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618Y1 - 차폐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폐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618Y1
KR200146618Y1 KR2019950023994U KR19950023994U KR200146618Y1 KR 200146618 Y1 KR200146618 Y1 KR 200146618Y1 KR 2019950023994 U KR2019950023994 U KR 2019950023994U KR 19950023994 U KR19950023994 U KR 19950023994U KR 200146618 Y1 KR200146618 Y1 KR 200146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ield
mating
connecto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12U (ko
Inventor
쇼조 이찌까와
나오야 마쯔우라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60029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5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with separate members fixing the shield to the PCB

Abstract

본 고안의 전기 커넥터(10)는 복수의 단자(20)를 장착한 유전성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면(26a)과 단자의 접촉부(58)가 짝 결합부 상에 위치되는 전방면의 돌출한 짝 결합부(28)를 구비한다. 도전성 차폐부(16)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전방면(26a)과 접촉하는 플랜지(62)와 하우징의 짝 결합부(28)를 둘러싸는 덮개(66)를 포함한다. 차폐부(16)의 플랜지(62)의 리세스(72, 80)와 하우징(12)의 전방면(26a)으로부터 리세스 내로 전방으로 돌출한 보스(44, 44a)를 포함하는 대응 상호 결합 유지 수단이 하우징과 차폐부 사이에 제공되어 차폐부를 하우징 상에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차폐된 전기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구체화한 전기 커넥터의 상부 후방 사시도.
제2도는 커넥터의 하부 전방 사시도.
제3도는 전방에서 본 커넥터의 하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차폐부와 커넥터의 하우징 간의 대응 상호 결합 유지 수단의 확대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유지 수단의 정면도.
제6도는 제2도의 선 6-6을 따라 취한 확대 수직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7-7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대체 실시예에 대한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12 : 유전성 하우징
14 : 미부 정렬기 16 : 유전성 차폐부
18 : 기판 로크부 20 : 단자
22 : 미부 24 : 구멍
26 : 전방면 28 : 짝 결합부
44, 44a : 보스 58 : 접촉부
62 : 플랜지 66 : 덮개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 기술, 특히 금속 차폐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차폐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함께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직각 D형 전기 커넥터는 전자 산업에서 외부 주변 장비에 컴퓨터를 상호 접속시키는 것과 같이 다양한 전자 기기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입력/출력(I/O)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후방벽 또는 패널에서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회로 트레이스(trace)에 납땜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접촉부들을 둘러싸는 도전성 차폐부는 흔히 전자파 또는 무선 주파수 장애(EMI/RFI)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폐된 I/O 커넥터의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단자의 짝 결합부가 위치되는 전방 돌출 짝 결합부와 땜납 미부가 위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방 돌출 짝 결합부는 상술한 직각 D형 전기 커넥터용의 D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 차폐부는 전방 돌출 짝 결합부 둘레로 연장되고 전방 돌출부가 연장되는 차폐부의 전방 플랜지 바로 뒤에서 하우징에 고정된다.
지금까지, 하우징 상의 돌기가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 상에 개구 또는 창(window)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해서 하우징에 차폐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이용되어 왔다. 대안으로서, 차폐부는 하우징의 개구 안으로 연장되는 돌기 또는 탭을 구비한다. 차폐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각각의 이들 수단은 통상적으로 상당한 양의 공간을 사용하며, 이에 의해 커넥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일부 커넥터는 하우징 상의 차폐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들의 대부분을 제거했지만, 이러한 접근은 비용을 절감시키고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차폐부를 더 얇은 금속으로 제조함에 따라서 잠재적인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들 더 얇은 재료들은 보다 쉽게 변형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이들이 짝 결합 또는 조립 시에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휘어지는 경우 손상을 받는다. 예를 들어, 전방 돌출 짝 결합부 둘레의 차폐부의 벽이 매우 얇아서 보다 쉽게 터지거나 또는 굴곡되는 성질이 있어서, 그 결과적 차폐부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커넥터와 대응 접속 수단과의 짝 결합에 간섭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위에서 확인된 다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커넥터 하우징 상에 차폐부를 지지하기 위한 매우 간단한 수단을 제공하면서도 하우징의 소형화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 하우징 상에 차폐부를 지지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수단을 포함하는 전술한 특징의 새롭고 개선된 차폐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를 장착한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면과 전방면의 전방으로 돌출한 짝 결합부를 구비하고 단자들의 접촉부는 짝 결합부 상에 위치된다. 도전성 차폐부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전방면과 맞닿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차폐부는 하우징의 짝 결합부를 둘러싸는 덮개(shroud)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대응 상호 결합 부분이 하우징과 차폐부 사이에 제공되어 하우징 상에 차폐부를 적당하게 유지시킨다. 특히, 리세스가 차폐부의 플랜지에 형성되고, 보스(boss)가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리세스 내로 돌출해서 차폐부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두께 및 폭은 어떤 식으로든 연장될 필요가 없다.
