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310Y1 -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 Google Patents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310Y1
KR200143310Y1 KR2019960004047U KR19960004047U KR200143310Y1 KR 200143310 Y1 KR200143310 Y1 KR 200143310Y1 KR 2019960004047 U KR2019960004047 U KR 2019960004047U KR 19960004047 U KR19960004047 U KR 19960004047U KR 200143310 Y1 KR200143310 Y1 KR 200143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r
side plates
sewer
rep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887U (ko
Inventor
유애권
다카오 가와바다
Original Assignee
유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애권 filed Critical 유애권
Priority to KR2019960004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310Y1/ko
Publication of KR970054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3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팩커는 한쌍의 팽창구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팽창구의 팽창범위가 크지 못하여 하수관의 규격별로 각 종류의 팩커가 있어야 하고 팽창구 사이의 요입부에 의하여 지수제의 압출시 카스팅 핀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팩커(1)의 관상통체(2)의 양단부측에 원형 측판(3), (3')을 형성하여 여러개의 실링 돌조(4')가 형성된 원통형의 탄성 팽창통(4)을 양측 측판(3), (3')에 씌워 붙이고 안내롤러(5')가 유착된 안내간(5)을 반호상의 지지판(6)에 형성하여 지지판(6)을 팽창통(4)의 단부와 함께 측판(3), (3')에 긴밀하게 체착하여서 팽창통 중앙부의 팽창범위가 커서 하나의 팩커로 각종 하수관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고 팽창통과 하수관의 밀착으로 카스팅 핀이 형성되지 않고 지수제를 압출하여 단정하게 하수관의 파손부위를 충전 피복시키어 수리할 수 있게 한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packer)
제1도는 하수관 수리시공의 설명도로서,
(a)는 훼손된 하수관의 단면 예시도.
(b)는 하수관의 수리부위에 종래의 팩커를 삽입하는 예시도.
(c)는 하수관 수리부위에 팩커를 팽창지수한 후 지수제를 충전한 예시도.
(d)는 관내부로 돌출된 지수제의 경화된 캐스팅 핀(casting fin)의 단면 예시도.
(e)는 캐스팅 핀을 절삭제거한 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a)는 하수관의 수리부위에 본 고안의 팩커를 삽입한 예시도.
(b)는 하수관의 수리부위에 본 고안의 팩커를 팽창지수 및 지수제를 충전하는 예시도.
제5도는 제4(b)도의 a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하수관 수리부분의 단면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팩커의 지수제 노즐 부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팩커 2 : 관상동체
3, 3' : 측판 4 : 팽창통
4' : 실링돌조 5 : 안내간
5' : 안내롤러 6 : 지지판
7 : 체결나사 7' : 너트
8 : 압출노즐 8' : 도관
9 : 공기노즐 9' : 공기도관
본 고안은 비교적 내경이 작은 하수관의 수리용 팩커(packer)에 있어서, 팩커의 좌우 측판사이에 여러개의 실링 돌조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탄성질 팽창통을 장착하고 측판의 양측면에는 롤러가 유착된 스키형의 안내간을 사방으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팩커의 출입 이동이 용이하면서 지수제의 압출노즐이 형성된 팽창통의 중간부의 팽대범위가 커서 규격이 다른 각 종류의 하수관의 파손 부위를 캐스팅 핀(casting fin)의 돌출형상 없이 단정한 형태로 간편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게한 원통형의 하수관 수리용 팩커(pack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관은 이음새의 불량이나 하수관의 균열 파손등으로 빗물이 침수되거나 오수가 지하에 스며들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대형관의 경우에는 사람이 들어가 직접 파손부분을 수리할 수 있으나 200-600mm정도의 내경이 비교적 작은 관은 사람이 들어 갈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수리기구를 사용하여 수리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하수관(p)의 수리시공에 대한 계략도로서 (a)와 같이 하수관의 이음새나 또는 균열된 곳등에서 누수가 있는 경우 이를 원격무인 카메라에 의하여 정확하게 검사한 후 (b)와 같이 하수관(p)에 종래의 팩커(pk)를 투입하여 수리(修理)개소(個所)(r)에 위치시켜 (c)와 같이 팩커(pk)에 공기를 주입하여 압축공기로 팽창시키고 팩커의 팽창에 의하여 하수관에 흐르는 물을 잠시 지수시킨 다음 팩커(pk)의 중앙부에 형성된 노즐(n)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압출펌프에 의하여 지수제(s), 예컨대 경화제가 혼합된 액상, 또는 켈상의 합성수지를 충전시키어 신속하게 경화시킨 다음 팩커를 수축하여 제거하고 (d)와 같이 하수관 내부로 돌출한 지수제의 가스팅 핀(f)을 하수관 내경범위로 절삭하여 (e)와 같이 수리를 완료하였다.
