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78Y1 -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78Y1
KR200144878Y1 KR2019950008822U KR19950008822U KR200144878Y1 KR 200144878 Y1 KR200144878 Y1 KR 200144878Y1 KR 2019950008822 U KR2019950008822 U KR 2019950008822U KR 19950008822 U KR19950008822 U KR 19950008822U KR 200144878 Y1 KR200144878 Y1 KR 200144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ction pipe
vacuum cleaner
su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504U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08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78Y1/ko
Publication of KR960033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7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9659 호의 개량 고안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체와 흡입관에 장착되는 무한궤도형의 물걸레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흡입체(1)에 물걸레(4)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5)를 결합하되, 흡입체(1)의 고정부(1-1)양측에 돌출 구성된 반원호형의 각 힌지부(100)에 각기 물걸레조립체(5)의 일측 지주(53)양측 외주면에 구성된 걸림부(200)의 출입구(201)를 거쳐 걸림홈(202)에 밀어 넣어 결합되고 이어 힌지부(100)를 축으로 물걸레조립체(5)를 반시계방향 회전시킨 후, 타측 지주(55)양측에 돌출 구성된 걸림돌기(301)에 일측에 기체결된 고무밴드(300)를 흡입관(3)에 감아 타측의 걸림돌기(301)에 고정하여 흡입관(3)에 지지 고정되는 것으로, 흡입관의 지면경사각도가 낮아져도 물걸레조립체와 흡입체의 결합상태가 해지됨을 방지하여 원활한 청소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로서,
(a)는 물걸레장치의 장착상태를 일부 절결 도시한 측면도.
(b)는 물걸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로서,
(a)는 물걸레장치의 장착상태를 일부 절결 도시한 평면도.
(b)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
(c)는 물걸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체 1-1 : 고정부
3 : 흡입관 5 : 물걸레조립체
100 : 힌지부 200 : 걸림부
201 : 출입구 202 : 걸림홈
300 : 고무밴드 301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9659 호의 개량 고안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지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낮아져도 물걸레조립체와 흡입체의 결합상태가 해지됨을 방지하여 원활한 청소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통전에 따른 가동시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의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먼지봉투(Paper Bag)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진공에 따른 흡입력이 발생되면 먼지봉투와 연결되고 진공청소기 본체 외부로 토출 연결된 호스와 흡입관 및 흡입체(Brush)를 포함하는 흡입수단을 통해 실내 바닥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는 먼지봉투에서 걸러내고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다시 배출하는 청소기기이다.
근자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먼지의 흡입기능 외에 실내 바닥의 얼룩이나 눌어붙은 오물의 제거를 위해 물걸레질 기능을 병용하도록 물걸레장치가 장착된 진공청소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물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흡입체내에 내설되어 흡입체의 전, 후진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물흡수력을 갖는 흡수재(스폰지)가 권취 장착된 것으로, 사용전 물을 적시고 최초 바닥을 닦은 흡수재의 사용면이 더러워지면 흡입체를 전진시켜 간헐적으로 회동하는 구동축에 의해 물걸레의 깨끗한 사용면이 바닥과 접하도록 하므로 재차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되었다.
그러나, 흡수재를 이용한 물걸레장치는 실내 바닥면과 면접하는 흡수재의 사용면은 구동축은 직경에 따라 결정되므로, 흡수재가 구동축에 단순히 권취 장착된 종래의 물걸레장치는 구동축의 직경과 회전반경에 따른 흡수재의 사용면이 한정되므로 물걸레질 청소에 따른 흡수재의 잦은 세탁이 요구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청소작업시 흡수재의 기 사용면이 구동축회전에 회전에 따라 다시 바닥에 면접하게 되므로 기 제거된 오물이 다시 바닥에 묻는 등 청소불량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면적의 물걸레(타올)를 두루마리식으로 말아 흡입체에 설치된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기 사용된 물걸레는 흡입체의 일측공간에 말려서 보관되므로 악취 및 곰팡이 등의 세균발생을 초래하는 비위생적인 결점을 갖고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면소재의 천으로 된 타올을 무한궤도식으로 봉착한 물걸레와, 이러한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조립체, 물걸레조립체가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와 흡입관에 장착되도록 한 물걸레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본 고안과 대비되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9659 호의 물걸레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체(1)와, 흡입체에 커넥터(2)로 연결되어 진공청소기 본체(미도시)와 결합되는 흡입관(3)에 장착되되, 면소재의 천으로 된 타올을 무한궤도형으로 봉착한 물걸레(4)와,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조립체(5)로 대별된다.