하우징의 짝 결합부는 그 긴 측면들을 한정하도록 연장되고, 차폐부의 덮개는 짝 결합부의 긴 측면을 덮는 긴 측벽을 구비한다. 리세스 및 보스는 긴 측면과 긴 측벽의 양단부의 대체로 중간에 위치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직각 커넥터이고, 커넥터 하우징의 짝 결합부는 기판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돌출하고 단자는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단자의 직각 미부는 적합한 회로 기판 트레이스에 접속하기 위해 기판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은 전방면에 대향하고 그로부터 단자가 돌출하는 후방면을 한정하는 비교적 좁고 긴 몸체부를 포함한다. 직각 미부는 하우징의 후방면에 바로 인접한 배열로 위치된다.
양호하게는, 유전성 하우징은 유지 보스와 일체로 된 단일체 성형 구조이다. 차폐부는 리세스가 차폐부의 플랜지의 외부 모서리에 있는 노치이거나 또는 플랜지를 통과하는 개구인 단일체의 스탬핑 및 성형된 구조이다.
더욱이, 하우징의 짝 결합부는 연장되고 하우징의 단부들은 짝 결합부의 양단부를 종방향으로 지나 돌출된다. 래치 탭(latch tab)이 짝 결합부의 양단부와 하우징 후방면에 있는 미부의 배열을 종방향으로 지난 위치에서 하우징 상의 래치 보스와 결합하도록 차폐부 상에 제공된다. 래치 탭은 차폐부의 플랜지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후방 돌출한다.
본 고안의 기타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본 고안의 특징들이 특히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잇점들과 함께, 본 고안은 동일 부품에 대해 전체적으로 동일 부호를 붙인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을 참고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그리고 먼저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10)에서 구체화된다. 커넥터의 부품들은 제3도의 분해 사시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부품들은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성형된 단일체 유전성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단자 미부 정렬기(14)가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단일체의 스탬핑 및 성형된 금속판 차폐부(16)가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한 쌍의 기판 로크부(18, boardlock)가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미부(22)가 미부 정렬기(14)의 구멍(24)을 통해 돌출한 복수의 직각 단자(20)들이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2)은 전방면(26a) 및 후방면(26b)을 구비한 긴 몸체부(26)를 포함한다. 짝 결합부(28)가 몸체부(26)의 전방면(26a)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짝 결합부는 D형 커넥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D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12)의 단부 또는 날개부(30)가 짝 결합부(28)를 종방향으로 지나 돌출하고, 단부의 전방면은 몸체부(26)의 전방면(26a)과 연속 평탄면을 형성한다. 수직 슬롯 또는 통로(32, 제3도)가 기판 로크부(18)를 수납하도록 단부(30)에 형성된다. 부가적인 수직 슬롯 또는 통로(34)가 미부 정렬기(14)의 다리부(36, 제3도)를 수납하도록 단부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38)이 대응 접속 장치에 커넥터(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합한 장착 및 안내 수단을 수납하도록 단부(30)에 형성된다. 한 쌍의 차폐부 유지 래치 보스(40)가 몸체부(26)의 하부 모서리에서 짝 결합부(28)를 지나 종방향으로 돌출하고, 네 개의 부가적인 래치 보스(42, 제1도)가 몸체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돌출한다. 마지막으로, 제2도 및 제3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보스(44)가 짝 결합부(28)의 상부 및 바닥부에서, 짝 결합부(28)의 양단부의 중간에 그리고 짝 결합부에 바로 인접해서 몸체부(26)의 전방면(26a)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미부 정렬기(14)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전성 재료로 일체식 성형된 단일체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20)의 미부(22)는 미부 정렬기의 구멍(24)을 통해 돌출한다. 이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적합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미부들을 정렬시키고 적절하게 이격시킨다. 또한, 미부 정렬기는 커넥터의 운송 중에 미부를 보호한다. 한 쌍의 일체식 장착 기둥(46, post)이 인쇄 회로 기판의 적합한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미부 정렬기의 하부로부터 돌출한다. 기둥은 기판 상의 커넥터의 분극을 허용하도록 상이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미부 정렬기의 다리부(36)는 다리부(36)가 조립 시에 하우징의 통로(34) 내로 삽입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12)의 단부(30) 내의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래치 수단에 미부 정렬기를 래칭시키기 위한 일체식 가요성 래치 아암(48, 제3도)을 구비한다.
