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648Y1 -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648Y1
KR200145648Y1 KR2019940013272U KR19940013272U KR200145648Y1 KR 200145648 Y1 KR200145648 Y1 KR 200145648Y1 KR 2019940013272 U KR2019940013272 U KR 2019940013272U KR 19940013272 U KR19940013272 U KR 19940013272U KR 200145648 Y1 KR200145648 Y1 KR 200145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thread
tight frame
top plat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20U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황갑석
주식회사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갑석, 주식회사대산 filed Critical 황갑석
Priority to KR2019940013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648Y1/ko
Publication of KR960001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81Repairing or restoring roofing or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04D3/352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being located between non-insulating layers, e.g. double skin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레트지붕의 보수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격자형태로 배열된 상하부형강, 상기 상부형강위에 놓여진 스레트, 상기 스레트위에 놓여지도록 파형으로 형성된 타이트프레임, 상기 스레트위에 놓여지는 저밀도의 단열재, 상기 타이트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가 덮어지도록 파형으로 형성된 단위규격의 상판,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타이트프레임에 체결되는 클립을 구비하는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지붕을 보수 시공할 때 스레트를 철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수 시공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레트 위에서 작업이 진행됨으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저밀도의 단열재 사용이 가능하여 지붕 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상판 설치용 부품들이 미리 조립된 타이트프레임을 이용함으로 지붕 보수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타이트프레임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타이트프레임의 일부 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상,하부형강 12 : 기존스레트
13 : 단열재 14 : 상판
15 : 걸림턱 20 : 타이트프레임
21 : 기판 22 : 연결구
23 : 끼움홈 24 : 걸림구
25 : 볼트 26 : 받침구
27 : 받침관 28 : 받침봉
30 : 클립 31 : 끼움봉
본 고안은 스레트지붕 보수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레트지붕 위에 단열재와 상판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보수시공이 간편하도록 한 스레트 지붕의 보수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레트지붕은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의 지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레트지붕은 그 설치가 간단하고 방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열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건물내부의 단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레트지붕을 철거하고 단열성이 우수한 단열재를 구비하는 지붕으로 교체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스레트 지붕을 철거한 다음, 건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상부형강에 볼트가 구비된 브래킷과 하판을 설치하고, 또한 단열재가 결합된 상판을 하판위의 볼트에 결합함으로써 건물의 지붕 단열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스레트 지붕을 철거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상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하판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자가 지붕골격을 구성하는 상하부형강 위에서 떨어져 다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스레트지붕위에 타이트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단열재와 상판을 설치함으로서 스레트지붕을 철거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별도의 하판이 불필요하도록 한 스레트지붕 보수시공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존 스레트지붕의 파형형상에 대응되도록 같은 형상으로 된 기판의 융출부 소정개소마다 끼움홈이 형성된 연결구와, 받침봉과, 볼트 등을 고정하여 타이트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타이트프레임의 연결구에는 신설지붕 상판의 양단을 고정시켜 주는 클립을 결합하고, 상기 받침봉에는 단열재를 고정시켜 주는 받침구를 결합하고, 상기 볼트에는 신설지붕상판(14)의 중간부분을 잡아주는 걸림구를 결합하여 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에 의하면, 격자형태로 배열된 기존의 상,하부형강(10)(11), 상부형강(10)위에 놓여진 기존의 스레트(12), 이 스레트(12)위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즉 상부형강(10)의 직상부 마다 놓여진 다음 드릴로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에 나사못(20a)으로 체결고정되는 파상형의 타이트프레임(20), 타이트프레임(20)과 스레트(12)위에 놓여진 저밀도의 단열재(13), 그리고 단열재(13)위에 놓인 다음 타이트프레임(20)에 고정되는 역시 파형의 상판(14)이 표현되어 있다. 또 서로 대응되는 상판(14) 끼리의 연결부에 타이트프레임(20)에 체결되는 클립(30)이 구비된다.
상기 타이트프레임(20)은 제2도에 의해 자세히 표현되어 있다. 이 타이트 프레임(20)은 기존 스레터(12)와 상부형강(10)에 나사못(20a)으로 체결고정되는 기판(21), 기판(21)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부중앙에 클립(30)의 하단 끼움봉(31)이 끼워지는 끼움홈(23)이 형성된 연결구(22), 연결구(22) 사이의 기판에 형성되고 상판(14)의 걸림턱(15)에 걸리는 걸림구(24), 그리고 걸림구(24) 사이의 기판(21)에 형성되어 상판(14)의 저면을 떠받치는 받침구(26)가 구비된다.