물걸레조립체(5)는 물걸레(4)가 장착되도록 접철되는 중앙의 접철부(5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 구동축(52)이 장착되는 지주(53)와, 이의 타측에는 회전자재한 종동축(54)이 장착되는 지주(55)로 구분된다.
상기 물걸레조립체(5)의 결합은 일측 지주(53)가 흡입체(1)와 결합되되, 구동축(52)선상 양측에 지주(53)와 일체로 형성된 반원호형의 힌지부(53-1)가 흡입체(1)의 양측 고정부(1-1)에 각기 하향 형성된 출입구(1-2)를 거쳐 걸림홈(1-3)에 결합되어 힌지부(53-1)를 축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시켜 고정되었고 타측 지주(55)는 흡입관(3)과 결합되되, 종동축(54)선상 양측에 회전자재하게 삽입 고정되어 흡입관(3)을 감싸면서 회동 지지하는 홀더(56)로 고정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물걸레장치는 제1도 (a)와 같이 물걸레조립체(5)가 누운 상태에서 각 힌지부(53-1)가 흡입체(1)의 하향 출입구(1-2)를 통해 걸림홈(1-3)에 결합되도록 반원호형상의 힌지부(53-1)가 가상선 도시와 같이 세운 상태에서 삽입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56)에 의해 고정된 흡입관(3)을 세우면 타측 지주(55)가 상향 회전하므로 이에 따라 힌지부(53-1)는 화살표방향으로 직각 회전되어 은선 도시와 같이 누운 상태로 결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9659호의 물걸레장치는 통상 탁자밑이나 씽크대밑 등 높이가 제한된 좁은 공간의 청소수행시 좁은 공간에 흡입체와 물걸레장치를 밀어 넣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흡입관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도를 낮추어야 하므로 이때, 흡입관(3)의 지면경사각도를 낮추면 흡입관(3)에 홀더(56)로 고정된 타측 지주(55)가 일측 지주(53)의 힌지부(53-1)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됨에 따라 힌지부(53-1)도 같이 회전되어 제1도 (b)와 같이 세운 상태가 된다.
이어 청소작업수행 후, 흡입체(1)를 그대로 후진시키면 물걸레의 기 사용면이 다시 바닥과 면접하게 되고 물걸레의 기 사용면에 묻은 오물이 다시 바닥에 묻게 되므로, 사용자는 흡입관(3)에 형성된 손잡이(미도시)를 잡고 흡입체(1)를 들어서 인출시키게 되는 데 이때, 물이 흡수된 물걸레(4)와 이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5)의 자중에 의해 힌지부(53-1)가 하강 이탈되어 물걸레조립체(5)와 흡입체(1)의 결합상태가 해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부의 회전시 최소한의 걸림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흡입관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한계를 가지므로 힌지부이탈에 따른 물걸레조립체와 흡입체간의 해지를 방지하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중의 주의를 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좁은 공간의 청소작업은 부실하게 수행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39659 호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개량 고안으로서, 흡입관의 지면경사각도가 낮아져도 이에 따른 물걸레조립체와 흡입체의 결합상태가 해지됨을 방지하여 청소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물걸레 장치는 흡입체와 흡입관에 장착되는 무한궤도형의 물걸레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양측 고정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반원호형의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도록 물걸레조립체의 일측 지주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는 제2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양측의 고정부(1-1)내측에 일체로 돌출 구성된 반원호형의 힌지부(100)와, 각 힌지부(100)가 결합되도록 물걸레조립체(5)의 구동축(52)을 보유한 일측 지주(53)양측에 각기 걸림부(200)가 구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부(200)는 각기 힌지부(100)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지주(53)의 양측 외주면에 테이퍼면을 갖는 출입구(201)와 힌지부의 결합시 회전을 위한 원통형의 공간인 걸림홈(202)이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타측 지주(55)양측에는 돌출 구성된 걸림돌기(301)와 이에 체결되어 물걸레조립체(5)를 흡입관(3)에 고정하도록 탄력을 갖는 고무 밴드(300)가 구비된다.
