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614Y1 -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 Google Patents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614Y1
KR200143614Y1 KR2019970001322U KR19970001322U KR200143614Y1 KR 200143614 Y1 KR200143614 Y1 KR 200143614Y1 KR 2019970001322 U KR2019970001322 U KR 2019970001322U KR 19970001322 U KR19970001322 U KR 19970001322U KR 200143614 Y1 KR200143614 Y1 KR 200143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starch
urethane
i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16U (ko
Inventor
정순제
Original Assignee
정순제
주식회사파피루스
남윤석
전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제, 주식회사파피루스, 남윤석, 전효철 filed Critical 정순제
Priority to KR2019970001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614Y1/ko
Publication of KR970013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8Corrosion-inhibiting agents or anti-oxida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분, 일라이트분, 맥반석분 등을 물과 바인더, 소포제, 전분, 분산제 등과 함께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된 방사물질이 배면지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적층 도포되고, 다시 그 상층부에 상기 방사물질로 문양층을 그라비아 인쇄하고, 그 상면에 UV, 우레탄, 투습성 우레탄 중의 1종이 탑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의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상기 방사물질로부터 원적외선, 미네랄, 겔마늄 등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 물질이 주거 환경으로 발산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이 증진되고, 폐기 시에는 전분의 생분해 작용으로 공해를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벽지는 통상적으로 직포나 종이로 된 배면지의 표면에 특정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 또는 동판이나 그라비아 인쇄하여 만들어지고 있으나, 어떤 종류를 막론하고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MEK(메탄올과 에틸알코올 혼합물), 톨루엔, 에탄올, 아세톤 및 페인트를 소정 비로 혼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벽지에 인쇄된 잉크가 함유하고 있는 톨루엔은 공해 물질로 잘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이것이 주거 환경으로 휘산되어서 기관지 천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주목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잉크를 구성하는 화학물질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된 종이는 재생 시에 특별한 화학제 처리를 거쳐야 하는 등 많은 공해 유발 오인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종래의 벽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황토, 일라이트, 맥반석 등의 방사물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주거 환경에 이용하고자 예의 연구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출원인은 예전에 황토를 소재로 한 벽지의 제조 방법을 특허 출원한바 있으며, 이 벽지는 황토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미네랄 성분의 방사 효능으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켜 주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황토에는 인체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그 자체의 성질은 흡착성, 생분해성이 강하여 현재에도 오수 등의 정화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재래의 주거 방식에는 방바닥과 벽 등이 모두 황토를 주소재로 하고 있었으므로 그 안에 거주하는 것만으로 자연히 황토로부터 방사되는 미네랄 성분이 인체에 흡취되어 신진대사 불안정으로 인한 신경통, 류머티스, 만성 관절염 등의 질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산업화의 결과로 모든 주거 환경이 시멘트, 콘크리트로 됨에 따라 상기 황토의 효능을 누리기가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질환에 시달리는 사례가 종종 발견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일라이트와 맥반석은 인체에 유익한 무기 겔마늄, 원적외선 등을 발산하는 것으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상기 일라이트는 점토질 연질 운모광물이며 삼층 인편상 구조로서 물에 풀었을 때는 견사 현상을 나타내는 독특한 성질이 있고, 그 주성분은 SiO2,Al2O3, K2O, FEO2등으로 된 황백색 합성광물이며, 물리 화학적 성질은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 산소를 발산하는 효능이 있고, 또 수중에 용존하는 중금속 이온, 유기질 이온, 부패유기질의 악취 등을 흡착하는 흡착성이 좋으며, 이 흡착성은 공기 중에서도 발휘되어 유독가스, 악취 제거제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여 국내 특허공고 제4623호, 공고번호 96-12091호에 소개된 흡착 탈취제는 바로 이 일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일라이트에는 무기 겔마늄이 150ppm 이상 함유되어 있어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일라이트의 독성가스 흡착 및 탈착 시험은 한국 표준과학연구원에서 CO와 H2S를 대상으로 하여 1996. 10. 21~11. 13 사이에 실험(시험번호 965-0925)한 결과, 상기 CO는 유속 10㎖/min의 조건에서 15% 제거되었고, 흡착된 CO는 온도 280℃에서 탈착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H2O는 유속 10㎖/min의 조건에서 100% 제거되었고, 흡착된 H2S의 탈착은 340℃까지 나타나지 않아 그 이상의 온도에서 탈착이 예측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 같은 연구소에서 1995. 12. 7에 행해진 원적외선 분광 분포시험은 3~14㎛ 파장대의 원적외선 복사량이 229℃의 측정 온도에서 평균 82.98%로 나타나 원적외선 방사효능도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광물이다.
