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146Y1 -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146Y1
KR200146146Y1 KR2019970007314U KR19970007314U KR200146146Y1 KR 200146146 Y1 KR200146146 Y1 KR 200146146Y1 KR 2019970007314 U KR2019970007314 U KR 2019970007314U KR 19970007314 U KR19970007314 U KR 19970007314U KR 200146146 Y1 KR200146146 Y1 KR 200146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bracket
container
p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903U (ko
Inventor
이부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7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14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9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향제용기(220)를 내측에 수용시켜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라켓(300)과, 상기 방향제용기(22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브라켓(300)의 내측에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브라켓(300)의 다수개소측에 배설된 간격조절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향제용기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 됨 없이 그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방향제용기의 선택을 폭넓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향제용기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그 크기나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본체의 흡입구측에 설치는 되는 흡입그릴체(100)가 있고, 상기 흡입그릴체(100)는 흡입구의 면적에 대하여 좌우 외곽정면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한쌍의 그릴사이드프레임(110)과,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수단(120)과,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쌍의 그릴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수단(130)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구동수단(140)과, 상기 구동수단(14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과,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동시 상하회동되면서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과,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이 상승동작된 후 하강동작될 때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중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이 유효행정거리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도어수단(160)과 함께 동시 동작되도록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에 상하동작가능케 설치된 서브슬라이더수단(170)과, 상기 도어수단(160)을 개방시키는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일정량의 방향제(향수)가 열교환기(미도시)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실내기본체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 역할을 할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배설된 방향제분사수단(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는 상기 에어필터(미도시)가 상부에서 수직으로 착탈가능케 삽입되도록 그들 내측면 후단에 일체로 돌설된 한쌍의 필터가이드레일(121)과,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을 각각 힌지결합하도록 그들 내측면에 대하여 전단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되지 않게 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홈(122)과,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중간단을 각각 힌지 결합하면서 일정한 행정거리로 상하회동되도록 그들 양측면 중앙에 대하여 상기 다수개의 힌지홈(122)의 사이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장공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4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중 하나의 내측면 하단에 설치된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그 양단에 고정된 피니언(142)을 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측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1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42)은 상기 회전축(143)의 양단에 압입고정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을 통해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는 상기 구동수단(140)의 회전축(143) 양단에 고정된 피니언(142)과 기어접촉되어 피니언(142)의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그들 하단 일측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부(151)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는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중간단과 힌지결합되어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을 상하회동시키도록 그들 양측면 전단에 대하여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홀(123)과 대응되게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과, 상기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이 탄발작용에 의해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 높이보다 상향되게 상승동작되거나 또는 누름압력에 의해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하강동작되도록 그들 상단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1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부(151)에는 상기 피니언(14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이 상하직선운동될 때 피니언(1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상단에 걸림턱(151a)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슬롯홀(152)중에서 최상단측 슬롯홀(152)의 상부는 상기 도어수단(160)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2 힌지축이 외부로 벗어나도록 절결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홈(122)에 힌지결합되도록 그들 양측면 하단에 각각 돌설된 제1 힌지축(161)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슬롯홀(152)에 삽입되도록 그들 양측면 중간높이에 각각 돌설된 제2 힌지축(1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힌지축(161)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제2 힌지축(16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분사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210)와,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210)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21)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본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도를 높이도록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210)는 상기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외측에 대하여 소정 높이에 일체로 돌설된 고정리브(154)에 복수개의 체결나사(230)를 매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후측면에 브라켓(240)을 매개로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상기 브라켓(240)에 흔들리지 않는 범위로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방향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부 개구를 밀폐함과 동시에 사이 누름부재(210)의 누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동작되면서 몸체(221)내의 방향제를 외부로 스프레이방식에 의해 분사시키도록 일측에 분사홀(222a)이 설치된 덮개(22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부 후측면에 나사결합되는 전기집진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그릴체(100)에 설치된 구동수단(140)의 모터(141)가 구동되면, 이 모터(141)의 기어(도시안됨)와 맞물림된 피니언(142)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43)에 의해 타측단에 고정된 또 다른 피니언(142)을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이들 피니언(142)은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하단에 형성된 랙기어부(151)와 각각 기어접촉된 상태에서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을 승하강시키게 되며,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은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을 상하회동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흡입구(5)의 면적을 폐쇄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즉, 구동수단(140)의 일방향구동에 따라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은 상부방향으로 동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수단(120)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슬롯홀(152)에 삽입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제2 힌지축(162)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힌지홈(122)과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에 돌설된 제1 힌지축(161)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흡입구(50)의 면적을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수단(140)의 반대방향구동에 따라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은 하부방향으로 동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수단(120)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슬롯홀(152)에 삽입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제2 힌지축(162)을 하부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힌지홈(122)과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에 돌설된 제1 힌지축(161)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흡입구(5)의 면적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53)에 의해 상하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된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은 슬라이드수단(150)의 상승동작시 상기 제2 힌지축(162)이 슬롯홀(152)을 통과하여 서브슬라이드수단(170)의 슬롯홈(171)에 삽입된 마찰작용에 의해 어느 순간까지 동시 상승되다가 가이드수단(120)의 최상단에 도달되는 순간에 상승동작이 멈추게 되고, 슬라이더수단(150)도 가이드수단(120)의 최상단에 도달되는 순간 슬라이더수단(150)의 하단에 대하여 랙기어부(151)의 하단측에 형성된 걸림턱(도시안됨)과 피니언(142)과의 접촉에 의해 상승동작이 멈추게 됨으로써 가이드부(153)내에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이 수용됨과 동시에 가이드부(153)의 지지돌기(도시안됨)와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의 지지홈(도시안됨)과의 간격내에 수용된 스프링(도시안됨)을 압축시키게 되고, 도어수단(160)의 제2 힌지축(162)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슬롯홀(152)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동작시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은 상기 제2 힌지축(162)이 슬롯홀(152)을 통과하여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의 슬롯홈(171)에 삽입된 마찰작용 및, 스프링(180)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속도보다 서서히 하강되면서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서브슬라이더수단(17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71)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측에 형성된 슬롯홀(152)의 상단절개부와 일치되는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동작시 상기 슬롯홀(152)의 유효행정거리를 이탈하는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의 제2 힌지축(162)을 구속하고, 슬라이더수단(150)의 상승동작시 제2 힌지축(162)과 슬롯홀(152)과의 재결합을 유도하여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의 동작불량을 미연에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에 나사결합된 방향제 분사수단(200)의 누름부재(210)가 동시 하강동작되면서 그 자유단이 가이드수단(120)의 후면에 브라켓(240)을 매개로 고정된 방향제용기(220)의 덮개(222)를 누르게 된다.