이때 하수관의 수리방법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하수관 수리에 사용되는 팩커의 구조에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하수관 수리용 팩커는 하수관 수리부위의 좌우 양측에서 침수된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한쌍의 팽창구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아령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팽창구의 팽창범위가 크지 못하여 하수관의 규격별로 각종크기의 팩커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 좌우 팽창구 사이의 지수제의 압출노즐이 형성된 중간부가 요입되어 있어, 이 요입된 부분이 하수관 내부 공간에서 지수제의 주형실(鑄型室)을 이루게 되어 하수관의 파손부위에 지수제를 압출 피복할때 하수관 내부에 주형실에 의하여 카스팅 핀(f)이 생기게 되고 팩커를 제거한 후에도 하수관에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가스팅 핀을 절삭 제거하야 하기 때문에 재료의 경제적 손실과 많은 시간과 품이 들고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하수관 수리용 팩커의 구조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팩커의 관상동체의 양단부측에 한쌍의 원형 측판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여러개의 실링돌조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탄성질 팽창통을 상기 측판에 끼워 붙이고, 안내롤러가 유착된 복수개의 스키형 안내간을 반호상의 지지판의 측면에 형성하여 지지판을 측판의 주위에 팽창통을 밀착시킬 수 있게 체착하여 팽창통의 양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 안내간이 사방으로 배치되어 안쪽으로 대향되게 하고, 팽창통의 중간부에 지수제의 압출노즐을 형성하며 일측 측판에 공기노즐을 형성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안내롤러와 안내간에 의하여 하수관내에서 팩커가 보다 용이하게 출압 이동할 수 있으며, 팽창통 중간부의 팽창범위가 커서 하나의 팩커로 규격이 다른 각 종류의 하수관을 수리에 공용할 수 있으며, 하수관의 수리개소에서 팩커의 팽창통을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면 하수관 내벽에 실링돌조가 지수작용이 양호할 뿐 아니라, 팽창통의 중앙부가 하수관 내벽에 근접되어 있어, 하수관 내부에 주형 공간이 허용되지 않아, 하수관의 파손 부위에 지수제를 압출 및 충전할때 캐스팅 핀이 형성되지 않고 하수관 내부가 단정하게 마무리되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간편ㆍ신속하게 하수관을 수리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관 수리용 팩커에 있어서, 팩커(1)의 관상 동체(2)의 양단부에 하수관의 내경에 근사한 크기를 가진 원형 측판(3), (3')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여러개의 실링 돌조(4')가 일정한 간격의 환상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탄성질 팽창통(4)을 상기 측판(3), (3')의 외주면에 끼워 붙이고 안내롤러(5')가 유착된 스키형상의 만곡된 안내간(5)을 반호상의 지지판(6)에 형성하여 이 지지판(6)을 팽창통(4)의 단부와 함께 상기 측판(3), (3')에 밀착하여 측판의 원주면에 여러개의 체결나사(7)와 너트(7')로 체결하여 안내간(5)이 사방에서 안내할 수 있게 형성하며 원통형의 팽창통(4) 중간부에 공지한 지수제의 압출 노즐(8)을 도관(8')에 연관되게 설치하고 일측 측판(3)에 공기노즐(9)을 공기도관(9')에 연관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미리 원격 비디오 카메라에 의하여 정밀하게 검사된 하수관(p)의 파손된 수리 개소(r)에 제4도에 (a)와 같이 본 고안의 수축된 원통형의 팩커(1)를 와이어 로프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키어 수리개소(r)위치에 팩커(1)의 팽창통(4) 중간부가 놓이게 한다. 이때 하수구의 파손된 부위와 압출노즐(8)이 대향하지 않더라도 동일 원호선상에 위치하여 있으면 된다.
