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730Y1 -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 Google Patents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730Y1
KR200145730Y1 KR2019960015205U KR19960015205U KR200145730Y1 KR 200145730 Y1 KR200145730 Y1 KR 200145730Y1 KR 2019960015205 U KR2019960015205 U KR 2019960015205U KR 19960015205 U KR19960015205 U KR 19960015205U KR 200145730 Y1 KR200145730 Y1 KR 200145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ating body
reinforcing ring
coupl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356U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60015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730Y1/ko
Publication of KR980003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대문용 회전 로울러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통상의 절첩식 대문에 있어서, 지주골조의 하당에 설치되는 로울러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즉 로울러와 레일이 상호 접지되는 부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울러의 접지부에 보강링을 일체적으로 설치하므로서 로울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대문의 절첩을 매우 용이하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절첩식 대문용 회전 로울러(1)에 있어서, 로울러(1)를 2중의 회전체(2)로서 구성하고, 일측 회전체(2)의 요입부(6) 가장자리에는 수개의 결합공(7)을 천설하며, 타측 회전체(2)의 접지부위에는 나사공(8)을 형성하여 볼트(10)로서 2중의 회전체(2)를 결합하고, 회전체(2)의 접지부위 내측에는 환형요홈(4)을 형성하여 보강링(3)을 결합하여 활주할 시 보강링(3)에 의해 로울러(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대문용 회전 로울러 용도.

Description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 2 : 회전체
3 : 보강링 4 : 환형요홈
5 : 중심축공 6 : 요입부
7 : 결합공 8 : 나사공
9 : 베어링 10 : 볼트
11 : 커버 12 : 축봉
13 : 보호캡 14 : 지주골조
15 : 대문 16 : 레일
17 : 결합홈
본 고안은 통상의 절첩식 대문에 있어서, 지주골조의 하당에 설치되는 로울러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로울러와 레일이 상호 접지되는 부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울러의 접지부에 보강링을 일체적으로 설치하므로서 로울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대문의 절첩을 매우 용이하게 한 것이다.
통상 각종 대형의 건축물이나 주택 또는 관공서등의 입구에는 절첩식 대문을 설치하여 주로 횡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절첩식 대문의 경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절첩식 대문의 경우는 지주골조를 상호연결하여 이의 하부에 로울러를 각각 설치하므로서 레일을 활주하면서 개폐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존의 대문은 지주골조의 하부에 설치된 로울러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으로 이는 중량이나 가격등을 감안하여 주로 알미늄 합금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서 로울러를 구성하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대문의 지주골조 하부에 착설된 로울러가 레일의 상부측으로 활주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어 레일과 로울러의 접지분위에 심한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로울러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지주골조의 로울러에 의한 슬라이딩이 어려워 대문의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대문용 지주골조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의 구조를 개량하여 로울러가 레일을 활주하면서 마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편으로는 로울러를 기존의 경우와 같이 단일의 구성으로 하지 않고 2중으로 구성하여 레일과 접지되는 부위에 보강링을 결합하므로서 마모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함은 물론 대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며, 특히 각 회전체의 외측에는 보호커버를 결합하므로서 베어링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단일 재질로서 회전체(2)의 양측에 베어링(9)을 삽입할 수 있는 요입부(6)를 형성하고, 중앙을 관통하는 중심축공(5)에는 축봉(12)을 결합하여 보호캡(13)에 의해 지주골조(14)를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회전 로울러(1)의 구성에 있어서, 회전 로울러(1)를 2중의 회전체(2)로서 분할하여 구성하고, 일측 회전체(2)의 요입부(6) 가장자리에는 수개의 볼트(1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7)을 각각 천설하며, 타측 회전체(2)의 상호 접지되는 부위에는 나사공(8)을 형성하여 볼트(10)로서 2중으로 구성된 