각 기판 로크부(18)는 기판 로크부가 화살표 B 방향(제3도)으로 각각의 통로(32) 내로 삽입됨에 따라 하우징의 단부(30)에 있는 각각의 관통 구멍(38)과 정렬하는 관통 구멍(52)을 구비한다. 기판 로크부는 금속판재로 스탬핑 및 성형되고 장착 수단 및 안내 부재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접지 시스템이 기판 로크부와 인쇄 회로 기판의 적합한 장착 구멍 내로 로킹되는 각각의 기판 로크부의 한 쌍의 장착 다리부(54)를 통해 제공된다. 장착 다리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접지 트레이스에 납땜될 수 있다.
단자(20)는 하우징(12)의 몸체부(26)를 통해 하우징의 짝 결합부(28) 내로 돌출하는 몸체부(56)를 갖는다. 몸체부(56)는 전방 돌출 짝 결합부(28) 내의 트로프(trough) 또는 채널(60) 내에 위치되는 단자의 접촉부(58)에서 중단된다.
차폐부(16)는 금속판재로 스탬핑 및 성형된 단일체 구조이다. 덮개(66)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플랜지(62)로부터 드로잉된다. 따라서, 차폐부는 커넥터에 대한 추가적인 접지 수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2)의 짝 결합부(28) 내의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EMI/RFI 보호를 제공하도록 도전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폐부는 몸체부(26)의 전방면(26a)과 커넥터 하우징(12)의 단부(30)의 전방면에 대해 접촉하는 플랜지(62)를 포함한다. 플랜지의 단부들은 도전성 장착 볼트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의 구멍(38)과 기판 로크부(18)의 관통 구멍(52)과 정렬될 수 있는 트로프 구멍(64)을 포함한다. D형 덮개(66)는 하우징의 짝 결합부(28) 또는 그 내부의 접촉부를 대체로 둘러싸거나 또는 포위하도록 플랜지(62)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하우징의 몸체부(26) 및 짝 결합부(28)과 같이, 덮개(66)는 연장되고, 한 쌍의 긴 측벽을 한정한다. 한 쌍의 개구형 래치 탭(68)이 커넥터 하우징(12) 상의 래치 보스(40)와 스냅 결합하도록 플랜지(62)의 바닥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4개의 개구형 래치 탭(70, 제1도)이 커넥터 하우징(12) 바닥의 래치 보스(42)와 스냅 결합하도록 플랜지(62)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마지막으로, 노치(72, 제3도) 형태의 리세스가 덮개의 측벽(66a)이 양 단부 중간에서 플랜지(62)의 상부 및 바닥 모서리의 각각에 형성된다. 이들 리세스는 커넥터 하우징의 몸체부(26)의 전방면(26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유지 보스(44)를 수납한다.
제4도, 제5도 및 제7도는 유지 보스(44)가 차폐부(16)의 플랜지(62)의 상부 및 바닥 모서리의 리세스 또는 노치(72) 내로 커넥터 하우징의 몸체부(26)의 전방면(26a)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보스는 단지 짧은 거리, 즉 대략 플랜지의 금속판 두께만큼 돌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자체의 전체적인 치수가 보스(44)와 리세스(72)에 의해 제공된 대응 결합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6도는 유지 보스(44)가 차폐부의 플랜지(62)의 리세스(72) 내로 하우징의 몸체부(26)의 전방면(26a)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차폐부의 덮개(66)의 얇은 금속 측벽(66a)은 차폐부의 리세스(72) 내에서 하우징의 유지 보스(44)들의 상호 결합 때문에 화살표 방향(C)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굴곡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도면은 또한 보스가 차폐부의 플랜지(62)의 두께 이상으로 하우징의 전방면(62a)의 전방으로 돌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바닥의 유지 보스(44) 및 리세스(72)를 이용함으로써 하우징 몸체부(26)의 하부(27)는 하우징에 대한 횡방향으로 극히 얇아질 수 있다. 이는 몸체부(26)와 최단 단자 또는 미부(22)가 몸체부(26)에 가장 근접한 단자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최단 단자와 몸체부(26) 간의 거리의 감소는 또한 커넥터의 전체적인 횡방향 깊이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보다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유지 보스(44a)가 커넥터의 상부 및 바닥면으로 이격되고 차폐부의 플랜지(62)의 [노치(72)가 아닌] 개구(80) 내로 하우징(12)의 전방면(26a)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또, 보스는 플랜지의 금속판재의 두께 이상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중심적 특징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예 및 실시예들은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고안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들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9)

  1. 복수의 단자를 장착하고, 전방면과, 단자의 접촉부가 위치되고 전방면의 전방으로 돌출한 짝 결합부를 구비한 유전성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방면과 접촉하는 플랜지와, 하우징의 짝 결합부를 대체로 둘러싸는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의 유전성 차폐부와, 하우징 상에 차폐부를 적절히 유지시키기 위해 하우징과 차폐부 사이에 있고, 차폐부의 플랜지에 있는 리세스와,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리세스 내로 전방으로 돌출한 보스를 포함하는 대응 상호 결합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하우징은 상기 보스와 일체로 된 단일체 성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리세스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 및 스탬핑된 단일체 금속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짝 결합부는 연장되고, 하우징의 단부들은 짝 결합부의 양단부를 지나 종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짝 결합부의 양 단부를 종방향으로 지나는 위치에서 하우징 상의 래치 보스와 결합시키기 위한 하우징 상의 래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탭은 상기 플랜지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후방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짝 결합부는 긴 측면들은 한정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차폐부의 덮개는 짝 결합부의 긴 측면들을 덮는 긴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 및 보스는 상기 긴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와 각각의 긴 측벽의 대체로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짝 결합부가 기판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돌출하고, 단자는 단자의 직각 미부를 적합한 회로 트레이스에 접속하기 위해 기판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직각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방면에 대향하고 그로부터 단자들이 돌출하는 후방면을 한정하는 비교적 폭이 좁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 미부는 하우징의 상기 후방면에 바로 인접한 배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2019950023994U 1995-02-23 1995-09-05 차폐된 전기 커넥터 KR2001466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002129U JP3016128U (ja) 1995-02-23 1995-02-23 シールド付コネクタ
