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886Y1 - 브라운관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886Y1
KR200143886Y1 KR2019930018360U KR930018360U KR200143886Y1 KR 200143886 Y1 KR200143886 Y1 KR 200143886Y1 KR 2019930018360 U KR2019930018360 U KR 2019930018360U KR 930018360 U KR930018360 U KR 930018360U KR 200143886 Y1 KR200143886 Y1 KR 200143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unnel
cushion member
crt
hold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144U (ko
Inventor
임병득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30018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86Y1/ko
Publication of KR950010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3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1Apparatus used for sealing vessels, e.g. furnaces, machin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판넬과 펀넬의 봉착공정에서 이들을 각각 고정지지시켜 주는 브라운관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착대상 펀넬과 접촉되는 펀넬홀더의 받침구와 쿠션부재를 개선하여 쿠션부재의 낭비를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쿠션부재의 교체 및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한 것인바, 이의 구성은 펀넬홀더의 받침구 적소에 면접부를 형성하여 그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안내턱을 마련하는 한편, 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를 반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안내턱과 대응하는 안내홈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운관 홀더장치
제1도는 종래 브라운관 홀더장치의 요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홀더장치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홀더장치의 흑연받침구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운관 홀더장치 2 : 지지대
20 : 네크홀더 30 : 펀넬홀더
31 : 받침구 32 : 쿠션부재
32 ' : 안내홈 35 : 면접부
36 : 안내턱 40 : 판넬홀더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판넬(Panel)과 펀넬(Funnel)의 봉착공정에서 이들을 각각 고정지지시켜 주는 브라운관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착대상 펀넬과 접촉되는 홀더장치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어 펀넬의 파손을 방지하는 받침구를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별도로 분리된 판넬과 판넬을 하나의 브라운관 홀더장치에 장착하여 이들 판넬과 펀넬을 봉착공정에서 접합하게 되는데, 이에 사용되는 브라운관 홀더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 상부로 네크를 고정하는 네크홀더(20)와, 펀넬의 요크설치부위를 고정지지하면서 펀넬과 접촉되는 양측적소에 흑연재 또는 아스베스트 재질로 형성된 쿠션부재(32)가 받침구(31) 일측으로 고정핀(33)에 의해 고정되어진 펀넬홀더(30)와, 다수의 받침구(41)로 판넬의 측벽부를 고정지지하는 판넬홀더(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브라운관 홀더장치(1)에 있어서, 특히 펀넬을 고정지지하는 펀넬홀더(30)의 받침구(31)에 경사진 반원통 형상으로 설치홈(34)이 형성되고 여기서 설치되는 쿠션부재(32)역시 원통형상을 하고 있는데 반하여 펀넬의 요크설치부위와 쿠션부재(32)와의 접촉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을 하므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부분만이 집중적으로 닳아서 펀넬의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며, 또한 쿠션부재(32)가 닳지 않은 부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받침구(31)에 고정핀(33)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이동의 제한을 받아 쿠션부재(32)의 전면적을 골고루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의 목적은 쿠션부재가 사용에 따라 어느 한 부분이 닳더라도 닳지 않은 부위의 활용에 대한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쿠션부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홀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펀넬홀더에 설치되는 받침구의 경사진 부분에 면접부를 형성하여 그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안내턱을 마련하는 한편, 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를 반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안내턱과 대응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지지대(10)의 상부에서 순차적으로 펀넬(F)의 네크(N)를 고정하는 네크홀더(20)와, 펀넬(F)의 요크설치부위를 고정지지하는 펀넬홀더(30), 그리고 판넬(P) 측벽부를 고정하는 받침구(41)가 다수 형성된 판넬홀더(40)로 구성된 브라운관 홀더장치(1)에 있어서, 펀넬(F)의 요크부위가 접촉하는 펀넬홀더(30) 적소에 흑연 또는 아스베스트 등으로 형성된 쿠션부재(32)가 설치되는 받침구(31)를 설치하되, 받침구(31)의 일측 경사부에 면접부(35)를 형성한 후 이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안내턱(36)을 형성하는 한편, 반원통 형상으로 쿠션부재(32)의 양측 적소에 안내홈(32')을 형성하여 받침구(31)의 안내턱(36)에 슬라이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판넬(P)와 펀넬(F)의 봉착공정에 사용되는 브라운관 홀더장치(1)의 펀넬홀더(30)에 설치되어 있는 쿠션부재(32)가 펀넬(F)의 요크설치부위와 점접촉하면서 규정한도이상 닳으면, 제3도와 같이 쿠션부재(32)를 받침구(31)에서 소정위치 슬라이드시켜 재사용토록 하므로서, 쿠션부재(32)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또한 쿠션부재(32)의 교체 및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지지대(10) 상부에 네크홀더(20)와, 펀넬홀더(30), 그리고 판넬홀더(40)가 구성된 브라운관 홀더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펀넬홀더(30) 적소에 쿠션부재(32)가 설치되는 받침구(31)를 설치하되, 받침구(31)의 면접부(35)를 형성한 후 이 양측으로 안내턱(36)을 형성하는 한편, 반원통 형상의 쿠션부재(32) 양측으로 상기 안내턱(36)과 대응하는 안내홈(32')을 형성하여서 된 브라운관 홀더장치.
KR2019930018360U 1993-09-14 1993-09-14 브라운관 홀더장치 KR200143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60U KR200143886Y1 (ko) 1993-09-14 1993-09-14 브라운관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60U KR200143886Y1 (ko) 1993-09-14 1993-09-14 브라운관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44U KR950010144U (ko) 1995-04-24
KR200143886Y1 true KR200143886Y1 (ko) 1999-06-15

Family

ID=1936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360U KR200143886Y1 (ko) 1993-09-14 1993-09-14 브라운관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44U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25589B (en) Piezoelectric wafer gripping system for robot blades
KR200143886Y1 (ko) 브라운관 홀더장치
TW4291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iction welding
JPS57199523A (en) Bending die holding device
FR2779271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ource d'electrons a micropointes, a grille de focalisation auto-alignee
KR960004345Y1 (ko) 전자총 봉합장치의 벌브홀딩 장치
MY115888A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250255B1 (ko) 지그 설치용 치구
KR20010020810A (ko) 반도체 웨이퍼의 단일방향 에칭 장치
KR0145966B1 (ko) 호이스트이송장치에 설치된 안전가이드
KR0149458B1 (ko) 브라운관의 전자총용 커넥터 포밍장치 및 방법
KR920003293Y1 (ko) 평면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신장장치
CN219967008U (zh) 自动导正压合装置
JPH1148061A (ja) 楔を利用したnc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本体レベル調整装置
TW33636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miniature components
CN211654636U (zh) 一种方便接线的开关
KR920007692Y1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착기
KR0136280Y1 (ko)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고정기구
JPH09125131A (ja) ランス挿入孔シール装置
KR100255852B1 (ko) 칼라 음극선관 샤도우 마스크 공급장치의 고정구
KR960007556Y1 (ko)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KR920001603A (ko) 음극선관용 내파 보호 수단의 형성 방법
KR960005679Y1 (ko) 브라운관의 이재장치
KR19990019724A (ko) 칼라 음극선관 샤도우 마스크 검사 지그
US3182768A (en) Lighting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