(50)에 레버를 돌려 잔여분의 와이어(42)를 풀게 되면, 균형대(44)는 자중에 의해 현수막(16)과 함께 기둥(14)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균형대(44)에 묶인 나일론 끈(36)과 외측 고리(30)에 묶인 나일론 끈(36)을 풀고, 이어서 호이스트(50)의 레버를 돌려 와이어(42)를 감도록 함으로써 해체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와이어 고정구를 설치함에 따라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와이어로 현수막을 지탱하게 됨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한 물리적 힘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현수막과 고정된 균형대가 기둥의 상부 구멍까지 완전히 당겨지므로 현수막과 균형대의 연결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깨끗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계탑(40)의 기둥(14)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봉(24)과, 현수막(16)의 상측 지지대(34)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균형대(4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으며 일단부가 상기 균형대(44)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구멍(22)의 내측에 위치되는 와이어(42)와, 기둥(14)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42)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42)의 유동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력을 갖도록 형성된 와이어 고정구(46)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46)를 통과한 잔여분의 와이어(42)를 감아두도록 하는 호이스트(50)를 부가 설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KR2019960012793U 1996-05-21 1996-05-21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KR200146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793U KR200146750Y1 (ko) 1996-05-21 1996-05-21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793U KR200146750Y1 (ko) 1996-05-21 1996-05-21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893U KR970063893U (ko) 1997-12-11
KR200146750Y1 true KR200146750Y1 (ko) 1999-06-15

Family

ID=1945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793U KR200146750Y1 (ko) 1996-05-21 1996-05-21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97B1 (ko) * 2021-10-21 2022-07-12 신호영 현수막 설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80A (ko) * 2001-08-29 2003-03-06 방진철 배너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97B1 (ko) * 2021-10-21 2022-07-12 신호영 현수막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893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6750Y1 (ko) 시계탑용 현수막 고정장치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US4103642A (en) Remote threading flagpole
US7231884B1 (en) Pennant display with pole mountable collar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JP2788785B2 (ja) 標識組立体
KR20100006439A (ko) 현수막 걸이대
US6035968A (en) Collapsible hunting stand
US5988595A (en) Chain link fence instal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382057Y1 (ko) 현수막게시장치
KR101268891B1 (ko) 현수막 걸이대
JP3656225B2 (ja) スパイラル筋巻付け装置とスパイラル筋巻付け方法
FR2547441A1 (fr) Suspension a enrouleur telescopique pour affiches et objets
US5400737A (en) Flagstaff with hand salute figure
JP3151103U (ja) 旗支持具
KR102400438B1 (ko)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
JPH0245901Y2 (ko)
RU225692U1 (ru) Антивандальный флагшток
KR200247591Y1 (ko) 현수막 지지 장치
KR200237895Y1 (ko) 국기 말림 방지장치
KR200200980Y1 (ko) 현수막 게시 장치
US6899320B1 (en) Chain link fence tightening assembly
KR200282077Y1 (ko) 현수막 걸이 장치
KR100247407B1 (ko) 게양대
JPH0745245Y2 (ja) 仕切体張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