맥반석은 잘 알려져 있듯이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TiO2, MnO, P2O5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로서,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다공무기질체이기 때문에 항균 작용과 중화 작용이 우수한 물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황토, 일라이트분, 맥반석분을 벽지에 적층 도포하여 상기 벽지로부터 미네랄, 원적외선, 겔마늄 등의 방사 효능이 작용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 결과로 완성된 것이며, 이것은 물 5~15중량%, 바인더 15~25중량%, 황토 또는 일라이트 10~20중량%, 맥반석 10~20중량%, 전분 4중량%, 소포제 0.1~0.5중랑%, 분산제 0.05~0.1중량%, 중탄산칼슘 30~45중량%의 조성비로 고르게 믹싱하여 얻어지는 방사물질이 배면지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적층 도포되고, 상기 방사물질층의 상면에는 상기 방사물질을 그라비아 인쇄하여 문양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양층의 상면으로 UV, 우레탄, 투습성 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된 탑코팅층이 도포 적층된 구성으로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벽지의 단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면지 2 : 방사물질층
3 : 탑코팅층 4 : 문양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 5~15중량%, 바인더 15~20중량%, 황토 또는 일라이트 10~20중량%, 맥반석 10~20중량%, 전분 4중량%, 소포제 0.1~0.5중량%, 분산제 0.05~0.1중량%, 중탄산칼슘 30~45중량%의 조성비로 고르게 믹싱된 방사물질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지(1)의 표면에 적층 도포되어서 방사물질층(2)을 형성하게 된다. 도포는 종이가 함침 롤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일차로 행해지고, 도포되는 방사물질층(2)의 두께는 에어 나이프 등에 의해 균일하게 조절되는 것이며, 바람직한 두께는 0.3~0.7㎜이다.
방사물질층(2)은 이송 도중에 건조되고, 다시 그 상부에는 문양층(4)이 형성된다. 이 문양층(4)은 상기 조성비로 된 방사물질을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이렇게 인쇄된 문양층(4)의 상면으로 탑코팅층(3)이 도포 적층된다. 상기 방사물질층(2)은 1차적 도포 두께 및 평활도를 설정하여 주어 이후의 그라비아 인쇄를 가능케 한다. 상기 탑코팅층(3)은 UV, 우레탄, 투습성 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스프레이 노즐로 분사하여 도포시킨다.
상기 조성비로 된 방사물질에 첨가되는 바인더는 당 업계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할 수 있는 재료로도 족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통, PE계통, 수성 우레탄 계통, 투습성 우레탄 계통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전분은 폐기 되었을 때에 토양 중의 박테리아 등에 의해 생분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이것의 생분해로 방사물질은 응집력을 잃고 부스러져 흙으로 환원된다.
