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677Y1 -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 Google Patents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77Y1
KR200142677Y1 KR2019970005523U KR19970005523U KR200142677Y1 KR 200142677 Y1 KR200142677 Y1 KR 200142677Y1 KR 2019970005523 U KR2019970005523 U KR 2019970005523U KR 19970005523 U KR19970005523 U KR 19970005523U KR 200142677 Y1 KR200142677 Y1 KR 200142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oil seal
crankshaf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314U (ko
Inventor
임석원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05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2Special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 실에 관한 것으로, 오일 실을 통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려는 오일을 엔진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오일 회송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하여 엔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엔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랭크축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며 내주부에 주립과 부립이 각각 구비되고, 주립의 내측면에 오리엔테이션 레일이 형성되어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 실에 있어서, 상기 오일 실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기 부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된 부립부위와 크랭크축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오일 실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오일 실 내부의 공간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오일 회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본 고안은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oil sea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오일 실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오일 실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을 엔진의 내부로 다시 유입시키는 회송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엔진 내부의 오일이 오일 실을 통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와 크랭크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작동은 진원통으로 된 실린더안에서 피스톤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며, 직선운동은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축에 전달되고, 이러한 직선운동은 크랭크축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크랭크축은 엔진의 기초 구조물인 실린더 블록의 하부에 크랭크 케이스를 통해 장착되며, 각 실린더의 폭발 행정에서 받는 피스톤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엔진의 회전력을 외부에 전달하고, 흡입, 압축, 배기의 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 발생을 위해 운동하는 각 부품간에는 마찰이 발생되며, 이 마찰로 인한 각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엔진의 내부에는 오일 팬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크랭크축은 피스톤의 운동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그 전,후 단부가 엔진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이와같이 엔진 본체와 크랭크축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엔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크랭크축의 전,후 양단에는 오일 실을 각각 장착한다.
한편, 도 1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상기와 같이 엔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오일 실(1)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부에는 하우징 고정부(2)가 형성되고, 내주부에는 공간(3)을 사이에 두고 주립(4)과 부립(5)(부립은 외부의 먼지가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는 것으로 더스트 립(dust lip)이라 불리기도 한다)이 구비되고, 주립(4)의 내벽에는 나선형의 오리엔테이션 레일(6)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일 실(1)은 크랭크축(7)의 전,후 양단에 실 하우징(8)을 통해 엔진 본체(9)에 설치되고, 오일 실(1)의 내부에는 오일 실(1)이 크랭크축(7)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터 스프링(garter spring)(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오일 실(1)의 장착시 오일 실(1)의 주립(4)과 부립(5)이 크랭크축(7)의 외주면에 밀착되지만 크랭크축(7)은 회전운동을 하는데 반해 오일 실(1)은 실 하우징(8)을 통해 엔진 본체(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랭크축(7)의 회전운동으로 인한 오일 실(1)의 파손을 막기 위하여 크랭크축(7)과 주립(5)과 부립(5)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 실(1)에 있어서, 크랭크축(7)의 회전 운동을 통해 엔진의 내부에 공급되는 오일은 원심력에 의하여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려 하며, 이러한 오일은 오일 실(1)과 크랭크축(7)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일 실(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같이 오일 실(1)을 통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려는 오일은 오일 실(1)의 주립(4)에 형성된 오리엔테이션 레일(6)을 따라 유동하면서 다시 엔진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 실(1)은 오리엔테이션 레일(6)의 펌핑작용에 의해 오일 실(1) 내부 공간(3)의 기압이 낮아지며, 이에 따라 유체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유동하므로 오리엔테이션 레일(6)의 펌핑작용에 의한 오일이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역작용이 이루어져 오일은 오일 실(1) 내부의 공간(3)으로 다시 유입되며, 이러한 오일은 오일 실(1)의 부립(5)을 통과하여 오일 실(1)의 외부로 누출된다. 여기서 부립(5)은 오일의 누출을 차단하기보다는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을 주기능으로 하기때문에 오일 실(1) 내부의 공간(3)에 있는 오일은 오일 실(1)의 부립(5)을 통해 엔진의 외부로 쉽게 누출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오일 실은 오리엔테이션 레일(6)에 의한 오일의 회송작용으로 인하여 오일 실(1) 내부 공간(3)의 기압이 엔진 내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오일 실 내부의 오일을 엔진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오리엔테이션 레일(6)의 펌핑작용에 대한 역작용이 발생되어 많은 양의 오일이 오일 실을 통하여 엔진의 외부로 누출됨에 따라 오일 실의 효용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엔진 내부에 공급되는 오일의 양이 계속해서 감소됨에 따라 엔진을 구성하는 각 부품간의 마찰과 열을 감소시키지 못하여 엔진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일 실을 통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려는 오일을 엔진의 내부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한 오일 회송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엔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일 실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며, 또한, 엔진의 각 부품간에 윤활작용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오일 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엔진의 일부절결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엔진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 선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20 : 오일 실 21 : 하우징 고정부
22 : 공간 23 : 주립
24 : 부립 25 : 오리엔테이션 레일
26 : 돌기 30 : 크랭크축
40 : 실 하우징 50 : 엔진 본체
60 : 가터 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랭크축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며, 내주부에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주립과 부립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주립의 내벽에는 나선형의 오리엔테이션 레일이 형성되어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 실에 있어서,
상기 부립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기 부립의 길이보다 길게하여 상기 돌기가 형성된 위치의 부립과 상기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된 부립부위와 부립부위와 크랭크축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오일 실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오일 실 내부의 공간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오일 회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오일 실(20)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부에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21)와, 내주부에 공간(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된 주립(23) 및 부립(24)과, 주립(23)의 내벽에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오리엔테이션 레일(25)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부립(24)의 내벽에 원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26)로 구성된다.