회전체(2)를 상호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각 회전체(2)의 외측에는 환형으로 된 결합홈(17)을 각각 형성하여 보호커버(11)를 결합하므로서 내부의 베어링(9)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각 회전체(2)의 접지되는 부위의 내측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환형요홈(4)을 형성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한 재질로 된 보강링(3)을 상호 결합하여 각각의 회전체(2)를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대문(15)의 레일(16)을 활주할 시 보강링(3)에 의해 로울러(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게 구성하지 않고 로울러(1)의 회전체(2)를 단일로 구성하되, 스테인레스 등의 내마모성이 양호한 보강링(3)을 일체적으로 다이케스팅 공법으로 매입 성형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의 구성중 보강링(3)을 매입하는 것은 알미늄 합금 등의 재질일 경우는 다이케스팅 공법으로 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 종류의 재질일 경우는 사출 등의 공법으로 일체적으로 인서트 매입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각종의 횡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는 절첩식 대문(15)의 지주골조(14) 하단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레일(16)의 상부를 활주하면서 대문(15)을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인 바,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대문(15)을 이루는 지주골조(14)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 있는 로울러(1)의 구조를 2중의 회전체(2)로 구성하여 이를 볼트(10)에 의해 단일로 결합하므로서 로울러(1)를 구성하되, 각 회전체(2)의 접지부위에는 환형요홈(4)을 형성하여 상기 환형요홈(4)에 스테인레스 등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보강링(3)을 결합하므로서 로울러(1)가 레일(16)의 상부에서 활주할 시에 이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도중 접지되는 부위에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회전체(2)의 외측에는 결합홈(17)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는 규격에 부합하는 크기로서 보호커버(1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우천시나 악천후 시 또는 먼지나 이물질의 발생이 잦을 경우는 각 보호커버(11)에 의해 베어링(9)을 포함한 로울러(1)의 내부가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베어링(9)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지주골조(14)로서 구성된 대문(15)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각각의 베어링(9)이 결합될 수 있는 회전체(2)의 요입부(6) 내주면에는 볼트(1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7)이 형성되어 타측의 회전체(2)에 형성된 나사공(8)과 상호 결합하되, 각 회전체(2)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요홈(4)에는 보강링(3)을 끼움으로 결합하므로서 된 것으로, 이때 각 회전체(2)를 결합하는 볼트(10)의 두부(頭部)는 결합공(7)의 내부로 완전히 함입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요입부(6)에는 베어링(9)을 결합하고 각각의 볼트(10)는 타측 회전체(2)의 나사공(8)에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로울러(1)의 기능은 그대로 달성하면서 부가적인 마모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각 회전체(2)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천설된 중심축공(5)의 내부에는 축봉(12)이 결합되어 완성된 로울러(1)를 구성하고, 이의 외측에는 대략형의 보호캡(13)을 결합하여 지주골조(1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심축공(5)에 결합된 축봉(12)을 기점으로 요입부(6)의 내부에 결합된 베어링(9)에 의해 2중의 회전체(2)로서 구성된 로울러(1)가 일체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각 회전체(2)의 외측 요입부(6)의 내부에는 베어링(9)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경우와 같이 회전을 원할하게 하면서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은 로울러(1)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보강링(3)에 의해 레일(16) 상부를 활주할 시에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로울러(1)의 사용수명을 일층 향상시킴은 물론 레일(16)과 로울러(1)의 접지부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대문(15)의 개폐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중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의 경우는 기본적인 고안과 같이 로울러(1)를 각각의 회전체(2)로서 분리 구성하지 않고 단일의 로울러(1)로서 구성하되, 이는 알루늄 합금이나 합성수지 종류의 다양한 재질로서 보강링(3)을 인서트 성형할 수도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알미늄일 경우는 다이케스팅 공법으로 로울러(1)의 