소포제는 믹싱 중에 거품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분산제는 각종의 조성물질이 고르게 섞이도록 보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이들은 모두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서 당 업계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또, 황토나 일라이트는 사전에 1~10μ또는 10~50μ로 선별된 것을 열풍 건조한 뒤에 700~1400℃에서 4~12시간 소성시킨 것을 사용한다. 맥반석은 1~10μ또는 10~50μ로 분쇄 선별된 것을 바인더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다공 무기질체로 되는 맥반석분은 사용 중에 원적외선의 방출은 물론, 항균 작용을 나타내어 전분이 박테리아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조성물질 중에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므로 인체에 전혀 무해하다. 또, 함유된 전분은 사용된 벽지를 폐기하였을 때에 흙속에서 박테리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성분해 되어 폐기물로 인한 공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방사물질이 가지는 특성, 즉 공기 중의 유독가스, 악취 등을 흡착 제거하는 성질과,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는 성질, 무기 겔마늄과 원적외선 방사 효과 및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서식하지 못하게 하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합성 화학물질을 분해하는 성질이 있어서 벽면 등을 구성하는 시멘트가 지니고 있는 pH13 정도의 강알칼리 성분이 난방 중에 휘산될 때에 이를 흡착하여 중화시키는 효과도 나타내어 벽지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수명도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일반 그라비아 인쇄는 최대 도포량이 40g/㎡을 초과하기 어렵지만 리버스 방식으로 도포할 경우에 150g/㎡의 도포량도 가능하게 되고, 방사물질층이 1차적으로 도포 두께 및 평활도를 설정하여 줌으로써 그라비아 인쇄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무늬의 표출과 분위기 조성을 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황토나 일라이트(illite)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과 무기 겔마늄의 방사 효능, 그리고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두루 갖춤과 동시에 폐기 시에는 생분해 되어 공해를 일으키는 일이 없게 되어 있는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물 5~15중량%, 바인더 15~20중량%, 황토 또는 일라이트 10~20중량%, 맥반석 10~20중량%, 전분 4중량%, 소포제 0.1~0.5중량%, 분산제 0.05~0.1중량%, 중탄산칼슘 30~45중량%의 조성비로 고르게 믹싱된 방사물질이 통상의 배면지(1)의 표면에 적층 도포되어 방사물질층(2)을 형성하고, 이 방사물질층(2)의 상면에는 상기 조성비로 된 방사물질을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된 문양층(4)이 적층됨과 아울러 상기 문양층(4)의 상면으로 UV, 우레탄, 투습성 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된 탑코팅층(3)이 적층 도포되는 구성으로 된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19970001322U 1997-01-30 1997-01-30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0143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22U KR200143614Y1 (ko) 1997-01-30 1997-01-30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22U KR200143614Y1 (ko) 1997-01-30 1997-01-30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16U KR970013816U (ko) 1997-04-28
KR200143614Y1 true KR200143614Y1 (ko) 1999-06-15

Family

ID=1949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322U KR200143614Y1 (ko) 1997-01-30 1997-01-30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6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08B1 (ko) * 2009-08-07 2010-05-06 주식회사 에덴바이오벽지 자연소재를 이용한 천연 벽지와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559B1 (ko) * 1997-11-11 2000-01-15 송기은 황토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01311B1 (ko) * 1999-03-27 2001-09-13 김종열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08B1 (ko) * 2009-08-07 2010-05-06 주식회사 에덴바이오벽지 자연소재를 이용한 천연 벽지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1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334B1 (ko) 생분해성벽지
KR100633243B1 (ko) 천연복합광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KR100245290B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의 제조방법
HRP940542A2 (en) Process and materials for cleansing areas affected by pollutants
KR200143614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0143612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JP2008038365A (ja) 建築物内装壁及びその仕上げ塗り材
KR200143615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0143609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0143613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101165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191680B1 (ko) 방사체가 함유된 벽지용 잉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15285A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100653481B1 (ko) 숯과 수성바인더를 주성분으로 한 숯도료
KR200303911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벽지
KR20080076071A (ko) 감습 및 조습기능을 갖는 타일
KR101729364B1 (ko) 광촉매로 코팅된 다공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벽지
TW200831186A (en) Photocatalys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hotocatalyst dispersion liquid comprising the photocatalyst, and photocatalytic coating composition
JP2002370023A (ja) 汚染物質の吸着剤および吸着方法
KR200143616Y1 (ko) 황토장판지
JP2005307726A (ja) 表面ゼオライト層付き壁装材および表面多孔質物体層付き壁装材
KR200143611Y1 (ko) 황토 장판지
KR100989823B1 (ko) 기능성 벽지도료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및 기능성 벽지
KR100986119B1 (ko) 방사물질을 함유한 벽지의 제조방법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