돌기(26)는 부립(24)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며, 120°를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3 곳에 2개씩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 오일 실(2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크랭크축(30)의 전,후 양단에 실 하우징(40)으로 통해 엔진 본체(50)에 장착되고, 오일 실(20)의 내부에는 크랭크축(30)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가터 스프링(60)을 결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오일 실(20)의 초기 장착 상태는 크랭크축(30)의 외주면에 오일 실(20)의 주립(23)과 부립(24) 그리고, 돌기(26)가 접촉되며, 돌기(26)가 설치된 부립(24)부위는 약간 들리게 되어 크랭크축(30)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오일 실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오일 실(20) 내부의 공간(22)과 엔진 내부 공간의 기압이 같아진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30)의 회전운동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오일 실(20)과 크랭크축(3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오일 실(20)의 내부 공간(22)으로 유입되어도오일 실(20)의 내부 공간(22)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오리엔테이션 레일(25)을 통해 이루어지는 회송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져 오일 실(20)의 내부 공간(22)으로 유입된 오일은 오리엔테이션 레일(25)을 따라 유동하면서 다시 엔진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해 오일 실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오일 실 내부의 공간과 엔진 내부 공간의 기압차가 없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오리엔테이션 레일에 의한 회송작용시 그 기압차에 의해 오일이 엔진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역류되는 역작용이 발생되지 않고 회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엔진 내부의 오일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을 통해 엔진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엔진 오일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엔진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마찰을 방지하는 윤활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져 엔진의 성능 저하를 지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크랭크축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며, 내주부에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주립과 부립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주립의 내벽에는 나선형의 오리엔테이션 레일이 형성되어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이 엔진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 실에 있어서,
    상기 부립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기 부립의 길이보다 길게하여 상기 돌기가 형성된 위치의 부립과 상기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120°를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3 곳에 2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KR2019970005523U 1997-03-24 1997-03-24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KR200142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523U KR200142677Y1 (ko) 1997-03-24 1997-03-24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523U KR200142677Y1 (ko) 1997-03-24 1997-03-24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14U KR19980061314U (ko) 1998-11-05
KR200142677Y1 true KR200142677Y1 (ko) 1999-06-01

Family

ID=1949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523U KR200142677Y1 (ko) 1997-03-24 1997-03-24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14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9783A (en) Interference fit cylinder liner
JPH0452473Y2 (ko)
JP2004316681A (ja) オイルシール
KR100447455B1 (ko) 2사이클 기관용 피스톤
CA2615329C (en) Gasket for a valv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42677Y1 (ko)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US6712519B2 (en) Sealed bearing
JP2009527679A (ja) 振動ピストン・エンジン用シール・システム
KR19980066683U (ko)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US4938660A (en) Pump for viscous fluids
US3994641A (en) Rotary positive fluid displacement machine
KR0139484Y1 (ko) 엔진 오일 누출 차단용 오일 실
CA1177714A (en) Interference fit cylinder liner
JPS627898Y2 (ko)
JP2873990B2 (ja) バルブステムシール装置
KR19980045671U (ko) 편심축에서 오일실링이 가능한 오일실
JPS61197856A (ja) シ−ルリング
CN212376753U (zh) 一种轻型航空发动机活塞防漏装置
KR19980076066A (ko) 엔진의 피스톤 링
CN117167162A (zh) 活塞结构和发动机
KR100282064B1 (ko) 동축형 왕복엔진
KR19990027629A (ko) 피스톤링
KR19980083123A (ko) 다수의 오일 드레인 홀을 가지는 피스톤 링
JPH0645717Y2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縦振動ダンパ
JPH11257001A (ja) ロータリーピストンエンジンのアペックスシール部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