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912Y1 -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912Y1
KR200143912Y1 KR2019940027862U KR19940027862U KR200143912Y1 KR 200143912 Y1 KR200143912 Y1 KR 200143912Y1 KR 2019940027862 U KR2019940027862 U KR 2019940027862U KR 19940027862 U KR19940027862 U KR 19940027862U KR 200143912 Y1 KR200143912 Y1 KR 200143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ircuit
anion generator
hole
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469U (ko
Inventor
최진순
Original Assignee
최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순 filed Critical 최진순
Priority to KR201994002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912Y1/ko
Publication of KR960013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실내 공기 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의도로 안출된 것이며, 본 고안자가 한국 실용 신안공고 제91-8891호에서 제안한 필터회로, 스위칭회로, 발진회로 및 승압회로를 차례로 연결하여 직류 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자회로부를 채택하였고, 그 후단에 침전극(6a)이 연이어져 돌설된 도전성 금속재질의(-)스트립전극(6)과, 음이온방출공(20)이 천설되며(-)스트립전극(6)과 대향되게 배치한(+)평판전극(3)으로 구성한 음이온발생부를 연결하여 음이온을 생성함과 아울러 공기중의 먼지를 (+) 평판전극(3)에 흡착하여 집진하므로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하여 일상생활의 건강을 지켜주는 이점이 있고,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스트립전극(6)에 동일한 재질의 침전극(6a)을 다수 돌설하여서 대량생산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가 높은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하우징 2 : 리어하우징
3 : (+)평판전극 4 : 고정돌기
5 : 삽설구 6 : (-)스트립전극
6a : 침전극 7 : 전자회로보드
20 : 음이온방출구 21 : 결합부
22 : 계합공 23 : 계합편
29 : 강약조절버튼 30 : 전원버튼
31 : 입설구 32 : 가이드계합돌기
본 고안은 직류 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회로부의 출력단에 침전극이 연이어져 돌설된 도전성재질의 (-)스트립과, 음이온방출공이 천설되며 (-)스트립전극과 대향되게 배치한 (+)평판전극으로 구성한 음이온발생부를 연결하여 음이온을 생성함과 아울러 공기중의 먼지를 (+)평판전극에 흡착하여 집진하므로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하는 음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업거점인 대도시의 대기환경을 살펴보면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와 도시 문명의 발달에 따른 배기개스의 증가, 과밀화한 공업지대에서 다발하는 악취, 매연, 유독개스 등으로 공기는 오염되어 현대인의 건강을 해치는 치명적인 장애요인이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현대인의 실내환경을 보면 잘 닦여진 반들반들한 물건, 합성수지 제품, 인조섬유제의 융단, 장식품 및 의복류, 텔레비젼, 기타 전자제품 등은 양전기를 만들기 쉽고 또한 양전기를 띤 물건이므로 음이온을 끌어들여 중화함으로써 공기중에는 자연적으로 양이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실내환경의 특징은 공기중에 있는 먼지와 담배연기 등이 큰 공기이온을 형성하는 핵이 되며 공기 중의 인체에 유익한 작은 이온을 부착하는 핵이 됨으로써 음이온은 자연적으로 감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국 서레이대학교(University of Surrey) 헤슬리 호킨스 박사(서레이대 부설 Robens 산업건강연구소 직업병건강서비스부)의 기후조절실을 사용한 공기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문에 따르면 음이온은 대기중에 보통 800~1,000개/㎤ 정도로 존재하며, O2 -이온이 피부에 흡수되어 신경을 다듬고 이것이 전해져 뇌 등을 자극하여 세포의 활성화를 꾀하는 동시에 혈액속에 침투하여 혈액의 정화를 촉진시켜주므로 심신을 상쾌하게 해주며 식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실내공기도 상쾌하게 해준다고 보고된 바 있다.
공기 오염문제의 해결수단 가운에 하나로는 음이온발생장치를 들 수 있는 바, 통상적으로 공기청정기는 팬(Fan)이나 필터가 없이 음이온만 발생되게 한 것으로 차량에 많이 쓰이는 음이온발생기, 음이온발생부와 카본(Carbon)필터 또는 섬유상 카본필터를 조합하여 공기 중의 먼지(큰 입자)도 제거해주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평행한 평판전극에 고전압을 가하여 평판전극에 먼지, 개스, 기타 오염물질을 정전기적으로 흡착시켜 미세한 먼지까지도 집진하는 전기집진식 공기청정기 등이 제공되어 왔다.
