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300Y1 -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300Y1
KR200146300Y1 KR2019940017772U KR19940017772U KR200146300Y1 KR 200146300 Y1 KR200146300 Y1 KR 200146300Y1 KR 2019940017772 U KR2019940017772 U KR 2019940017772U KR 19940017772 U KR19940017772 U KR 19940017772U KR 200146300 Y1 KR200146300 Y1 KR 20014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guide structure
weigh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856U (ko
Inventor
이성춘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40017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300Y1/ko
Publication of KR960003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쇼케이스 도어의 폐문동작시 강제적인 닫힘력을 제공하는 무게추를 도어의 개폐문동작과 연동시키는 와이어 이동 안내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안내구조는 와이어 주행경로의 절곡부에서 방향절환되는 2지점의 위치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구조는 와이어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주벽에 구비하여 와이어가 구름접촉식으로 안내되는 도르레를 갖고 있고, 이의 도르레를 고정스크류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고정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의 이동이 부드럽고 무게추의 승강동작이 원활하여 도어의 폐문이 안정되고도 확실하고, 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쇼케이스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슬라이드식 도어의 폐문장치에 적용된 와이어 안내관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폐문장치에 적용되는 와이어 안내부재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폐문장치의 와이어 안내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쇼케이스 20 : 도어
500 : 안내구조 510 : 도르레
520 : 고정스크류
본 고안은 음료나 주류 등을 냉장 상태로 진열 보관시키는 쇼케이스의 도어, 즉 슬라이드식으로 열리고 닫히게 한 미닫이식 도어의 폐문시 무게 추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게 닫혀지도록 하는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폐문력을 제공하는 무게추가 현수되는 와이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는 음료나 주류 또는 식품 등을 냉장 상태로 진열 보관시키는 보관고 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쇼케이스는 통상 그 전면에 전시효과를 위한 투명한 도어를 설치하여 소비자가 고내의 저장물을 식별한 후 직접 도어를 열어 집어내게 하여서 판매효과를 얻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판촉효과를 위한 전시를 위해 필수적으로 도어를 설치하고 있는데, 그러한 도어는 크게 나누어 2개 방식의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보면 밀고 당기는 여닫이식의 도어와 미닫이식의 도어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쇼케이스는 도어의 빈번한 개문으로 고내의 냉기손실이 많아 저장실내의 온도 유지를 위한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사용 후 열어져 있는 도어를 빠른 시간 내에 닫혀지도록 하여 냉기의 손실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쇼케이스에서 여닫이식의 도어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도어의 열고 닫음 동작을 빠른 시간 내에 도어를 열고 닫아 냉기손실을 줄이고 있으나, 미닫이식의 도어에서는 그 도어를 열고 닫음 동작이 용이하지 못해 도어의 닫음 시간이 지연되고, 특히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못하고, 그 닫혀지지 않은 상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저장실의 밀폐도가 떨어지고 따라서 전력소비가 증대됨은 물론, 저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미닫이식의 도어에서는 도어의 폐문동작이 불안정하여 도어의 폐문작용시 닫는자의 밀어주는 힘 이외의 외력이 부가되게 하여 도어가 폐문위치에 까지 강제적으로 끌려가 완벽히 닫혀지도록 하고있다.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제1도에서와 같이 쇼케이스(10)의 전면 양측에 미닫이식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설치되는 도어(20)의 주위를 감싸 도어의 열고 닫음 동작을 안내하여 주는 테두리(30)내에 도어를 폐문위치에 까지 끌어당기는 폐문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20)의 주위를 이루는 테두리(30)는 도어의 상변과 측변에 걸쳐 설치되는데, 이때 도어(20)의 측벽을 감싸드는 테두리(30)는 쇼케이스(10)의 측벽에서 제공된다. 이ㄹ렇게 제공되는 테두리(30)내에 폐문장치(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폐문장치(40)는 도어(20)의 상변 내단으로부터 도어 상변 외단을 거쳐 쇼케이스 측벽에서 도어의 높이 절반이하에 까지 이어지는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41)와, 이의 와이어(41)의 끝단에 도어의 자중보다는 다소 무거운 중량의 무게를 가지고 매달리는 무게추(4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폐문장치(40)는 도어(20)가 열리면 그 도어의 개문력이 와이어(41)를 통해 전달되어 무게추(42)를 상측으로 끌어 올린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무게추(42)가 흘러 내려가게 된다. 