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239Y1 - 쾌속 건조기 - Google Patents

쾌속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239Y1
KR200144239Y1 KR2019960007215U KR19960007215U KR200144239Y1 KR 200144239 Y1 KR200144239 Y1 KR 200144239Y1 KR 2019960007215 U KR2019960007215 U KR 2019960007215U KR 19960007215 U KR19960007215 U KR 19960007215U KR 200144239 Y1 KR200144239 Y1 KR 200144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unit
storage unit
heater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373U (ko
Inventor
이두평
Original Assignee
이두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평 filed Critical 이두평
Priority to KR201996000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239Y1/ko
Publication of KR970059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239Y1/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상부에 발열부(10)를 형성하고, 이 발열부(10)의 밑으로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세탁물 수납부(30)를 형성하며, 상기 발열부(10)에는 히터(11)가 내장됨과 아울러 히터(11)의 온도를 조절 및 온도가 과열될때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13)가 부착된 온도 조절부(14)를 내장설치하고, 히터(11)에 의해 가열된 열기를 세탁물 수납부(30)로 송풍하는 팬(F)을 구비하는 모터(M)를 설치하며, 발열부(10) 외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 2개의 고정 핀(16)이 형성되고. 이 고정 핀(16)이 끼워지는 걸림 홈(21)이 형성된 고정구(20)가 별도로 구비되며, 이 고정구(20)의 일단은 절곡되고, 그 일면에는 고정구(20)를 벽면에 못 등으로 고정 할 수 있는 고정구멍(22)이 형성되고, 발열부(10) 밑으로 설치된 세탁물 수납부(30)는 슬라이더 화스너(34)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입구(31)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는 세탁물이 건조되며 발생하는 수증기가 밖으로 나갈 수 있는 다수개의 배출구(3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내측벽면에 응축되어 흐르는 물기가 빠지도록 배수구(33)가 형성되며, 발열부(10)와 세탁물 수납부(30)는 격벽(40)으로 나누어지고, 이 격벽(40)에는 한 개 또는 다수의 송풍구(41)를 천공하여 발열부(10)에서의 열기가 세탁물 수납부(30)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쾌속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쾌속 건조기
제1도는 본 고안 쾌속 건조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쾌속 건조기의 내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쾌속 건조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4도 (a)도 및 (b)도는 본 고안 쾌속 건조기의 절첩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5도 (a) - (d)도는 본 고안 쾌속 건조기의 절첩 단계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열부 11 : 히터
12 : 온도 조절부 13 : 온도 조절 스위치
14 : 전원스위치 15 : 흡입 구멍
16 : 고정 핀 17 : 센서
M : 모터 F : 팬
20 : 고정구 21 : 걸림 홈
22 : 고정 구멍 30 : 세탁물 수납부
31 : 입구 32 : 배출구
33 : 배수구 34 : 슬라이더 화스너
35 : 프레임 40 : 격벽
41 : 송풍구 42 : 걸이대
본 고안은 옷이나 운동화 또는 이불 등을 세탁한 후 빨리 건조 할 수 있도록 한 히터가 내장된 쾌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등에서는 옷이나 운동화 등을 세탁하여 날씨가 좋을 경우에는 햇빛에 세탁물을 말리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과 갈이 날씨가 추울 때는 실외에 세탁물을 널지못하고 실내의 방에 널게 되어 실내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게되고, 그로 인해 통행에 불편을 주게되며, 또한 여름철이라도 우기에는 세탁물이 쉽게 마르지를 않아 다리미나 헤어드라이기등을 이용하여 옷을 말려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부에 히터가 내장된 발열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세탁물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세탈물을 수납부에 수납한 후 히터를 가동하여 계절이나 기후에 관계없이 세탁물을 빨리 건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그 부피를 축소하여 보관 할 수 있는 쾌속 건조기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발열부를 형성하고, 이 발열부의 밑으로 세탁물을 수납 할 수 있는 세탁물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발열부에는 히터가 내장됨과 아울러 히터의 온도를 조절 및 히터의 온도가 과열될 때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가 부착된 온도 조절부를. 내장설치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기를 세탁물 수납부로 송풍하는 팬을 구비하는 모터를 설치하며, 발열부 외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 2개의 고정 핀을 형성하고, 이 고정 핀이 끼워지는 걸림 홈이 형성된 고정구가 별도로 구비되며, 이 고정구의 일단은 절곡되고 그 일면에는 고정구를 벽면에 못 등으로 고정 할 수 있는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발열부 밑으로 설치된 세탁물 수납부는 슬라이더 화스너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는 세탁물이 건조되며 발생하는 수증기가 밖으로 나갈 수 있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내측벽면에 응축되어 흐르는 물기가 빠지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며, 발열부와 세탁물 수납부는 격벽으로 나누어지고, 이 격벽에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송풍구를 천공하여 발열부에서의 열기가 세탁물 수납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탁물 수납부 측의 격벽에는 세탁물을 걸 수 있는 걸이대를 형성한 쾌속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발열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발열부로서 내부에는 히터(11)를 내장한다.
