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82Y1 - 휴대용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82Y1
KR200144882Y1 KR2019950022771U KR19950022771U KR200144882Y1 KR 200144882 Y1 KR200144882 Y1 KR 200144882Y1 KR 2019950022771 U KR2019950022771 U KR 2019950022771U KR 19950022771 U KR19950022771 U KR 19950022771U KR 200144882 Y1 KR200144882 Y1 KR 200144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vacuum cleaner
dischar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091U (ko
Inventor
박이송
노영풍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22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82Y1/ko
Publication of KR970008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8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토출구를 개, 폐할 수 있는 덮개가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중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가 닫혔을 때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진공청소기
제1도는 일반적인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토출구를 개, 폐하는 개폐수단 및 토출장치를 보인 진공청소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덮개와 개폐판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로서,
(a)는 닫힌상태의 단면도.
(b)는 개방상태의 단면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장치를 보인 진공청소기의 측단면도.
(b)는 (a)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1 : 덮개
22,26 : 토출공 23 : 안내공
25 : 개폐판 27 : 레버
31 : 안내구(具) 35 : 마개
37 : 호스
본 고안은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배출구를 개, 폐할 수 있는 덮개를 마련하고, 이 배출공기를 한 곳으로 배출시켜 청소리로 청소하기 어려운 곳에 뿜어줄 수 있는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로서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모타와 필터(미도시) 등이 내장된 본체(10)의 상측에 손잡이(1)가 마련되고, 이 손잡이 일측에는 청소기를 온, 오프(On, Off) 시키는 스위치(2)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의 전면에는 임루질을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고 이 이물질은 본체에 내장된 필터(미도시)에서 걸려진다. 또 본체의 우측면에는 흡입구(3)를 통하여 유입되되,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가 형성되고, 본체의 배면 일측에는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이 감겨서 보관되는 코드릴(Cord Reel)(5)이 내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우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만 있고, 이를 개, 폐하는 수단이 없다.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다 보면 모서리나 홈과 같은 부분에 있는 먼지는 청소기의 흡인력이 대단히 세지 않으면 흡수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먼지가 쌓인 곳을 입김으로 불거나 또는 먼지털이 등으로 털어서 별도로 청소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기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중 필터링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 폐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이 배출공기를 별도의 토출장치로 토출시켜서 청소기로 흡입하기가 어려운 곳에 뿜어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배출구를 폐쇄하므로서 개방된 토출구를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세게 하고, 이 센 압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청소기로 흡입하기가 어려운 곳에 뿜어줌으로서 사용자가 입김으로 불거나 별개의 도구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편리한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중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가 닫혔을 때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구를 개, 폐하는 개폐수단 및 토출장치를 보인 진공청소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와 개폐판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모타와 필터(미도시) 등이 내장된 본체(100)가 마련된다. 이 본체(100)의 상측에 손잡이(1)가 마련되고, 이 손잡이 일측에는 청소기를 온, 오프(On, Off)시키는 스위치(2)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의 전면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고 이 이물질은 본체에 내장된 필터(미도시)에서 걸려진다. 또 본체의 우측면에는 흡입구(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중 걸러진 공기가 토출되는 배출구(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4)는 장공 형상이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공의 폭(E)은 배출공 사이의 간격(F)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또 본체의 배면 일측에는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이 감겨서 보관되는 코드릴(Cord Reel)(5)이 내향, 형성된다. 이상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상기 배출구(4)를 개, 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과 흡입된 공기가 고압으로 토출되는 토출장치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고안에 다른 개, 폐수단을 제2,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출구(4)가 형성된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21)와 상기 덮개에 결합되는 개폐판(25)으로 마련된다. 상기 덮개(21)는 토출공(22)이 형성되되, 이 토출공(22)은 상기 배출공(4)과 동일형상이며 동일간격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중앙부는 상기 개폐관(25)이 삽입될 수 있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토출공(22)과 덮개의 하단 사이에는 안내공(23)이 형성된다. 이 안내공의 폭(G)은 상기 배출공 사이의 폭(F)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이 안내공에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판의 레버(27)가 결합되어 수평운동한다. 상기 개폐판(25)은 상기 덮개(21)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수평운동을 하면서 상기 토출공(22)을 개, 폐한다. 상기 개폐판에도 덮개(21)에 형성된 토출공(22)과 동일형상 및 동일간격의 유출공(26)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토출공(22)과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판이 수평운동을 하면서 덮개의 토출공(22)과 개폐판의 유출공(26)이 일치하면 배출공(4)으로 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덮개의 토출공과 개폐판의 토출공 사이의 판이 일치되면 배출공(4)이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듯이 토출공 사이의 간격은 토출공의 폭과 적어도 같게 마련되므로 토출공 사이의 판이 토출공을 완전히 닫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은 본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개폐판으로 배출공을 닫았을 때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판의 하측에는 레버(27)가 결합된다. 이 레버의 저면에는 나사가 마련되고 레버의 몸체는 상기 안내공(2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이 레버는 상기 안내공보다 조금 작게 마련되는데, 이는 레버가 안내공의 내주연에 꽉 끼여서 수평운동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토출장치(30)를 제2,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공청소기 후측에 내장된 깔때기 형상의 배출공기 안내구(具)(31)와 이 안내구와 연통되도록 배면에 형성된 토출구(34) 및 이 토출구를 개, 폐시키는 마개(35)로 마련된다. 상기 안내구(具)(31)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진공청소기 본체의 후측에 내장된다. 이 안내구(具)는 개구부의 면적이 큰 쪽이 배출공기가 배출되는 쪽으로 향하고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쪽은 토출구(34)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구(具)의 개구부 중 면적이 작은 쪽의 측면에는 결합 안내홈(32a)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홈(32a)과 연통되도록 결합홈(32)이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이 결합홈에 아래에서 설명할 마개(35)와 호스(37)에 형성된 결합돌기(35a, 37a)가 끼워져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34), 즉 안내구(具)(31)의 개구부중 면적이 작은 쪽은 마개(35)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마개를 열고 상기 토출구(34)에 호스(37)를 결합하여 배출공기가 안내구를 통하여 호스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마개(35) 및 호스(37)의 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안내홈(32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35a, 37a)가 각각 마련된다. 이 결합돌기(35a, 37a)를 안내홈(32a)에 삽입하여 마개 및 호스를 회전시키면 토출구(34), 즉 안내구의 개구부 중 면적이 적은 쪽에 마개 또는 호스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체(100)에 형성된 배출공(4)과 덮개의 토출공(22)이 동심을 이루도록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 개폐판을 삽입하고, 덮개의 안내공(23)을 통하여 레버(27)를 개폐판에 결합한다. 또 토출장치(30)를 진공청소기 본체(100)에 설치하는데, 배출공기 안내구(具)(31)의 개구부중 면적이 큰 쪽이 본체로 향하고 면적이 작은 쪽이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토출구(34)에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보통의 경우에는 마개(35)로 상기 토출구(34)를 폐쇄시키고, 개폐판을 개방하여서 청소기를 가동시켜 이물질을 흡입하면 된다. 이때 흡입이 어려운 모서리 부위를 청소하려면 개폐판으로 배출공(4)을 닫고 마개를 떼어낸 후, 상기 토출구(34)에 호스를 결합한다. 그리고 청소기를 가동시키면 배출공기는 개방된 토출구로만 토출되는데, 이 토출공기는 토출구의 면적이 작으므로 인하여 센 압력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호스를 모서리 부위로 향하게 하고 그 부위로 배출공기를 뿜어서 먼지를 흩어지게 한 후 흡입구를 통하여 먼지를 흡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은 청소기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중 필터링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 폐하고 면적이 작은 토출구로 공기를 센압력으로 토출시키므로서, 즉 청소기로 흡입하기가 어려운 곳에 뿜어줌으로서 사용자가 입김으로 불거나 별개의 도구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편리한 특징이 있다.