이하,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은 부호를 표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체(1)에 물걸레(4)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5)를 결합하되, 흡입체(1)의 고정부(1-1)양측에 돌출 구성된 반원호형의 각 힌지부(100)에 각기 물걸레조립체(5)의 일측 지주(53)양측 외주면에 구성된 걸림부(200)의 출입구(201)를 거쳐 걸림홈(202)에 삽입 결합된다.
이어 힌지부(100)를 축으로 물걸레조립체(5)를 반시계방향 회전시킨 후, 타측 지주(55)양측에 돌출 구성된 걸림돌기(301)에 일측이 기체결된 고무밴드(300)를 흡입관(3)에 감아 타측의 걸림돌기(301)에 고정하여 흡입간(3)에 고정된다.
참고로 물걸레(4)의 교체시 물걸레장치의 해지는 상기 순서에 역순하여 해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관(3)을 세워 먼지흡입과 물걸레질 청소작업을 수행하고 좁은 공간의 청소작업을 위해 제2도 (c)와 같이 흡입간(3)의 경사각도를 낮추어도 흡입체(1)의 힌지부(100)는 일측 지주(53)의 걸림부(200)내에서 지지되고 타측 지주(55)는 고정밴드(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흡입관(3)을 들어서 인출시켜도 물걸레조립체(5)와 흡입체(1)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체와 물걸레조립체의 결합상태가 해지됨을 방지하므로써 정상적인 청소작업 수행시는 물론 탁자밑이나 씽크대 밑 등 높이가 제한된 좁은 공간의 청소 작업 수행시에도 먼지 흡입과 물걸레질 청소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흡입체와 흡입관에 장착되는 무한궤도형의 물걸레를 포함한 물걸레조립체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양측 고정부에 일체로 돌출 구성된 반원호형의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가 물걸레조립체의 일측 지주 양측단에 구성된 걸림부에 결합되고 물걸레조립체의 타측 지주는 흡입관에 탄력을 갖는 고정밴드로 지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19950008822U 1995-04-27 1995-04-27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22U KR200144878Y1 (ko) 1995-04-27 1995-04-27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22U KR200144878Y1 (ko) 1995-04-27 1995-04-27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504U KR960033504U (ko) 1996-11-19
KR200144878Y1 true KR200144878Y1 (ko) 1999-06-15

Family

ID=6086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822U KR200144878Y1 (ko) 1995-04-27 1995-04-27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504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486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100519964B1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사리 조립체
JP2003250727A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PT2449937T (pt) Aspirador para pavimentos sem revestimento
RU2096984C1 (ru) Пылесос,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ажной уборки
KR20014487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70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KR200153270Y1 (ko) 진공청소기의 바퀴 고정구조
KR200144835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지지장치
KR20014486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JP2679962B2 (ja) 濡れ雑巾装置を設けた真空清掃機
KR20014484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7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치
KR20050061709A (ko) 진공 청소기용 물걸레 청소용구
KR20014486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52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0137433Y1 (ko) 진공청소기의 파워코드의 단선 방지장치
KR20015578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4176589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44833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동장치
JP3066229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4489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KR20014482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