여기서 기판(21)은 스레트(12)의 표면과 접하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받침구(26) 및 걸림구(24)는 상판(14)과 동일하게 파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클립(30)의 하단에는 끼움홈(23)에 결합되는 끼움공(31)이 형성되고, 받침구(26)는 기판(21)에 입설된 받침봉(28)에
끼워지는 중공상의 받침관(27)이 형성된다. 한편 걸림구(24)는 기판(21)에 입설된 볼트(25)에 결합된다. 또한 클립(30)은 상판(14)의 표면과 동일하게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스레트지붕 보수시공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건물의 천장에 상,하부형강(10)(11)이 격자형태로 설치되고 상부형강(10)에 스레트(12)가 설치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다수개의 타이트프레임(20)이 나사못(20a)으로 tm레트(12)에 체결고정된다. 이때 타이트프레임(20)이 상부형강(10)의 직상부 마다 설치됨으로 나사못(20a)이 기판(21), 스레트(12) 및 상부형강(10)을 동시에 결속시킨다.
또한, 저밀도의 단열재(13)가 스레트(12)위에 놓여진 다음 상판(14)이 타이트프레임(20)에 결합된다. 이때 걸림구(24)가 걸림턱(15)에 끼워지고 받침구(26)가 상판(14)의 저면에 받쳐진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상판(14)은 클립(30)으로 연결된다. 즉, 클립(30)의 끼움봉(31)이 연결구(22)의 끼움홈(23)에 끼워지며 서로 대응되는 상판(14)이 연결된다.
이처럼 보수시공되는 지붕은 상부형강(10)위에 스레트(12)가 설치된 상태에서 보수작업이 진행됨으로 작업자가 떨어져 다칠 우려가 없으며 스레트(12)를 철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스레트(12)위에 저밀도의 단열재(13)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붕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타이트프레임(20)에 다수개의 연결구(22)와 받침구(26)의 걸림구(24)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지붕을 시공할때는 정해진 개수의 타이트프레임(20)만 설치하면 됨으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붕을 보수시공할 때 스레트를 철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수시공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레트 위에서 작업이 진행됨으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저밀도의 단열재 사용이 가능하여 지붕 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상판 설치용 부품들이 미리 조립된 타이트프레임을 이용함으로 지붕 보수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준 스레트의 파형 형상에 대응되도록 파형 형상으로 된 기판(21)의 융출부 소정개소마다 끼움홈(23)이 형성된 연결구(22)와, 받침봉(28)과, 볼트(25) 등을 고정하여 타이트프레임(20)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구(22)에는 신설지 붕상판(14)의 양단을 고정시켜 주는 클립(30)의 끼움봉(31)을 결합하고, 상기 받침봉(28)에는 단열재(13)를 고정시켜 주는 받침구(26)의 받침관(27)을 결합하고, 상기 볼트(25)에는 신설지붕상판(14)의 중간부분을 잡아주는 걸림구(24)를 결합하여서된 스레트지붕 보수시공 구조.
KR2019940013272U 1994-06-08 1994-06-08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KR200145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72U KR200145648Y1 (ko) 1994-06-08 1994-06-08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72U KR200145648Y1 (ko) 1994-06-08 1994-06-08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20U KR960001920U (ko) 1996-01-19
KR200145648Y1 true KR200145648Y1 (ko) 1999-06-15

Family

ID=1938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272U KR200145648Y1 (ko) 1994-06-08 1994-06-08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9B1 (ko) 2009-08-07 2012-02-22 유지성 조립식 지붕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94B1 (ko) * 2000-05-31 2006-12-04 한라공조주식회사 배기열 회수장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9B1 (ko) 2009-08-07 2012-02-22 유지성 조립식 지붕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20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6011A2 (ko)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US20110192098A1 (en) Solar Panel mounting system and installation
JP2019190269A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架台
WO2015122558A1 (ko)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KR102195701B1 (ko) 태양광 모듈 클램프 장치
KR200392080Y1 (ko) 지붕판 고정장치
KR200145648Y1 (ko) 스레트지붕 보수 시공구조
KR20110009644A (ko)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JPH06300463A (ja) 高温工業炉屋根構造物
CN212671128U (zh) 一种上拉式悬挑脚手架
CN109441025B (zh) 一种装配式屋面檐口支撑杆组件、支撑单元及安装方法
KR20000025876A (ko) 태양 전지 프레임 고정 구조
KR20120043469A (ko) 지붕패널 상부 태양광발전유닛 설치용 브라켓 모듈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JPH112005A (ja) 屋根設置型ソーラパネル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構造
CN113488936A (zh) 多功能组合墙担
KR200414681Y1 (ko) 조립식 울타리를 갖는 배전반
CN216959193U (zh) 一种可提高防火封堵性能的桥架结构
KR102600895B1 (ko) 지붕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클램프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KR930000424Y1 (ko) 건물의 단열패널 고정구
JP2000073561A (ja) 外部支柱の設置方法
KR102525772B1 (ko) 태양광 모듈 외벽 시공장치
CN116576304B (zh) 层面多功能组合支架系统
KR102437236B1 (ko) 내진 무용접 외장판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