이어서, 공기도관(9')을 통하여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노즐(9)을 통하여 팽창통(4)의 내부에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팩커(1)의 좌우 측판(3), (3')은 관상동체(2)에 일체로 형성된채 측판의 팽창은 없으나 탄성질의 원통형의 팽창통(4)은 그 양단부가 측판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통(4)의 중앙부가 보다 큰 폭으로 팽창되어 제4(b)도와 같이 팩거(1)의 원통형 팽창통(4)이 하수관(p)에 근접되면서 여러개의 실링 돌조(4')가 하수관 내벽에 밀착되어 수리개소(r)에 흐리던 물을 차단하여 가수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의 밀폐 조건에서 도관(8')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압출 펌프에 의하여 적절한 지수제(s)를 압출하면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출된 지수제(s)는 팩커(1)의 팽창통(4)에 형성된 실링돌조(4')외부로 누출함이 없이 팽창통의 중간부의 원주위를 돌아 하수관(p)의 파손된 부분으로 압출 및 충전되면서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의 파손된 수리개소(r)를 적층 피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는 경화제가 혼합된 액상이나 켈상의 폴리 에틸렌수지 등을 압출하여 주입하며 기타 하수관의 재질적인 조건에 따라 합당한 각종 지수제를 사용한다. 압출된 지수제(s)가 경화되면 팩커(1)의 공기를 빼어내어 수축시키고 외부로 꺼내면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 내주벽이 단정한 형태로 수리 시공되는 것으로 팩커의 관상 동체의 양단부에 원형 측판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여 여러개의 실링 돌조가 형성된 원통형의 탄성질 팽창통을 측판에 씌워 붙이고, 안내롤러가 유착된 스키형상의 안내간을 반호상의 지지판에 형성한 다음, 이 지지판을 팽창통의 단부와 함께 측판에 밀착되게 체착하여 사방에서 안내간이 안내할 수 있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좌우측판을 지지점으로 한 팽창통 중앙부의 팽창범위가 커서 하나의 팩커로 각종 규격의 하수관을 밀폐수리 할 수 있으며, 또한, 하수관의 이음새 불량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있거나 퇴적물이 쌓여 있어도 안내롤러의 접동작용과 안내간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하수관 내에서 팩커가 보다 원활하게 출입 이동할 수 있으며, 수리개소에서 팩커를 팽창하면 하수관 내벽과 팽창통이 근접되면서 실링 돌조가 밀착하게 되어 지수 작용이 양호할 뿐 아니라 압출된 지수제가 파손된 하수관 외부로 집중 압출되어 보다 견고하게 충전 피복되며 또한, 하수관 내벽에 팽창통이 근접유지되고 있어 하수관 내부에 주형공간이 허용되지 않아, 하수관 내부에 종래와 같은 캐스팅 핀이 생기지 않고 원주면으로 단정하게 마무리되어 캐스팅 핀에 의한 재료손실이나 제거수수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등 종래의 팩커에 비하여 보다 간편 신속하게 하수관을 경제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수관 수리용 팩커에 있어서, 팩커(1)의 관상동체(2)의 양단부에 원형측판(3), (3')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여러개의 실링 돌조(4')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탄성질 팽창통(4)을 상기 측판(3), (3')에 씌워 붙이며 안내롤러(5')가 유착된 스키형 안내간(5)을 반호상의 지지판(6)에 형성하여 지지판(6)을 상기 측판(3), (3')에 팽창통의 양단부와 함께 긴밀하게 체결하여 사방에서 안내간(5)이 안내할 수 있게 형성하며 팽창통(4)의 중간부에 공지한 압출노즐(8)을 형성하고 일측 측판(3)에 공기노즐(9)을 형성하여서된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KR2019960004047U 1996-03-05 1996-03-05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KR200143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047U KR200143310Y1 (ko) 1996-03-05 1996-03-05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047U KR200143310Y1 (ko) 1996-03-05 1996-03-05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87U KR970054887U (ko) 1997-10-13
KR200143310Y1 true KR200143310Y1 (ko) 1999-06-01

Family

ID=1945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047U KR200143310Y1 (ko) 1996-03-05 1996-03-05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3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87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94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joint in a confined space between two abutting ends of conduit liners
KR0178144B1 (ko) 지관라이닝공법
US7056064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5529312A (en) Gasket and method of casting same in a wall
EP10973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lateral pipe and the junction of the lateral with a main sewer line
US8186385B2 (en) Packer for installing sealant in defective conduits
US49937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pipe to manhole sealing
US5876039A (en) Folded gasket and method of casting same in a wall
JPH04231595A (ja) 下水管を衛生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80109913A (ko) 도관을 복구하기 위한 라이너를 포함하는 팽창가능한 파이프
RU24711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вкладышей, вулканизируемых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200143310Y1 (ko) 하수관 수리용 원통형 팩커
KR20140061224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SK283512B6 (sk) Zvieracie spojenie rúrok prostredníctvom zvieracej objímky
JP3450815B2 (ja) 排水取付管の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100915425B1 (ko) 분기관의 유출수 및 유입수 차수공법
US38213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pipe sections
AU2003221369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200313867Y1 (ko) 관 보수부재
KR10031168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66993U (ko) 하수관로 보수용 감합기(嵌合機)
CN215891569U (zh) 一种混凝土承插管的密封装置
JP2730838B2 (ja) 枝管が分岐した既設管をライニングするライニング管と枝管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方法
JPH09123277A (ja) 管路の補修用被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