Claims (5)

  1. 휴대용 진공청소기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3),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중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 상기 배출구(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4)가 닫혔을 때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 토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개 개, 폐 수단은,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4)와 동일형상 및 동일간격으로 토출공(22)이 마련되고 상기 토출공(22)이 배출구(4)와 동심을 이루도록 본체에 설치된 덮개(21)와, 상기 덮개(21)와 본체(100)사이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 유출공(26)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22)을 개, 폐하는 개폐관(25)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안내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26)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공(23)을 따라 수평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26)이 토출공(22)을 개, 폐하도록 하는 레버(27)가 돌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는,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토출구(34), 개구부의 면적이 큰 쪽은 본체의 내부로 향하고 작은 쪽은 상기 토출구(34)에 결합된 깔때기 형상의 배출공기 안내구(具)(31), 상기 안내구(具)를 개, 폐하는 마개(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안내구(具)의 측면에는 안내홈(32a)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면적이 작은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홈(32a)과 연통된 결합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외주연에는 상기 안내홈(32a)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3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KR2019950022771U 1995-08-29 1995-08-29 휴대용진공청소기 KR200144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771U KR200144882Y1 (ko) 1995-08-29 1995-08-29 휴대용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771U KR200144882Y1 (ko) 1995-08-29 1995-08-29 휴대용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91U KR970008091U (ko) 1997-03-27
KR200144882Y1 true KR200144882Y1 (ko) 1999-06-15

Family

ID=6089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771U KR200144882Y1 (ko) 1995-08-29 1995-08-29 휴대용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91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20B1 (ko) 전기 청소기
US7325274B2 (en) Vacuum cleaner with dust collecting device
US5020187A (en)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20100306955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491534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GB2411823A (en) Convertible wet or dry suction cleaner
US2639005A (en) Liquid suction device
KR200144882Y1 (ko) 휴대용진공청소기
US20050071945A1 (en) Airflow diverter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and upright-type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6725499B2 (en) Hose cleanout for vacuum cleaner
US7478456B2 (en) Moun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ccessory
US8141200B2 (en) Air inlet for a vacuum cleaner
CN210095642U (zh) 清洁设备的附件刷、附件组件及清洁设备
US7383606B2 (en) Vacuum cleaner
JP2004024887A (ja) 電気掃除機
KR19980013972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20010017683A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0133761B1 (ko)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
KR100299696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JP3810602B2 (ja) 吸込具およびこの吸込具を用いた循環式電気掃除機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KR950001563Y1 (ko)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KR200144887Y1 (ko) 진공청소기
KR200221329Y1 (ko) 청소기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의 습기배출장치
KR0148951B1 (ko) 진공청소기의 가요성 네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