그리고 히터(11)에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12)를 설치하고, 이 온도 조절부(12)의 온도 조절 스위치(13)는 발열부(10)의 앞면에 돌출 설치되며, 그 옆으로 전원을 ON, OFF시키는 전원 스위치(14)를 설치한다.
또한 히터(11)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를 세탁물 수납부(30)로 보내기 위한 팬(F)을 구비하는 모터(M)가 히터(11)의 후면으로 설치되고, 발열부(10)의 상부면 에는 모터(M)에 부착된 팬(F)이 공기를 흡입 할 수 있도록 흡입구멍(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10)의 좌, 우측면에는 벽면에 발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 핀(1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핀(16)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 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절곡되어 그 일면에는 벽면에 못 등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멍(22)이 천공된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한다.
상기 발열부(10)의 밑으로는 세탁물 수납부(30)를 설치하고, 이 세탁물 수납부(30)의 앞에는 입구(31)가 형성되며, 이 입구(31)는 슬라이드 화스너를 부착하여 입구(31)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탁물 수납부(30)의 좌, 우측면에는 세탁물이 건조되며 발생하는 수증기가 밖으로 나갈 수 있는 배출구(32)를 다수 개 형성하며, 또한 하부면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빠져나가도록한 배수구(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세탁물 수납부(30)의 저면 외곽 테두리에는 세탁물 수납부(30)가 곧게 펴질 수 있도록 □형상의 프레임(34)을 삽입한다.
상기 세탁물 수납부(30)와 발열부(10) 사이에는 격벽(40)을 설치하고, 이 격벽(40)에는 발열부(10)에서 뜨거워진 열기가 통과 할 수 있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송풍구(41)를 형성하며, 이 송풍구(41)의 일면에는 열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17)를 부착한다.
또한 이 격벽(40)의 세탁물 수납부(30) 측에는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 개의 걸이대(4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쾌속 건조기는 옷이나 신발 또는 이불 등의 세탁물을 세탁한 후 세탁물 수납부(30)의 정면에 형성된 입구(31)를 통해 격벽(40)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대(42)에 세탁물을 건후 입구(31)를 슬라이더 화스너(34)로 닫는다.
그리고 발열부(10)의 전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14)를 켜면 히터 (11)가 발열하며 공기를 데우게 되고, 이 히터(11)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세탁물 수납부(30)로 보내도륵 하는 모터(M)가 회전시키는 팬(F)이 격벽(40)에 형성된 송풍구(41)로 송풍하여 세탁을 수납부(30)로 인입되게 하여 격벽(40)의 걸이대(42) 걸린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으로서 팬(F)은 발열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흡입 구멍(15)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11)가 계속 공기를 데울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며, 데워진 공기를 계속해서 세탁물 수납부(30)로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 시키게된다.
이때 세탁물 재질에 따라 온도 조절부(12)에 부착되어 발열부(10)의 전면에 돌출 설치된 온도 조절 스위치(13)를 조절함에 따라 히터(11)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서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적당한 온도를 설정하여 건조시킬 수 있으며, 격벽(40)에 천공된 송풍구(41)에는 온도를 감지 할 수 있는 센서(17)가 부착되어 온도가 과열될 경우 은도 조절부(12)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륵 하였다.