JP95-2129 1995-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12U KR960029712U (ko) 1996-09-17
KR200146618Y1 true KR200146618Y1 (ko) 1999-06-15

Family

ID=1152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994U KR200146618Y1 (ko) 1995-02-23 1995-09-05 차폐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47398A (ko)
EP (1) EP0729203A3 (ko)
JP (1) JP3016128U (ko)
KR (1) KR200146618Y1 (ko)
CN (1) CN2257089Y (ko)
MY (1) MY112959A (ko)
SG (1) SG5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826A (en) * 1997-02-21 2000-08-01 Berg Technology, Inc. Press fit circuit board connector
USD408014S (en) * 1997-05-30 1999-04-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TW330737U (en) * 1997-06-05 1998-04-2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high density plugs
US6200161B1 (en) 1998-04-03 2001-03-13 The Whitaker Corporatio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SG97837A1 (en) 2000-01-25 2003-08-2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plastic housing
USD434728S (en) * 2000-03-31 2000-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942521B1 (en) * 2004-08-10 2005-09-13 Nvidia Corporation VGA connector with integral filter
JP4335830B2 (ja) * 2005-03-23 2009-09-30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ナット付き電気コネクタ
JP4190015B2 (ja) * 2005-11-02 2008-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45975B2 (en) * 2007-01-30 2010-12-07 Pulse Engineering, Inc. Low-profi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JP6077835B2 (ja) * 2012-11-20 2017-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DE112014005221T5 (de) 2013-11-17 2016-08-18 Apple Inc. Steckverbinderbuchse mit einer Zunge
US10418763B2 (en) 2014-05-26 2019-09-17 Apple Inc. Connector insert assembly
US9356370B2 (en) 2014-05-26 2016-05-31 Apple Inc. Interposer for connecting a receptacle tongue to a printed circuit board
EP3471520B1 (en) 2017-10-10 2021-10-06 Vitesco Technologies GmbH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256Y2 (ja) * 1990-12-27 1997-07-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小型多極電気コネクタ
US5104326A (en) * 1991-01-25 1992-04-14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125853A (en) * 1991-05-21 1992-06-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 connector
US5147220A (en) * 1991-05-30 1992-09-15 Lybrand Brent B Board moun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340321A (en) * 1991-07-11 1994-08-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hielding shell
JP2570939Y2 (ja) * 1992-03-26 1998-05-1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US5163851A (en) * 1992-04-03 1992-11-17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formed wire boardlock and boardlock therefor
JP2540705B2 (ja) * 1992-12-01 1996-10-09 山一電機株式会社 シ―ルド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5344327A (en) * 1993-07-22 1994-09-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2235A1 (en) 1998-09-28
EP0729203A3 (en) 1999-09-01
MY112959A (en) 2001-10-31
EP0729203A2 (en) 1996-08-28
KR960029712U (ko) 1996-09-17
US5547398A (en) 1996-08-20
JP3016128U (ja) 1995-09-26
CN2257089Y (zh) 199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940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JP2869476B2 (ja) ロック手段を有する遮蔽電気コネクタ
KR200146618Y1 (ko) 차폐된 전기 커넥터
EP0881714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01823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device
US5622523A (en) Grounding device for use with shielded DIN connector
US5161999A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hnnector and shield therefor
US586322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883215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52164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KR100208639B1 (ko) 카드 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US6206728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044984A (en) Stackable connector assembly and bracket therefor
WO20030987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multiple ground planes
US2004001876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ention system for mounting onto a printed circuit board
US562252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811439B1 (en) Thin connector
US741644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vers
US5876247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97191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eady mating frame
US5820393A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function board lock
US621022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nhanced sideward impact resisting structure
US2008003256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435905B1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oard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