이때 도어에 가해지는 밀음힘과 무게추(42)의 자중이 합산되어 도어의 닫음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며, 도어를 폐문위치에 까지 미쳐 밀지 못하고 중간에서 도어의 개문력이 제거되어도 흘러내리던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도어는 완전히 닫혀지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안 도어의 폐문장치(40)에서 도어가 얼리고 닫히는 것에 의해 무게추(42)를 끌어올리고 흘러내리게 하는 와이어(41)가 도면에서와 같이 도어의 외단측 모서리부위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쇼케이스(100)의 측벽면을 타고 흘러내려가 있어, 와이어(41)가 구부러지는 모서리부에 와이어(41)를 안내하는 안내구조(1O)를 필연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때 안내구조(50)는 도어(20) 상변에 걸쳐 설치되는 와이어와 쇼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위치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못하고 다소 어긋나게 위치되어 있다. 즉 도어의 상변에 위치되는 와이어에 대해 쇼케이스 측벽에 내려지는 와이어가 무게추의 설치 공간면적으로 다소 엇갈리어 설치된다. 그러한 안내구조(50)는 제2도에서와 같이 와이어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할 수 있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를 수평방향에서 후향으로 절곡하고 그 후향으로 절곡된 부위를 다시 하향으로 절곡하여 마치 크랭크형상과 같이 구성하고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안내구조(41)를 와이어(41)의 절곡부위에 스크류(51)로 고정 설치하는 브래킷트(52)로 설치하여 와이어를 3단계적으로 절곡시키며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데, 이때 안내구조(41)의 절곡부위 내주벽에 와이어가 직접 맞닿아 미끄럼 접촉되고 있는 것으로, 마찰계수가 크게 작용하여 그 미끄럼접촉이 매끄럽지 못하고, 따라서 와이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도어의 열고 닫음동작이 부드럽지 못할 뿐 아니라, 폐문동작시 무게 추의 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못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 와이어의 이동시 마찰계수가 크게 작용하여 안내구조(50)에 접하는 와이어의 접촉부분이 마모되어 쉽게 끊어지는 등 제품성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 이동의 미끄럼 마찰계수를 최소로 줄이어 이동이 부드럽고 무게 추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져 도어의 폐문작용이 완전하고 안정된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안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제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안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쇼케이스 도어의 폐문동작시 강제적인 닫힘력을 제공하는 무게 추를 도어의 개폐문동작과 연동시키는 와이어이동 안내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하게 되는데, 이 안내구조는 와이어 주행경로의 전곡부에서 방향 절환되는 2지점의 위치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구조는 와이어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주벽에 구비하여 와이어가 구름접촉식으로 안내되는 도르레를 갖고 있고, 이의 도르레를 고정스크류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고정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의 이동이 부드럽고 무게 추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여 도어의 폐문이 안정되고도 확실하고, 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3도면 제7도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고안 안내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500은 안내구조이다. 이 안내구조(500)는 도르레(510)와 고정스크류(520)로 구성되어 있다.
도르레(510)는 일측 단면이 막혀있는 중공의 관계로 이루어지어 그 외주벽에 와이어(41)가 절반이상으로 파묻혀 끼워지는 삽입홈(51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도르레(510)는 합성수지제 등을 이용하여 적합한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될 것이다.
이와 같은 도르레(510)는 이후에 설명할 고정스크류(520)에 의해 와이어(41)의 주행경로 적당한 위치에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문력으로 오르고 내리는 그 와이어가 부분적으로 휘감아져 구름접촉식으로 구동하게 된다.
또 고정스크류(120)는 도르레(510)가 끼워져 회전중심잡이를 이루는 지지부(521)와, 그 지지부(521) 끝단측에 다소 적은 굵기를 가지고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나사부(5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스크류(520)는 도르레(510)를 관통하여 설치할 위치에 설치시키는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나사부(522)와 지지부(521)의 외경차이로 도르레(510)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스크류의 지지부에서 회동하게 될 것이다.