본 고안자는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1-8891호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에서 필터회로, 스위칭회로, 발진회로 및 승압회로를 차례로 연결하여 전자회로부를 구성하였으며, 승압회로의 출력측에는 다공성 지지판에 전기적으로 연설한 다수의 (-)고전압 발생포인트를 설치하며 그 전방에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세공판을 배치한 음이온발생부를 접속하여 구성한 공기청정기를 제안하였던 바, 본 고안은 음이온발생부에 인가할 직류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회로부의 구성을 채택한다.
본 고안은 실내 공기 오염문제를 해소하고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의도로 안출된 것으로 직류 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회로부의 출력단에 음이온 발생부를 연결하여 이들을 하우징내에 내장하도록 구성하는 음이온발생기에 있어서, 침전극이 연이어져 돌설된 도전성 금속재질의 (-)스트립전극을 절연재로 된 봉상의 삽설구에 병렬로 삽설하고, 프론트하우징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천공된 음이온방출공에는 그 선단이 외부로 향하도록 침전극이 정렬,배치되고, 프론트하우징의 배면에는 음이온방출공이 천설된 (+)평판전극을 (-)스트립전극과 대향되게 부착하는 구성이므로 공기중의 먼지를 (+)평판전극에 흡착하여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도 겸비하는 음이온발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필터회로, 스위칭회로, 발진회로 및 승압회로를 차례로 연결하여 직류 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해주는 전자회로부의 출력단에 음이온발생부를 연결하여 이들을 하우징에 내장하도록 구성하는 음이온발생기에 있어서, 음이온방출공(20)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천공된 상호 대칭되는 구조의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체결하기 위하여 이들 하우징(1)(2)의 ㄱ자형으로 절곡된 결합부(21)의 상부(21-1) 및 하부(21-2)에는 일측에 계합공(22)을 천설하며 이 계합공(22)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결합부(21)의 타측 선단에는 계합편(23)을 돌설하고, 프론트하우징(1)의 배면에는 음이온방출공(20)이 프론트하우징(1)과 대칭되게 천공된 사각형의 (+)평판전극(3)을 나사(24)로 고정하고, 이 (+)평판전극(3)의 배면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돌기(4)에는 절연재로 된 봉상의 삽설구(5)를 수직하게 고정하여 병설하고, 삽설구(5)에는 침전극(6a)이 연이어져 돌설된 구리 등 도전성 금속재질의 (-)스트립(Strip)전극(6)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병설하되 그 선단이 각 음이온방출공(20)의 중심부를 지향하도록 침전극(6a)을 정렬하고, 이들 하우징(1)(2)의 하부에는 제3도의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회로부의 회로보드(7)를 배치하고, 상기 (-)스트립전극(6)과 (+)평판전극에는 전자회로부를 이루는 승압회로의 출력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25, 26은 승압회로의 (-)와 (+)의 출력리드선을 나타낸다.
프론트하우징(1) 전면의 하부 일측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의 방출량을 단계적으로 시각표지하기 위한 음이온레벨표시용 발광다이오드(27), 전원 온/오프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8), 음이온 방출량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강약조절버튼(29), 전원버튼(30)을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하고, 본 고안의 음이온발생기를 입설하여 사용하도록 결합상태에서는 하우징(1)(2)의 결합부(21) 하부(21-2)에 가이드계합돌기(32)를 돌설하여 입설구(31)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4)를 6개, 삽설구(5)를 3개, (-)스트립전극(6)을 5개, (-)스트립전극(6)당 침전극(6a)을 8개, 음이온레벨표시용 발광다이오드(27)를 4개로 한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스트립전극(6)은 구리재질로 제작하였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회로, 스위칭회로, 발진회로 및 승압회로를 차례로 연결하여 구성된 전자회로부의 회로보드(7)에서 직류 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하면 그 후단에 접속된 (-)스트립전극(6)과 (+)평판전극(3)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두 전극간에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스트립전극(6)에 돌설된 침전극(6a)은 (-)이므로 공기분자의 전리결과로 발생한 양이온은 전계가 강한 침전극(6a)의 근방으로 집적하고, 전자는 전계가 약한 (+)평판전극(3)측으로 모여든다. 따라서 침전극(6a)의 끝으로부터 다량의 전자가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이 전자방출 메커니즘에서 금속내를 자유로 이동하는 자유전자는 일반적으로 금속에서 공기 중으로 나올 때 반드시 넘지 않으면 안 될 장벽(일함수 φ)을 뛰어 넘게 되며, 충분하 에너지를 두 전극간에 인가한 상태에서 방출된다.