이때, 방향제용기(220)의 덮개(222)는 상기 누름부재(210)의 1회 누름력에 의해 작동부(부호도시안됨)가 하강동작되면서 몸체(221)내에 충전된 방향제를 펌핑함과 동시에 덮개(222)에 형성된 분사홀(222a)을 통하여 열교환기를 향해 일정량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에 분사된 방향제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실내기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송풍바람(흡입공기)에 의해 방사상으로 확산됨으로써 실내기본체 내의 먼지 및 이물질이나 또는 실내기본체 내부의 단열재 및 기계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게 되고, 또 토출되는 공기(차갑거나 또는 뜨겁게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청정도를 높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방향제용기(22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40)이 일정크기로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방향제용기(220)를 사용하는데 있어 그 크기나 형상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향제용기의 크기나 형태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하는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실내기본체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 역할을 할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의 내측면에 상기 방향제를 충진시키는 방향제용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용기를 내측에 수용시켜 상기 가이드수단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방향제용기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고정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다수개소측에 배설된 간격조절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체에 방향제분사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체에 방향제분사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공기조화기용 향발생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결합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1 : 방향제용기 300 : 브라켓
310 : 고정부 400 : 간격조절수단
410 : 나비너트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 제3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도어수단(미도시)을 개방시키는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일정량의 방향제(향수)가 열교환기(미도시)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실내기본체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측에 방향제가 충진된 방향제용기(220)가 브라켓(30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상기 브라켓(300)에 흔들리지 않는 범위로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방향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부 개구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부재(210)의 누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동작되면서 몸체(221)내의 방향제를 외부로 스프레이방식에 의해 분사시키도록 일측에 분사홀(222a)이 설치된 덮개(2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300)의 다수개소측에는 상기 방향제용기의 크기 및 형상변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방향제용기(221)를 고정시키도록 간격조절고정수단(40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간격조절고정수단(400)은 나비너트(4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라켓(300)의 내부 공간은 여러 가지 방향제용기(221)를 다양하게 수용가능토록 내측이 충분히 넓게 제작되어 있고, 다수개소측에는 상기 나비너트(410)가 나합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브라켓(300)을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체결나사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브라켓(300)의 내측에 방향제용기(220)의 몸체(221)를 내삽시킨 후, 상기 브라켓(200)의 다수개소측에 형성된 고정부(310)를 통하여 다수개의 나비너트(410)를 돌려서 상기 몸체(221)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몸체(221)의 크기에 따라 나비너트(410)를 돌리는 회전수가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몸체(221)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브라켓(300)의 내측면과 상기 몸체(221)의 외측면의 간격이 작아 나비너트(410)를 조이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고, 몸체(221)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브라켓(300)의 내측면 및 몸체(221)의 외측면에 이루는 간격이 크게 되어 나비너트(410)를 조이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방향제용기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됨 없이 그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방향제용기의 선택을 폭넓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내기본체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 역할을 할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의 내측면에 상기 방향제를 충진시키는 방향제용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용기(220)를 내측에 수용시켜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라켓(300)과, 상기 방향제용기(22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브라켓(300)의 내측에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브라켓(300)의 다수개소측에 배설된 간격조절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고정수단(400)은 나비너트(4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나비너트(410)가 나합되도록 고정부(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19970007314U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46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14U KR200146146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14U KR200146146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903U KR19980062903U (ko) 1998-11-16
KR200146146Y1 true KR200146146Y1 (ko) 1999-06-15

Family

ID=1949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314U KR200146146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1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903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688A (en) Apparatus for closing an air outlet door of an air conditioner
US5215218A (en) Electric toothpaste dispenser
US4580405A (en) Beverage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021504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EP0590536A1 (en) Damper
KR200146146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46145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46144Y1 (ko) 공기조화기용 향발생기의 작동장치
KR200154587Y1 (ko) 공기조화기용 향발생기의 작동장치
KR200154586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46139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1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3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2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100197729B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19980072990A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CN203099995U (zh) 空调器
KR19980062895U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00000745U (ko) 공조기기용 실내기
KR19980018988U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KR01521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N218924710U (zh) 用于去除活性炭上甲醛的处理装置
CN116181692A (zh) 一种出风座及出风装置
KR100420527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