제4도에는 본 고안 안내구조(5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안내구조(500)는 와이어(41)가 지나는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는데, 먼저 전방에다 와이어가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방향과 교차되는 수직방향으로 안내구조(500)를 설치하고, 그리고 이의 전방의 안내구조(500) 후방으로 다소의 간격을 가지고 또 하나의 안내구조(5OO)를 전방의 안내구조와는 교차방향으로 설치하여서 와이어(41)가 도어의 개폐문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도어의 이동방향과는 교차되는 후향으로 절곡되게 한 후, 그 후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다시 쇼케이스(100)의 측벽과 나란한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안내되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와이어(41)가 안내구조(500)의 도르레(510)에 휘감아져 와이어가 모르고 내리는 것에 따라서 도르레도 이와 함께 회전하며 이동되는 와이어를 미끄럼 마찰시키지 않고 구름접촉식으로 이동 안내시킴으로서, 와이어의 마찰을 최소로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와이어가 안내구조(500)에 구름 접촉식으로 이동 안내되게 함으로서, 와이어의 이동이 걸림이 없이 부드러워 무게 추의 승강 작용이 원활하고, 따라서 도어의 닫음시 닫음력이 해제됨과 동시 무게 추의 작용이 신속히 이루어져 도어를 정착하고도 빠른 시간 내에 안정되게 폐문시켜 밀폐성이 우수함은 물론, 도어를 정확히 폐문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가 구름접촉식으로 이동안내되어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을 최대로 방지하고, 와이어가 마모로 인한 절단되는 것을 예방하여 와이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재품성은 물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미닫이 식으로 열리고 닫히는 도어와 연동하며, 도어의 닫음력과 자중이 합산되어 도어를 강제적으로 폐문시키는 무게추에 도어의 개폐문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안내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내구조는 와이어가 삽입홈에 끼워져 마찰없이 구름접촉식으로 이동 안내되게 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와이어의 주행경로상에 고정설치 유지시키는 고정스크류로 구성된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KR2019940017772U 1994-07-18 1994-07-18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KR20014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772U KR200146300Y1 (ko) 1994-07-18 1994-07-18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772U KR200146300Y1 (ko) 1994-07-18 1994-07-18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856U KR960003856U (ko) 1996-02-14
KR200146300Y1 true KR200146300Y1 (ko) 1999-06-15

Family

ID=1938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772U KR200146300Y1 (ko) 1994-07-18 1994-07-18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856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361A (en) Slider door mechanism, running gear mechanism and closure return
KR100883579B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US7686405B2 (en) Self-closing sliding door assembly
US5803560A (en) Curved front construction for a merchandiser
US9532659B2 (en) Sliding door assembly for a refrigerated display case
US9510695B2 (en) Display chiller having automatic doors that open towards the interior of a cabinet
US20080276535A1 (en) Dual overhead track for a sliding door
WO1993018260A1 (en) Slider door return and running gear mechanisms
KR200146300Y1 (ko) 쇼케이스 도어 폐문장치의 구동 안내구조
CN110344705B (zh) 开门装置及其开门家电
US6141827A (en) Carrier slides for window coverings with stuck prevention
KR20070065751A (ko) 쇼케이스 도어
FR2881819B1 (fr) Guichet ouvrant en verre pour une installation refrigeree telle qu'un refrigerateur et installation refrigeree equipee d'un tel guichet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EP1525827A1 (en) Refrigerated showcase
US4641461A (en) Sliding door assembly
EP1703237B1 (en) Improved refrigerated exhibitor
CN220621691U (zh) 用于家用电器的门体及家用电器
US20020056529A1 (en) Coupling mechanism and panel for sectional door
KR100202713B1 (ko) 클로즈쇼케이스의 도어레일구조
KR100408956B1 (ko) 리치-인타입쇼케이스의자동닫힘슬라이드도어구조의도어정지구조
KR100419155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JP3640574B2 (ja) スライド扉用のレール構造
JP3470203B2 (ja) 冷蔵庫等における両引き式スライド扉の開閉装置
KR100281782B1 (ko)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쇼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