또한 열기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되며 발생되는 수증기는 세탁물 수납부(30)와 좌, 우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배출구(32)를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되고, 세탁물에서 흘러내리는 물과 세탁물 수납부(30)의 내측 벽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흐르는 물은 세탁물 수납부(30)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33)로 흘러 나가게 되며, 배수구(33)를 통해 흘러 내린 물은 쾌속 건조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별도의 붙받이 통 등을 사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쾌속 건조기를 사용 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세탁물 수납부(30)의 저면의 외곽 테두리에 삽입 고정된 □형의 프레임(35)에 의해 세탁물 수납부(30)가 접혔다 펴졌을 경우 세탁물 수납부(30)가 곧게 펴지게 되고, 제5도는 쾌속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을때 부피를 축소 하는 공정을 보인것으로서, 벽면에 못으로 고정된 고정구(20)의 뒷 쪽에 위치한 걸림 홈(21)에서 발열부(10)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뒷쪽 고정 핀(16)을 아래로 내린 후 발열부(10)를 앞으로 잡아 당기면 발열부(10)의 뒷 쪽 고정 핀(16)은 걸림홈(21)에서 이탈되어 앞 쪽의 고정 핀(16)만이 걸림홈(21)에 걸려있게되고 이 앞 쪽의 고정 핀(16)을 축으로 하여 발열부를 앞으로 숙이게 되고, 발열부(10)의 밑에 설치된 세탁물 수납부(30)는 열기를 보호 할 수 있는 섬유재이어서 발열부(10)의 앞 쪽을 숙여 벽면에 밀착 되게 함에따라 세탁물 수납부(30)의 앞면이 뒷면에 밀착되어 쾌속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설치 공간의 부피를 축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갈이 본 고안의 쾌속 건조기는 날씨나 계절에 관계없이 세탁물을 빠르게 건조 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재질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여 세탁물을 상하지 않고 건조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하지 않을 시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는 발열부(10)를 형성하고, 이 발열부(10)의 내부에는 히터(11)와, 이 히터(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12)를 내장하며, 발열부(10)의 상부면에는 흡입 구멍(15)을 다수개 형성하며, 흡입 구멍(15)에서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히터(11)를 통과하게하는 팬(F)이 구비된 모터(M)를 설치하고, 발열부(10)의 전면에는 온도 조절부(12)를 작동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13)와, 전원 스위치(14)를 설치하며, 발열부(10)의 좌, 우측면에는 각각 두 개의 고정 핀(16)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10)의 고정 핀(16)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 홈(21)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절곡되어 벽 등에 못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구멍(22)이 형성된 별도의 고정구(20)를 구비하며, 상기 발열부(10)의 하부에는 세탁물 수납부(30)를 설치하고, 세탁물 수납부(30)의 좌, 우측면에는 세탁물이 건조하며 발생하는 수증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32)를 형성하며. 저면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진 물이 빠져나가도록 배수구(33)를 형성하고, 세탁물 수납부(30)의 밑면 외곽 테두리에는 세탁물 수납부(30)가 곧게 펴질 수 있도륵 □형의 프레임(35)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발열부(10)와, 세탁물 수납부(30)는 격벽(40)으로 나누어지고, 이 격벽(40)에는 발열부(10)에서 과열된 열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송풍구(41)를 형성하며. 이 송풍구(41)에는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7)를 부착하여 온도 조절부(12)에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격벽(40)의 세탁물 수납부(30) 축에는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개의 걸이대(4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쾌속 건조기.
KR2019960007215U 1996-04-04 1996-04-04 쾌속 건조기 KR200144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215U KR200144239Y1 (ko) 1996-04-04 1996-04-04 쾌속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215U KR200144239Y1 (ko) 1996-04-04 1996-04-04 쾌속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373U KR970059373U (ko) 1997-11-10
KR200144239Y1 true KR200144239Y1 (ko) 1999-06-15

Family

ID=6092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215U KR200144239Y1 (ko) 1996-04-04 1996-04-04 쾌속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2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373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228B2 (en) Composite washing system
EP1845185B1 (en) Household appliance
US6928752B2 (en)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US6868621B1 (en) Clothes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clothes
US8950084B2 (en) Semi-dry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the ventilating struct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KR100388004B1 (ko) 의류 건조기
JPH09220399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及び乾燥棚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JP200708283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060137205A1 (en) Composite washing system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253628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144239Y1 (ko) 쾌속 건조기
KR100723992B1 (ko) 대류 건조기
JPH08276098A (ja) 衣類乾燥機
JP2828632B2 (ja) 乾燥装置
KR880001764Y1 (ko) 세탁물 건조기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100209685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장치
JPH08309097A (ja) 乾燥機
KR100595238B1 (ko)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KR200431764Y1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940008050Y1 (ko) 신발 건조기
JPH10216397A (ja) 乾燥機
GB2264120A (en) Combined laundry washing machine and space heater with kit for dr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