이 자유전자는 매우 불안정하여 공기 중에 그대로 존재할 수 없으므로 순간적으로 전기음성도(원자가 전자에 대한 친화력의 척도)로 인해 산소(O2)에 포착되어 O2 -로 산소음이온을 형성한다.
평행한 두 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극판 사이에 흐르는 전자의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공기 중의 이온이 흐르는데, 이 이온의 이동에 의하면 팬(Fan)없이 공기가 흐르면서 전극판에 먼저, 개스, 기타 오염물질이 정전기력(쿨롱의 힘)으로 흡차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음이온은 (+)평판전극(3)ㆍ프론트하우징(1), 리어하우징(2)에 각각 천설된 음이온방출공(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음이온발생기를 차량 내, 사무실, 병원 등 실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시기와 용도에 적절하게 용도에 적절하게 강약조절버튼(29)으로 음이온방출량을 조절해가면서 사용하면 실내 공기 중에 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이 (+)평판전극에 흡착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비도전성 재질이 아닌 구리 등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스트립전극(6)에 동일한 재질의 침전극(6a)을 다수 돌설하여서 대량생산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가 높으며, 오염된 공기를 청정해주어 전염병 등을 예방해줄 뿐더러 항상 깨끗하고 상쾌한 공기를 흡입하므로 일상생활의 건강을 지켜주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필터회로, 스위칭회로, 발진회로 및 승압회로를 차례로 연결하여 직류저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회로부의 출력단에 음이온발생부를 연결하여 이들을 하우징에 내장하는 구성의 음이온발생기에 있어서, 음이온방출공(20)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천공된 상호 대칭되는 구조의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체결하기 위하여 이들 하우징(1)(2)의 ㄱ 자형으로 굴곡된 결합부(21)의 상부(21-1) 및 하부(21-2)에는 일측에 계합공(22)을 절설하며 이 계합공(22)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결합부(21)의 타측 선단에는 계합편(23)을 돌설하고, 프론트하우징(1)의 배면에는 음이온방출공(20)이 프론트하우징(1)과 대칭되게 천공된 사각형의 (+)평판전극(3)을 고정하고, 이 (+)평판전극(3)의 배면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돌기(4)에는 절연재로 된 봉상의 삽설구(5)를 수직하게 고정하여 병설하고, 이 삽설구(5)에는 침전극(6a)이 연이어져 돌설된 도전성 금속재질의 (-)스트립전극(6)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병설하되 그 선단이 극 음이온방출공(20)의 중심부를 지향하도록 침전극(6a)을 정렬하고, 전자회로보드(7)를 하부에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KR2019940027862U 1994-10-25 1994-10-25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KR200143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62U KR200143912Y1 (ko) 1994-10-25 1994-10-25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862U KR200143912Y1 (ko) 1994-10-25 1994-10-25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469U KR960013469U (ko) 1996-05-17
KR200143912Y1 true KR200143912Y1 (ko) 1999-06-15

Family

ID=1939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862U KR200143912Y1 (ko) 1994-10-25 1994-10-25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9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469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952B1 (ko) 가스처리장치
CN206276499U (zh) 一种集尘装置
JP485360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84429A (ko) 음이온 및 양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221407B1 (ko) 공기정화장치용 플라즈마 방전셀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05737267A (zh) 电离式空气净化装置
CN202590958U (zh) 高吸附型静电净化器和具有该静电净化器的空气净化装置
KR200143912Y1 (ko)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음이온발생기
JP5696718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KR100799713B1 (ko) 플러그인 타입의 공기청정기
KR100812540B1 (ko) 이온 클러스터의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CN2204735Y (zh) 空气滤清器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KR200267589Y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114811816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7737671B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JPS6323090Y2 (ko)
JP2835480B2 (ja) 気体清浄装置
KR930006358Y1 (ko) 공기 청정기
KR100665478B1 (ko) 가변 방전식 음이온발생램프
JP3502969B2 (ja) 気体清浄装置用のイオン化電極の構造
RU2000124155A (ru) Двухзонный электрофильтр
JP2606013Y2 (ja) 気体清浄装置を具備した額
JPS6029532A (ja) 空気清浄器
KR200156094Y1 (ko)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배출공기 음이온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1010

Effective date: 200302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