레일(16)이 접지되는 부위에 보강링(3)을 매입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합성수지 종류의 경우는 보강링(3)을 인서트 사출이나 성형의 공법으로서 제조할 수 있는 것인 바, 이는 제작의 용이성이나 여건 또는 경비 및 견고성 등을 감안하여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역시 본 고안이 기본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경우는 제작이 매우 용이하여 양산성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내마모성이 뛰어나 각종의 절첩식 대문의 회전 로울러로서 매우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절첩식 대문의 지주골조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로울러의 구조를 개량하므로서 사용도중 레일에 접지된 상태로서 왕복운동을 할 시에 발행하는 마모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로울러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시킴은 물론 대문의 개폐를 매우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경우에 비해 제조원가가 크게 앙등됨이 없이 상기에서 살펴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각각의 회전체의 외측에는 베어링과 로울러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호커버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베어링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절첩식 대문용 회전 로울러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회전체(2)의 양측에 베어링(9)을 삽입할 수 있는 요입부(6)를 형성하고, 중심축공(5)에는 축봉(12)을 결합하여 보호캡(13)에 의해 지주골조(14)를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회전 로울러(1)에 있어서, 로울러(1)를 2중의 회전체(2)로서 분할하여 구성하고, 일측 회전체(2)의 요입부(6) 가장자리에는 수개의 볼트(1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7)을 각각 천설하며, 타측 회전체(2)의 접지부위에는 나사공(8)을 형성하여 볼트(10)로서 2중으로 구성된 회전체(2)를 상호 결합하고, 각 회전체(2)의 외측에는 결합홈(17)을 형성하여 보호커버(11)를 결합하되, 회전체(2)의 접지부위 내측에는 환형요홈(4)을 형성하여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한 보강링(3)을 상호 결합하므로서 레일(16)의 상부를 활주할 시 보강링(3)에 의해 로울러(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대문용 회전 로울러.
  2. 제1항에 있어서, 로울러(1)의 회전체(2)를 단일로 구성하되, 스테인레스 등의 내마모성이 양호한 보강링(3)을 일체적으로 매입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대문용 회전 로울러.
KR2019960015205U 1996-06-03 1996-06-03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KR200145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205U KR200145730Y1 (ko) 1996-06-03 1996-06-03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205U KR200145730Y1 (ko) 1996-06-03 1996-06-03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356U KR980003356U (ko) 1998-03-30
KR200145730Y1 true KR200145730Y1 (ko) 1999-06-15

Family

ID=1945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205U KR200145730Y1 (ko) 1996-06-03 1996-06-03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7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356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618B2 (en) Dual durometer roller guide member for track guided door
CN209413577U (zh) 一种闭锁及使用该闭锁的人防门
EP1228683A3 (de) Mähdrescher mit einem Rotationsförderer
KR200145730Y1 (ko) 절첩식 대문용 회전로울러
DE102012015960A1 (de) Elektronisch kommutierter Außenläufermotor
EP0394651B1 (de) Druckluftlamellenmotor
DE2004393A1 (de) Flüssigkeitsring Gaspumpenaggregat
EP2662570B1 (de) Vakuumpumpe
US2795445A (en) Window lock
CN101560847A (zh) 拉手锁
DE2460949A1 (de) Rotormaschine
CN207377339U (zh) 一种可快拆装的节能门窗
CN106121457A (zh) 弹性折叠冰箱门
CN209324183U (zh) 一种淋浴门用转轴合页
CN217522654U (zh) 一种抗磨损转子
CN216112184U (zh) 一种24出的阀头结构
CN217481353U (zh) 一种发动机进气阀阀盖组件
CN209818882U (zh) 一种法兰连接截止阀
CN216259423U (zh) 一种过滤器及滤网外壁旋刮机构
CN219637762U (zh) 一种防冲击式摆闸
CN217841164U (zh) 执手底座
CN208900023U (zh) 一种双折剪式扇门内扇叶定中及减磨结构
FI113795B (fi) Saranaheloituksilla varustetut ikkuna tai ovi
DE8602905U1 (de) Flügelzellenpumpe
CN216320329U (zh) 一种过滤器及旋刮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